시대

관련 한자어 114

(1) 刎頸之友 (문경지우):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

(2) 實事求是 (실사구시):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3) 賜牌之地 (사패지지):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4) 多發將吏 (다발장리): 조선 시대에, 수령이 죄인…

(5) 嘗膽 (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

(6) 屠門大嚼 (도문대작):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7) 前代未聞 (전대미문): 이제까지 들어 본 적이 없…

(8) 三水甲山 (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

(9) 太平聖代 (태평성대): 어진 임금이 잘 다스리어 …

(10+) 모두 114개

3

2

1

刎頸之友


문경지우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번째

實事求是


실사구시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2번째

賜牌之地


사패지지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3번째

多發將吏


다발장리

조선 시대에, 수령이 죄인을 잡으려고 많은 수의 포교(捕校)와 사령(使令)을 보내던 일.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4번째

嘗膽


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5번째

屠門大嚼


도문대작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6번째

前代未聞


전대미문

이제까지 들어 본 적이 없음.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7번째

三水甲山


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8번째

太平聖代


태평성대

어진 임금이 잘 다스리어 태평한 세상이나 시대.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9번째

萬里長城


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0번째

葉錢


엽전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1번째

吮疽之仁


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말이…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2번째

納粟加資


납속가자

조선 시대에, 흉년이 들거나 병란이 있을 때 많은 곡식을 바친 사람에게 공명첩을 주던 일.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3번째

封庫罷職


봉고파직

어사나 감사가 못된 짓을 많이 한 고을의 원을 파면하고 관가의 창고를 봉하여 잠금. 또는 그런 일.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4번째

士農工商


사농공상

예전에, 백성을 나누던 네 가지 계급. 선비, 농부, 공장(工匠), 상인을 이르던 말이다.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5번째

命世才


명세재

한 시대를 바로잡아 구원할 만한 큰 인재.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6번째

刺股懸梁


자고현량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7번째

伐齊爲名


벌제위명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8번째

生丁不辰


생정불신

좋지 못한 시대에 태어남.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19번째

堅石白馬


견석백마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20번째

江湖歌道


강호가도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21번째

淸白吏


청백리

(1)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한 관리. (2)조선 시대에, 이품 이상의 당상관과 사헌부ㆍ사간원의 수직(首職)들이 추천하여 뽑던 청렴한 벼슬아치.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22번째

墨守


묵수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옛날 습관 따위를 굳게 지킴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묵자(墨子)가 성을 잘 지켜 초나라의 공격을 아홉 번이나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23번째

一夫從事


일부종사

한 남편만을 섬김.

시대 관련 한자어 114개 중 24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