孔子

관련 한자어 28

(1) 仙聖先師 (선성선사):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2) 非禮勿動 (비례물동):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

(3) 使民以時 (사민이시):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

(4) 辭達而已矣 (사달이이의): 말이 통달할 뿐이라는 뜻으…

(5) 三十而立 (삼십이립): 서른 살이 되어 자립을 한…

(6) 不惑之年 (불혹지년): 불혹의 나이라는 뜻으로, …

(7) 泗上弟子 (사상제자): 공자의 제자.

(8) 必也使無訟 (필야사무송): 아무쪼록 서로 타협하여 말…

(9) 志學之年 (지학지년): 학문에 뜻을 둔 나이라는 …

(10+) 모두 28개

3

2

1

仙聖先師


선성선사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번째

非禮勿動


비례물동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을 극복하고 예절을 따르는 공자(孔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실천 가치로 제시한 한 예임.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2번째

使民以時


사민이시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맞게 한다는 뜻으로,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들을 사역(使役)시킨다는 의미인데, 孔子가 말한 백성을 올바로 다스리는 그 첩경의 하나임.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3번째

辭達而已矣


사달이이의

말이 통달할 뿐이라는 뜻으로, 말은 그 뜻이 남에게 전달되면 그것으로 족하다는 말의 정교함[辭巧]보다는 의미의 전달[辭達]에 역점을 둔 공자(孔子)의 입장. <論語>.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4번째

三十而立


삼십이립

서른 살이 되어 자립을 한다는 뜻으로, 서른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이다.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5번째

不惑之年


불혹지년

불혹의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6번째

泗上弟子


사상제자

공자의 제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7번째

必也使無訟


필야사무송

아무쪼록 서로 타협하여 말썽이 없도록 함.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8번째

志學之年


지학지년

학문에 뜻을 둔 나이라는 뜻으로, <논어(論語)>에서 공자(孔子)가 15세 때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연유한 15세를 의미하는 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9번째

東家丘


동가구

(1)‘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의 서쪽 이웃에 사는 사람이 공자가 훌륭한 인물임을 모르고 ‘동쪽 이웃인 구(丘)’라고 불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사람을 알아볼 줄 모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0번째

子路負米


자로부미

공자(孔子)의 제자(弟子)인 子路(자로)는 가난하여 매일(每日) 쌀을 등짐으로 져서 백 리 밖까지 운반(運搬)하여 그 운임(運賃)을 받아 양친(兩親)을 봉양(奉養)했다함.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1번째

天縱之大聖


천종지대성

하늘이 재능(才能)을 충분(充分)히 발휘(發揮)하게 점지한 성인(聖人)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를 두고 이르는 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2번째

仲尼之徒


중니지도

공자의 제자. 또는 공자의 학문을 받드는 사람.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3번째

天縱之聖


천종지성

(1)공자의 덕화(德化)를 이르는 말. (2)제왕의 성덕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4번째

漆書壁經


칠서벽경

한(漢)나라 영제가 돌벽에서 발견(發見)한 서골과 공자(孔子)가 발견(發見)한 육경(六經)도 비치(備置)되어 있음.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5번째

鄒魯


추로

추나라는 맹자의 출생지이고 노나라는 공자의 출생지인 데서 공자와 맹자를 달리 이르는 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6번째

皮裏陽秋


피리양추

피리(皮裏)는 피부(皮膚)의 안을 뜻하고, 양추(陽秋)는 공자(孔子)가 지은 『춘추(春秋)』를 뜻하는 말로, 사람마다 제각기 나름대로의 속셈과 분별력(分別力)이 있음을 이르는 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7번째

顔苦孔卓


안고공탁

안회(顔回)는 공자(孔子)의 탁월(卓越)함에 미치지 못함을 괴로워함.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8번째

西河之痛


서하지통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하(子夏)가 서하(西河)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 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19번째

比而不周


비이부주

치우치고 두루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論語>에서 孔子가 소인배들은 사사로움에 치우치므로 특별한 사람만 친할 뿐 널리 사귀지 못함을 비유한 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20번째

假夫子


가부자

가짜 공자(孔子)라는 뜻으로, 옛날 성균관 유생(儒生)들 사이에서 유난히 공부에 골몰하거나 언행을 성인(聖人)처럼 하는 이를 놀림조로 이르던 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21번째

釋眼儒心


석안유심

석가모니의 눈과 공자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매우 자비롭고 어진 마음으로 사랑함을 이르는 말.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22번째

父父子子


부부자자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답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때, 모든 사회 구성원의 바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내용.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23번째

諸子百家


제자백가

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 공자(孔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맹자(孟子), 장자(莊子), 묵자(墨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윤문자(尹文子), 손자(孫子), 오자(吳子), …

孔子 관련 한자어 28개 중 24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