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에 관한 한자 모두 1,461

  • 氾愛兼利 획순 氾愛兼利(범애겸리) :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氾: 넘칠 愛: 사랑 兼: 겸할 利: 날카로울

  • 紅一點 획순 紅一點(홍일점) : (1)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의 붉은 꽃. 왕안석의 영석류시(詠石榴詩)에서 유래한다. (2)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異彩)를 띠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많은 남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紅: 붉을 一: 點:

  • 拜具 획순 拜具(배구) : 삼가 글월을 갖춘다는 뜻으로, 편지 끝에 써서 받는 사람에게 경의를 표하는 말.
    拜: 具: 갖출

  • 微官末職 획순 微官末職(미관말직) : 지위가 아주 낮은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微: 작을 官: 벼슬 末: 職: 벼슬

  • 愛人者人恒愛之 획순 愛人者人恒愛之(애인자인항애지) :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도 늘 그를 사랑해줌.
    愛: 사랑 人: 사람 者: 人: 사람 恒: 항상 愛: 사랑 之:

  • 衆力移山(중력이산) : 많은 사람의 힘은 산을 옮길 수 있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하면 산도 옮길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
    衆: 무리 力: 移: 옮을 山:

  • 長席親舊(장석친구) : 골목 어귀의 길가에 모여 막벌이를 하는 사람.
    長: 席: 자리 親: 친할 舊:

  • 才子佳人(재자가인) : 재주 있는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才: 재주 子: 아들 佳: 아름다울 人: 사람

  • 波瀾曲折(파란곡절) :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시련. 또는 그런 변화.
    波: 물결 瀾: 물결 曲: 굽을 折: 꺾을

  • 人定勝天(인정승천) : 사람이 노력하면 하늘을 이길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노력을 하면 어떤 어려운 일도 극복할 수 있어 인력(人力)은 능히 운명을 만회(挽回)할 수 있다는 의미.
    人: 사람 定: 정할 勝: 이길 天: 하늘

  • 能文能武(능문능무) : (1) 문무(文武)가 뛰어남 (2) 또는, 그러한 것을 갖춘 사람.
    能: 능할 文: 글월 能: 능할 武: 호반

  • 才子多病(재자다병) : 재주 있는 사람은 병이 잦음.
    才: 재주 子: 아들 多: 많을 病:

  • 無足可責(무족가책) : 사람의 됨됨이가 가히 책망을 할 가치조차 없음.
    無: 없을 足: 可: 옳을 責: 꾸짖을

  • 奉檄之喜(봉격지희) : 부모가 살아 있는 동안에 그 고을의 수령으로 임명되는 기쁨.
    奉: 받들 檄: 격문 之: 喜: 기쁠

  • 虎死留皮(호사유피) :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虎: 死: 죽을 皮: 가죽

  • 三笑(삼소) :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三: 笑: 웃을

  • 衆口一辭(중구일사) : 여러 사람의 입에서 하나의 말을 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하는 말이 일치함을 이르는 말.
    衆: 무리 口: 一: 辭: 말씀

  • 燈臺不自照(등대부자조) : 등대는 자신을 비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남의 일은 잘 보이나 자신의 일은 도리어 잘 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燈: 등불 臺: 不: 아닌가 自: 스스로 照: 비출

  • 孤雛腐鼠(고추부서) : 외로운 병아리와 썩은 쥐라는 뜻으로, 미천한 사람이나 천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孤: 외로울 雛: 병아리 腐: 썩을 鼠:

  • 當局者迷(당국자미) : 일을 담당한 사람이 미혹된다는 뜻으로, 방관자(傍觀者)보다 직접 담당자가 사리의 판단에 더 어둡다는 의미. ‘燈下不明(등하불명)’의 비유적 표현.
    當: 마땅할 局: 者: 迷: 미혹할

  • 潛德之幽光(잠덕지유광) : 숨겨져 있는 덕의 그윽한 빛이라는 뜻으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유덕(有德)한 사람의 그윽한 빛이라는 의미.
    潛: 잠길 德: 之: 幽: 그윽할 光:

  • 爲人設官(위인설관) : 어떤 사람을 채용하기 위하여 일부러 벼슬자리를 마련함.
    爲: 人: 사람 設: 베풀 官: 벼슬

  • 未測深淺(미측심천) : 아직 깊고 얕은 것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심해(深海)이나 사정(事情), 사람의 자질(資質) 등에 대해서 이르는 표현.
    未: 아닐 測: 深: 깊을 淺: 얕을

  • 落月屋梁(낙월옥량) : 밤에 벗의 꿈을 꾸고 깨 보니 지는 달이 지붕을 비추고 있다는 뜻에서, 벗을 생각하는 마음이 간절함을 이르는 말.
    月: 屋: 梁: 들보

  • 蚊蝄走牛羊(문망주우양) : 모기와 등에가 소와 양을 쫓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약한 사람도 때로는 강(强)한 사람을 물리.
    蚊: 모기 蝄: 도깨비 走: 달릴 牛: 羊:

  • 蘭芷漸滫(난지점수) : 난초(蘭草)와 구릿대, 즉 향초(香草)를 오줌에 담근다는 뜻으로, 착한 사람이 나쁜 것에 물듦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芷: 구리때 漸: 점점 滫: 뜨물

  • 攀龍附鳳(반룡부봉) : 훌륭한 임금을 좇아서 공명을 세움. 용과 봉은 임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攀: 더위잡을 龍: 附: 붙을 鳳: 봉새

  • 臨陣易將(임진역장) : 전쟁터에서 장수를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에 알맞은 자격을 지닌 사람을 쓰지 아니하고 자격을 지니지 못한 사람을 씀을 이르는 말.
    陣: 진칠 易: 바꿀 將: 장수

  • 南方之强(남방지강) : 중국(中國) 남쪽 지방(地方) 사람들의 강(强)함이라는 뜻으로, (1) 관용(寬容)과 인내(忍耐)로 남에게 이기는 것 (2) 전(傳)하여 '군자(君子)의 용기(勇氣)'를 이름.
    南: 남녘 方: 之: 强: 굳셀

  • 戶庭出入(호정출입) : 병자나 노인이 겨우 마당 안에서만 드나듦.
    戶: 지게 庭: 出: 入:

  • 知名之士(지명지사) :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진 사람.
    知: 名: 이름 之: 士: 선비

  • 無祀鬼神(무사귀신) : 자손이 모두 죽어 제사를 지내 줄 사람이 없는 귀신.
    無: 없을 祀: 제사 鬼: 귀신 神:

  • 零丁孤苦(영정고고) : 가난해지고 세력(勢力)이 꺾여 도와 주는 사람도 없어, 혼자서 괴로움을 당(當)하는 어려운 처지(處地)를 이르는 말.
    丁: 넷째 천간 孤: 외로울 苦:

  • 八不出(팔불출) :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
    八: 여덟 不: 아니 出:

  • 三頭六臂(삼두육비) : 머리가 셋, 팔이 여섯이라는 뜻으로, 힘이 엄청나게 센 사람을 이르는 말.
    三: 頭: 머리 臂:

  • 百八煩惱(백팔번뇌) :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百: 일백 八: 여덟 煩: 번거로울 惱: 괴로워할

  • 落穽下石(낙정하석) : 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을 도와주기는커녕 도리어 괴롭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穽: 허방다리 下: 아래 石:

  • 傷弓之鳥(상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傷: 다칠 弓: 之: 鳥:

  • 鷄鶩爭食(계목쟁식) :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鷄: 鶩: 집오리 爭: 다툴 食:

  • 江湖之人(강호지인) : 벼슬하지 아니하고 자연을 벗 삼아 강호에 묻혀 사는 사람.
    江: 湖: 호수 之: 人: 사람

  • 仁言利博(인언이박) : 어진 말은 이로움이 넓다는 뜻으로, 인덕(仁德)이 있는 사람의 말은 널리 대중에게까지 이익을 미친다는 의미.
    仁: 어질 言: 말씀 博: 넓을

  • 半身不隨(반신불수) : 병이나 사고로 반신이 마비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半: 身: 不: 아니 隨: 따를

  • 如斷手足(여단수족) : 손발이 잘린 것과 같다는 뜻으로, 요긴한 사람이나 물건이 없어져 몹시 아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如: 같을 斷: 끊을 手: 足:

  • 白面郞(백면랑) : (1) 희고 고운 얼굴에 글만 읽는 사람이란 뜻 (2) 세상일(世上-)에 조금도 경험(經驗)이 없는 사람.
    白: 面: 郞: 사내

  • 絶世佳人(절세가인) : 세상에서 빼어난 아름다운 사람이라는 뜻으로, 당대에 비할 데 없이 아름다운 여인을 이르는 말.
    絶: 끊을 世: 인간 佳: 아름다울 人: 사람

  • 無父無君(무부무군) : 어버이도 임금도 안중에 없을 만큼 행동이 막됨.
    無: 없을 父: 아비 無: 없을 君: 임금

  • 蓋棺事定(개관사정) :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에야 일을 결정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죽은 후에야 비로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됨을 이르는 말.
    蓋: 덮을 棺: 事: 定: 정할

  • 野壇法席(야단법석) : 야외에서 크게 베푸는 설법의 자리.
    野: 壇: 法: 席: 자리

  • 人之常情(인지상정) :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는 보통의 마음.
    人: 사람 之: 常: 항상 情:

  • 凍氷可折(동빙가절) : 물도 얼음이 되면 쉽게 부러진다는 뜻으로, 사람의 성격도 때에 따라 변한다는 말.
    凍: 氷: 얼음 可: 옳을 折: 꺾을

  • 百歲之後(백세지후) : 사람의 죽은 뒤를 높여 이르는 말.
    百: 일백 歲: 之: 後:

  • 判官使令(판관사령) : 감영이나 유수영의 판관에 딸린 사령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하라는 대로 잘 따르는 남자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判: 뻐갤 官: 벼슬 使: 부릴 令: 하여금

  • 無人窮途(무인궁도) : 사람이 살지 않는 외딴곳.
    無: 없을 人: 사람 窮: 다할 途:

  • 萬人之上(만인지상) : 예전에, 영의정의 지위를 이르던 말.
    萬: 일만 人: 사람 之: 上:

  • 土牛木馬(토우목마) :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土: 牛: 木: 나무 馬:

  • 凡聖不二(범성불이) : 범인과 성인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사람은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불교 용어.
    凡: 무릇 聖: 성스러울 不: 아니 二:

  • 生三死七(생삼사칠) : 사람이 태어난 뒤 사흘 동안과 죽은 뒤 이레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정하다고 꺼리는 기간을 이르는 말.
    生: 三: 死: 죽을 七: 일곱

  • 木石(목석) : (1)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 正人君子(정인군자) : 마음씨가 올바르며 학식과 덕행이 높고 어진 사람.
    正: 바를 人: 사람 君: 임금 子: 아들

  • 人山人海(인산인해) : 사람이 산을 이루고 바다를 이루었다는 뜻으로, 사람이 수없이 많이 모인 상태를 이르는 말.
    人: 사람 山: 人: 사람 海: 바다

  • 逆鱗(역린) :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세난편(說難編)>에서 유래한다.
    逆: 거스를 鱗: 비늘

  • 禮失則昏(예실즉혼) : 예의를 잃으면 정신이 흐리고 사리에 어두운 상태가 됨.
    失: 잃을 則: 昏: 어두울

  • 天下之望(천하지망) : 세상 사람이 우러러 바람.
    天: 하늘 下: 아래 之: 望: 바랄

  • 欲哭逢打(욕곡봉타) : 울려고 하는 아이를 때리어 마침내 울게 한다는 뜻으로, 불평을 품고 있는 사람을 선동함을 이르는 말.
    欲: 하고자 할 哭: 逢: 만날 打:

  • 埳中之蛙(감중지와) :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에서, 식견(識見)이 좁은 사람의 비유(比喩).
    埳: 구덩이 中: 가운데 之: 蛙: 개구리

  • 搖尾乞憐(요미걸련) : 개가 꼬리를 흔들면서 연민을 구걸한다는 뜻으로, 간사하고 아첨을 잘함을 이르는 말.
    搖: 흔들릴 尾: 꼬리 乞: 憐: 불쌍히여길

  • 武陵桃源(무릉도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武: 호반 陵: 큰 언덕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 不分東西(불분동서) : 동서 방향을 가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不: 아니 分: 나눌 東: 동녘 西: 서녘

  • 貪夫殉財(탐부순재) : 탐욕스러운 자는 재물 때문에 목숨을 버린다는 뜻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을 얻기 위해 어떠한 위험도 돌보지 않아 목숨을 잃을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貪: 탐할 夫: 지아비 殉: 따라 죽을 財: 재물

  • 康衢煙月(강구연월) :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康: 편안할 衢: 네거리 煙: 연기 月:

  • 望六(망륙) : 사람의 나이가 예순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쉰한 살을 이르는 말.
    望: 바랄 六: 여섯

  • 萬物之靈(만물지령) : 온갖 물건의 정령(精靈).
    萬: 일만 物: 만물 之: 靈: 신령

  • 陵遲處斬(능지처참) : (1)‘능지처참’의 북한어. (2)대역죄를 범한 자에게 과하던 극형. 죄인을 죽인 뒤 시신의 머리, 몸, 팔, 다리를 토막 쳐서 각지에 돌려 보이는 형벌이다.
    遲: 늦을 處: 머무를 斬:

  • 同舟相救(동주상구) : 같은 배를 탄 사람끼리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같은 운명이나 처지에 놓이면 아는 사람이나 모르는 사람이나 서로 돕게 됨을 이르는 말.
    同: 한가지 舟: 相: 서로 救: 건질

  • 閉戶先生(폐호선생) : 집 안에 틀어박혀 독서만 하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閉: 닫을 戶: 지게 先: 먼저 生:

  • 風塵外物(풍진외물) : 속세를 벗어난 사람.
    風: 바람 塵: 티끌 外: 바깥 物: 만물

  • 八苦(팔고) : 사람이 세상에서 면하기 어렵다고 하는 여덟 가지 괴로움. 곧 생고, 노고, 병고, 사고,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를 이른다.
    八: 여덟 苦:

  • 斗南一人(두남일인) : 북두칠성의 남쪽에서 제일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천하에 으뜸가는 훌륭한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斗: 南: 남녘 一: 人: 사람

  • 眼中之人(안중지인) : 눈 속의 사람이라는 뜻으로, 정든 사람이나 늘 생각하며 만나 보기를 원하는 사람.
    眼: 中: 가운데 之: 人: 사람

  • 敬人者人恒敬之(경인자인항경지) : 다른 사람들을 공경(恭敬)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도 늘 그를 공경(恭敬)해준다는 말.
    敬: 공경 人: 사람 者: 人: 사람 恒: 항상 敬: 공경 之:

  • 老益壯(노익장) : 늙었지만 의욕이나 기력은 점점 좋아짐. 또는 그런 상태.
    益: 더할 壯: 씩씩할

  • 寂若無人(적약무인) : 사람이 없는 것같이 조용함.
    寂: 고요할 若: 같을 無: 없을 人: 사람

  • 呫囁耳語(첩섭이어) : 다른 사람의 귀에다 입을 대고 소곤거리며 하는 귓속말.
    呫: 소곤거릴 囁: 소곤거릴 耳: 語: 말씀

  • 草莽之臣(초망지신) : 벼슬을 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사는 사람.
    草: 莽: 풀 우거질 之: 臣: 신하

  • 有始無終(유시무종) : 처음은 있되 끝이 없다는 뜻으로, 시작한 일의 마무리를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有: 있을 始: 처음 無: 없을 終: 끝날

  • 一心同體(일심동체) : 한마음 한몸이라는 뜻으로, 서로 굳게 결합함을 이르는 말.
    一: 心: 마음 同: 한가지 體:

  • 談虎虎至(담호호지) : 호랑이도 제 말을 하면 온다는 뜻으로, 이야기에 오른 사람이 마침 그 자리에 나타남을 이르는 말.
    談: 말씀 虎: 虎: 至: 이를

  • 人琴俱亡(인금구망) : 친구의 죽음을 몹시 슬퍼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진(晉)나라의 왕헌지가 죽자 그가 쓰던 거문고도 가락이 맞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人: 사람 琴: 거문고 俱: 함께 亡: 잃을

  • 三冬文史(삼동문사) : 가난한 사람은 농사(農事) 짓느라고 여가(餘暇)가 없어 다만 삼동에 학문(學問)을 닦는다는 뜻으로, 자기(自己)를 겸손(謙遜)히 이르는 말.
    三: 冬: 겨울 文: 글월 史: 사기

  • 見頭角(현두각) : 두각을 나타낸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 가운데 홀로 두드러지게 드러나 보임을 이르는 말.
    見: 나타날 頭: 머리 角:

  • 三綱五常(삼강오상) :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를 이른다.
    三: 綱: 벼리 五: 다섯 常: 항상

  • 益者三友(익자삼우)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益: 더할 者: 三: 友:

  • 孰能禦之(숙능어지) : 누가 감히 막을 수 있겠느냐는 뜻으로, 능히 막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孰: 누구 能: 능할 禦: 막을 之:

  • 嘗糞之徒(상분지도) : 대변이라도 맛볼 듯이 부끄러움을 돌아보지 않고 몹시 아첨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嘗: 맛볼 糞: 之: 徒: 무리

  • 餓狼之口(아랑지구) : 굶주린 이리의 아가리라는 뜻으로, 탐욕스럽고 잔인한 사람의 비유로 사용됨.
    餓: 주릴 狼: 이리 之: 口:

  • 綱常之變(강상지변) : 삼강오상(三綱五常)에 맞지 않는 재앙이나 사고.
    綱: 벼리 常: 항상 之: 變: 변할

  • 寶貨難售(보화난수) : 보물은 팔기 어렵다는 뜻으로, 너무 귀한 보물은 값이 비싸 쉽사리 팔리지 않는 것처럼 훌륭한 사람은 기량(器量)이 크므로 남에게 등용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寶: 보배 貨: 재화 難: 어려울 售:

  • 算命先生(산명선생) : 운명과 재수의 좋고 나쁨을 점치는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算: 셈할 命: 목숨 先: 먼저 生:

  • 屠城(도성) : 성안의 사람들을 마구 죽인다는 뜻으로, 성을 함락함을 이르는 말.
    屠: 잡을 城:

  • 飛必沖天(비필충천) : 날면 반드시 하늘을 꿰뚫듯 높이 난다는 뜻으로, 한 번 일을 행하면 세상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큰 일을 해냄을 비유하는 말.
    飛: 必: 반드시 沖: 天: 하늘

1 2 3 5 6 7
#지위 65 #음식 79 #신하 62 #상태 110 #근본 66 #근심 65 #상대 56 #소리 96 #벼슬 88 #사이 200 #생활 82 #행동 137 #편안 62 #따위 228 #관계 90 #의미 1817 #노력 69 #여자 101 #때문 58 #물건 136 #경계 56 #어려움 105 #나무 166 #무리 64 #가난 90 #군자 56 #예전 60 #정도 153 #구름 67 #이름 2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60개) : 사라, 사락, 사란, 사람, 사랍, 사랑, 사랖, 사래, 사램, 사략, 사량, 사레, 사려, 사력, 사련, 사렬, 사렴, 사렵, 사령, 사례, 사로, 사록, 사론, 사롬, 사롭, 사롱, 사료, 사룡, 사루, 사룩, 사룻, 사룽, 사류, 사륙, 사륜, 사륵, 사름, 사릅, 사릉, 사릋, 사리, 사린, 사림, 사립, 삭로, 삭료, 삭름, 삭립, 삭릿, 산락, 산란, 산랑, 산략, 산량, 산력, 산령, 산로, 산록, 산뢰, 산료, 산류, 산륜, 산릉, 산리, 산림, 산립, 살랑, 살래, 살략, 살럼, 살레, 살렘, 살렙, 살렴, 살로, 살롤, 살롱, 살륙, 살릭, 살림, 삼라, 삼락, 삼략, 삼량, 삼력, 삼련, 삼렬, 삼령, 삼례, 삼로, 삼록, 삼론, 삼롱, 삼뢰, 삼룡, 삼루, 삼류, 삼륜, 삼릉, 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