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에 관한 한자 모두 1,461

  • 人命在天 획순 人命在天(인명재천) : 사람의 목숨은 하늘에 달려 있다는 뜻으로, 목숨의 길고 짧음은 사람의 힘으로 어쩔 수 없음을 이르는 말.
    人: 사람 命: 목숨 在: 있을 天: 하늘

  • 萬綠叢中紅一點 획순 萬綠叢中紅一點(만록총중홍일점) : 전체(全體)가 푸른 잎으로 덮인 가운데 한 송이의 붉은 꽃이 피어 있다는 뜻으로, (1) 평범(平凡)한 것이 많은 가운데서 하나가 뛰어남 (2) 또는 많은 남자(男子) 가운데 여자(女子)가 한 사람 끼여 있음을 이르는 말.
    萬: 일만 綠: 초록빛 叢: 모일 中: 가운데 紅: 붉을 一: 點:

  • 驚弓之鳥 획순 驚弓之鳥(경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驚: 놀랄 弓: 之: 鳥:

  • 知足者富 획순 知足者富(지족자부) : 분수를 지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넉넉함. ≪노자≫ 제33장에 나오는 말이다.
    知: 足: 者: 富: 가멸

  • 克伐怨慾 획순 克伐怨慾(극벌원욕) : 이기고자 하며, 제 자랑하기를 좋아하며, 원망하고 화를 내며, 탐욕하는 네 가지 나쁜 행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克: 이길 伐: 怨: 원망할 慾: 욕심

  • 積屍在床(적시재상) : 집안이 몹시 가난하여 죽은 사람은 장사(葬事)지내지 못함.
    積: 쌓을 屍: 주검 在: 있을 床:

  • 綱常罪人(강상죄인) : 예전에, 삼강오상(三綱五常)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죄인을 이르던 말. 부모나 남편을 죽인 자, 노비로서 주인을 죽인 자, 또는 관노(官奴)로서 관장(官長)을 죽인 자 등을 이른다.
    綱: 벼리 常: 항상 罪: 허물 人: 사람

  • 屋下架屋(옥하가옥) : 지붕 아래 또 지붕을 만든다는 뜻으로, 선인(先人)들이 이루어 놓은 일을 후세의 사람들이 무익하게 거듭하여 발전한 바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屋: 下: 아래 架: 시렁 屋:

  • 高麗三隱(고려삼은) : 고려 말기에, 유학자로 이름난 세 사람. 포은(圃隱) 정몽주, 목은(牧隱) 이색, 야은(冶隱) 길재를 이른다. 야은 길재 대신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을 포함하기도 한다.
    高: 높을 麗: 고울 三: 隱: 숨을

  • 毋望之人(무망지인) : 급한 어려움에 처했을 때 뜻밖의 도움을 주는 사람.
    毋: 望: 바랄 之: 人: 사람

  • 易簀(역책) :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易: 바꿀 簀: 살평상

  • 無知文盲(무지문맹) : 아는 것도 없고 글도 모르는 상태임. 또는 그런 사람.
    無: 없을 知: 文: 글월 盲: 소경

  • 村學究(촌학구) : (1)시골 글방의 스승. (2)학식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村: 마을 學: 배울 究: 궁구할

  • 特立之士(특립지사) : 세속에 따르지 아니하고 스스로 믿는 바를 행하는 훌륭한 사람.
    特: 유다를 立: 之: 士: 선비

  • 呼來斥去(호래척거) : 사람을 오라고 불러 놓고 곧바로 내쫓음.
    呼: 부를 來: 斥: 물리칠 去:

  • 雲中白鶴(운중백학) : 구름 속의 흰 학이라는 뜻으로, 인품이 고상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雲: 구름 中: 가운데 白: 鶴:

  • 學海(학해) : (1)학문의 바다라는 뜻으로, 학문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냇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에 들어가듯이, 사람도 꾸준히 학문에 힘써서 끝내 대성함을 이르는 말.
    學: 배울 海: 바다

  • 萬口成碑(만구성비) : 많은 사람의 말이 비석을 이룬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칭찬은 송덕비를 세우는 것과 같음을 이르는 말.
    萬: 일만 口: 成: 이룰 碑: 비석

  • 肥馬輕裘(비마경구) : 살진 말과 가벼운 가죽옷이라는 뜻으로, 부귀한 사람들의 나들이 차림새를 이르는 말.
    肥: 살찔 馬: 輕: 가벼울 裘: 갖옷

  •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 <중용(中庸)>의 가치.
    率: 거느릴 性: 성품 之: 謂: 이를 道:

  • 樵童汲婦(초동급부)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樵: 땔나무 童: 아이 汲: 길을 婦: 며느리

  • 大歸(대귀) : (1)여자가 이혼을 하고 친정으로 돌아옴. (2)근본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을 이르는 말.
    大: 歸: 돌아갈

  • 跛驢之伍(파려지오) : 절뚝거리는 당나귀 같은 무리라는 뜻으로, 무능(無能)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跛: 절뚝발이 驢: 당나귀 之: 伍: 대오

  • 善游者溺(선유자익) : 헤엄을 잘 치는 사람이 빠진다는 뜻으로, 재주 많은 사람이 그 재주를 믿고 까불다가 화를 입는다는 의미.
    善: 착할 游: 者:

  • 自上處分(자상처분) : 상관이 내리는 지휘나 명령.
    自: 스스로 上: 處: 머무를 分: 나눌

  • 到處春風(도처춘풍) :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到: 이를 處: 머무를 春: 風: 바람

  • 愛別離苦(애별리고) : 팔고(八苦)의 하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괴로움을 이른다.
    愛: 사랑 別: 나눌 離: 떠날 苦:

  • 上下相蒙(상하상몽) :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속임.
    上: 下: 아래 相: 서로 蒙: 입을

  • 表裏不同(표리부동) :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과 속으로 가지는 생각이 다름.
    表: 裏: 不: 아닌가 同: 한가지

  • 或可或不可(혹가혹불가) : 혹은 옳다하고 혹은 옳지 않다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은 옳다 하고 어떤 사람은 그르다 하여 가부(可否)가 결정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或: 可: 옳을 或: 不: 아니 可: 옳을

  • 木偶人衣(목우인의) : 나무로 만든 인형에 좋은 옷을 입힌다는 뜻으로, 무능한 사람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木: 나무 偶: 人: 사람 衣:

  • 轍鮒(철부) :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처지에 있거나 몹시 고단하고 옹색한 사람을 이르는 말.
    轍: 바퀴 자국 鮒: 붕어

  • 慷慨之士(강개지사) : 세상의 옳지 못한 일에 대하여 의분을 느끼고 탄식하는 사람.
    慷: 강개할 慨: 분개할 之: 士: 선비

  • 判無識(판무식) : 아주 무식함. 또는 그런 사람.
    判: 뻐갤 無: 없을 識:

  • 一言居士(일언거사) : 말참견하기를 좋아하는 사람.
    一: 言: 말씀 居: 있을 士: 선비

  • 終身不齒(종신불치) : 그 사람을 한평생(-平生) 인간(人間)다운 대접(待接)을 해 주지 않는 일.
    終: 끝날 身: 不: 아니 齒:

  • 剛毅木訥(강의목눌) : 강직하고 굳세며 순박하고 말투가 어눌함.
    剛: 굳셀 毅: 굳셀 木: 나무 訥: 말더듬을

  • 虎生文炳(호생문병) : 범은 나면서부터 문채가 빛난다는 뜻으로, 영준(英俊)한 사람은 어릴 때부터 기량(器量)이 비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生: 文: 글월 炳: 밝을

  • 無虎洞中狸作虎(무호동중리작호) : 범 없는 골에 이리가 범 노릇 한다는 뜻으로, 높은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잘난 체 함을 두고 이르는 말.
    無: 없을 虎: 洞: 中: 가운데 狸: 作: 지을 虎:

  • 賊反荷杖(적반하장) :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賊: 도둑 反: 돌이킬 荷: 杖: 지팡이

  • 不恥下問(불치하문) :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不: 아니 恥: 부끄러워할 下: 아래 問: 물을

  • 尙有良心(상유양심) : 악한 일을 한 사람에게도 양심은 남아 있다는 뜻으로, 바르게 인도할 여지가 있음을 이르는 말.
    尙: 오히려 有: 있을 心: 마음

  • 夜半逃走(야반도주) : 남의 눈을 피하여 한밤중에 도망함.
    夜: 半: 逃: 달아날 走: 달릴

  • 下愚不移(하우불이) : 아주 어리석고 못난 사람의 기질은 변하지 아니함.
    下: 아래 愚: 어리석을 不: 아니 移: 옮을

  • 古今獨步(고금독보) : 고금을 통틀어도 비교할 만한 사람이 없을 만큼 뛰어남.
    古: 今: 이제 獨: 홀로 步: 걸을

  • 厲世摩鈍(여세마둔) : 세상(世上) 사람을 격려(激勵)하여 인재(人材)를 진작(振作)함.
    世: 인간 摩: 鈍: 무딜

  • 淸風明月無人管(청풍명월무인관) : 청풍과 명월은 사람의 관할(管轄)이 아닌 것으로 속세(俗世)를 벗어나 있음을 이르는 말.
    淸: 맑을 風: 바람 明: 밝을 月: 無: 없을 人: 사람 管: 대롱

  • 木人石心(목인석심) : 나무 같은 사람과 돌 같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의지가 굳어 어떤 유혹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목석 같이 감정이 없는 사람의 의미로도 쓰임.
    木: 나무 人: 사람 石: 心: 마음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莫: 없을 知: 其: 子: 아들 之: 惡: 악할

  • 事親如此可謂人子(사친여차가위인자) : 어버이 섬기기를 이와 같이 하면 가히 사람의 자식(子息)이라 이를 것임.
    事: 親: 친할 如: 같을 此: 可: 옳을 謂: 이를 人: 사람 子: 아들

  • 冷腸(냉장) : 차가운 창자라는 뜻으로, 냉정하고 불친절한 마음이나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腸: 창자

  • 出嫁外人(출가외인) : 시집간 딸은 친정 사람이 아니고 남이나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出: 嫁: 시집갈 外: 바깥 人: 사람

  • 樵童牧豎(초동목수)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에서 가축에게 풀을 먹이는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樵: 땔나무 童: 아이 牧: 豎: 더벅머리

  • 落地(락지) : (1)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남을 이르는 말. (2)‘낙지’의 북한어.
    地:

  • 後來三杯(후래삼배) : 술자리에 뒤늦게 온 사람에게 권하는 석 잔의 술.
    後: 來: 三: 杯:

  • 地上神仙(지상신선) : (1)인간 세상에 존재한다고 상상하는 신선. (2)팔자가 썩 좋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천도교에서, 사람이 천도(天道)를 믿어서 법열(法悅)을 얻으면, 정신적으로 이 세상의 극락을 얻고 영적으로 장생을 얻게 되므로, 이것이 곧 땅 위의 신선이라는 말.
    地: 上: 神: 仙: 신선

  • 墨悲絲染(묵비사염) : 흰 실에 검은 물이 들면 다시 희지 못함을 슬퍼함. 즉 사람도 매사(每事)를 조심하여야 함.
    墨: 悲: 슬플 絲: 染: 물들일

  • 不可抗力(불가항력) : (1)사람의 힘으로는 저항할 수 없는 힘. (2)외부의 사건에서 거래 관념상의 가능한 주의와 예방으로도 막을 수 없는 일.
    不: 아니 可: 옳을 抗: 막을 力:

  • 地靈人傑(지령인걸) : 땅은 영묘(靈妙)하고 사람은 빼어나다는 뜻으로, 산천이 수려하고 지세가 빼어나서, 그 지기를 띠고 태어난 그 곳 주민도 한결 뛰어나다는 의미.
    地: 靈: 신령 人: 사람 傑: 뛰어날

  • 千斤力士(천근역사) : 천 근을 들어 올릴 수 있을 만큼 힘이 센 장사.
    千: 일천 斤: 도끼 士: 선비

  • 與人同樂(여인동락) : 남과 더불어 즐김.
    與: 人: 사람 同: 한가지 樂: 즐거울

  • 福善禍淫(복선화음) :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福: 善: 착할 禍: 재난 淫: 음란할

  • 咸興差使(함흥차사) :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咸: 興: 差: 어긋날 使: 부릴

  • 道謀是用(도모시용)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道: 謀: 꾀할 是: 옳을 用:

  • 隴斷(농단) : 농단(壟斷). (1)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 (2) (옛날 어떤 사람이 높은 곳에 올라가 시장(市場)을 살펴보고 자기(自己) 물건(物件)을 팔기에 적당(適當)한 곳으로 가서, 시리(市利)를 독점(獨占)했다는 옛일에서)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함.
    斷: 끊을

  • 將立待令(장립대령) : 셋줄 있는 집에 드나들며 이끗을 바라는 사람을 조롱(嘲弄)하여 일컫는 말.
    將: 장수 立: 待: 기다릴 令: 하여금

  • 街童走卒(가동주졸) :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이들이나 떠돌아다니는 사람들.
    街: 거리 童: 아이 走: 달릴 卒: 군사

  • 波瀾萬丈(파란만장) :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波: 물결 瀾: 물결 萬: 일만 丈: 어른

  • 松都契員(송도계원) : 송도의 계원이라는 뜻으로, 낮은 지위나 작은 세력을 믿고 남을 멸시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松: 都: 도읍 契: 맺을 員: 수효

  • 暮夜無知(모야무지) : 이슥한 밤에 하는 일이라서 보고 듣는 사람이 없거나 알 사람이 없음.
    暮: 저물 夜: 無: 없을 知:

  • 聲聞過情(성문과정) : 명성이 실정을 앞선다는 뜻으로, 그 사람의 가치 이상으로 평판이 높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聲: 소리 聞: 들을 過: 지날 情:

  • 爛柯(난가) : (1)‘난가’의 북한어. (2)도낏자루가 썩는다는 뜻으로, 바둑 따위의 놀이에 정신이 팔려 세월 가는 줄 모름. 중국 진(晉)나라 때 왕질(王質)이라는 나무꾼이 두 동자가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는 동안에 도낏자루가 썩어 버리고, 마을에 돌아오니 아는 사람이 다 죽었더라는 <술이기(述異記)>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柯: 가지

  • 三益之友(삼익지우) :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部類)의 벗으로서, 정직(正直)한 사람과 성실(誠實)한 사람과 견문(見聞)이 넓은 사람을 이름.
    三: 益: 더할 之: 友:

  • 月下氷人(월하빙인) : 월하노인(月下老人)과 빙상인(氷上人)이라는 뜻으로, 중매를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月: 下: 아래 氷: 얼음 人: 사람

  • 鰥寡孤獨(환과고독) : (1)늙어서 아내 없는 사람, 늙어서 남편 없는 사람, 어려서 어버이 없는 사람, 늙어서 자식 없는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외롭고 의지할 데 없는 처지.
    鰥: 홀아비 寡: 적을 孤: 외로울 獨: 홀로

  • 畵虎難畵骨知人未知心(화호난화골지인미지심) : 호랑이를 그리되 뼈를 그리기 어렵고, 사람을 알되 마음까지 알기는 어려움.
    畵: 그림 虎: 難: 어려울 畵: 그림 骨: 知: 人: 사람 未: 아닐 知: 心: 마음

  • 狼子野心(랑자야심) : (1)이리는 본래의 야성이 있어 좀처럼 길들여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신의가 없는 사람은 쉽게 교화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낭자야심’의 북한어.
    子: 아들 野: 心: 마음

  • 同氣相求(동기상구) : 같은 무리끼리 서로 통하고 자연히 모인다는 말.
    同: 한가지 氣: 기운 相: 서로 求: 구할

  • 長立待命(장립대명) : 오래 서서 명령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권문세가(權門勢家)에 드나들며 이익을 얻고자하는 사람을 조롱하여 이르는 말.
    長: 立: 待: 기다릴 命: 목숨

  • 滿場一致(만장일치) : 모든 사람의 의견이 같음.
    滿: 場: 마당 一: 致: 이룰

  • 山薊野鶩(산계야목) : 산꿩과 들오리라는 뜻으로, 성미(性味)가 거칠고 사나와서, 제멋대로만 하여 다 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山: 薊: 삽주 野: 鶩: 집오리

  • 名譽毁損(명예훼손) : 다른 사람의 이름이나 인격, 신분 등의 사회적 평가에 해를 끼쳐 손해를 입히는 일.
    名: 이름 譽: 기릴 毁: 損:

  • 大同之患(대동지환) : 모든 사람이 다 같이 겪는 환난.
    大: 同: 한가지 之: 患: 근심

  • 德必有隣(덕필유린) : 덕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어 외롭지 않음을 이르는 말.
    德: 必: 반드시 有: 있을 隣: 이웃

  • 蛇心佛口(사심불구) : 뱀의 마음에 부처의 입이라는 뜻으로, 속으로는 간악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입으로는 착한 말을 하는 행동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蛇: 心: 마음 佛: 부처 口:

  • 與凡人同(여범인동) : 보통 사람과 같음.
    與: 凡: 무릇 人: 사람 同: 한가지

  • 藥房甘草(약방감초) : 약방의 감초라는 뜻으로, 어느 일이나 사건에 끼어 들어 앞장서서 해결사 노릇을 하며 잘난 체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藥: 房: 甘: 草:

  • 事上之道(사상지도) : 웃어른을 받들고 섬기는 도리.
    事: 上: 之: 道:

  • 衆怒難犯(중노난범) :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衆: 무리 怒: 성낼 難: 어려울 犯: 범할

  • 半神半人(반신반인) : 반은 신인 사람. 또는 아주 영묘한 사람.
    半: 神: 半: 人: 사람

  • 屍山血海(시산혈해) : 사람의 시체가 산같이 쌓이고 피가 바다같이 흐름을 이르는 말.
    屍: 주검 山: 血: 海: 바다

  • 藍筍象牀(남순상상) : 푸른 대순과 코끼리 상이니, 즉 한가(閑暇)한 사람의 침대임.
    筍: 죽순 象: 코끼리 牀: 평상

  • 專人急報(전인급보) : 따로 사람을 보내어 급히 알려 줌.
    專: 오로지 人: 사람 急: 급할 報: 갚을

  • 硯北(연북) : 편지(便紙) 봉투(封套)에 벼루에 북쪽, 곧 '앞에'의 뜻으로, 받는 사람의 이름 밑에 쓰는 말.
    硯: 벼루 北: 북녘

  • 同心之言(동심지언) : 마음을 합친 말이라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합치시킨 사람들의 언행은 그 향기가 난초와도 같다는 의미.
    同: 한가지 心: 마음 之: 言: 말씀

  • 語言無味(어언무미) : 말이 맛이 없다는 뜻으로, 독서를 하지 아니하는 사람이 하는 말은 아취(雅趣)가 없음을 이르는 말.
    語: 말씀 言: 말씀 無: 없을 味:

  • 亞父(아부) : (1)‘계부’를 달리 이르는 말. (2)아버지 다음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흔히 임금이 공신을 존경하여 부르던 말. 중국 초(楚)나라의 항우가 범증을 존경하여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亞: 버금 父: 아비

  • 白面書郞(백면서랑) : (1) 희고 고운 얼굴에 글만 읽는 사람이란 뜻 (2) 세상일(世上-)에 조금도 경험(經驗)이 없는 사람.
    白: 面: 書: 郞: 사내

  • 樗櫟之材(저력지재) : 참나무와 가죽나무 재목이라는 뜻으로, 아무 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樗: 가죽나무 櫟: 상수리나무 之: 材: 재목

  • 什佰之器(십백지기) : 열 사람사람의 그릇이라는 뜻으로, 보통 사람들 보다 열 배 백 배 이상 뛰어난 기량의 의미.
    什: 열사람 佰: 백사람 之: 器: 그릇

1 2 4 5 6
#조금 96 #훌륭 85 #가난 90 #지위 65 #재주 82 #천하 94 #의지 69 #학문 107 #군자 56 #시대 114 #하늘 251 #집안 93 #자신 208 #상황 119 #사이 200 #동안 70 #속담 63 #자연 73 #경계 56 #이치 67 #바람 136 #따위 228 #나무 166 #무리 64 #세월 71 #얼굴 99 #행동 137 #가운데 104 #고사 108 #이름 2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60개) : 사라, 사락, 사란, 사람, 사랍, 사랑, 사랖, 사래, 사램, 사략, 사량, 사레, 사려, 사력, 사련, 사렬, 사렴, 사렵, 사령, 사례, 사로, 사록, 사론, 사롬, 사롭, 사롱, 사료, 사룡, 사루, 사룩, 사룻, 사룽, 사류, 사륙, 사륜, 사륵, 사름, 사릅, 사릉, 사릋, 사리, 사린, 사림, 사립, 삭로, 삭료, 삭름, 삭립, 삭릿, 산락, 산란, 산랑, 산략, 산량, 산력, 산령, 산로, 산록, 산뢰, 산료, 산류, 산륜, 산릉, 산리, 산림, 산립, 살랑, 살래, 살략, 살럼, 살레, 살렘, 살렙, 살렴, 살로, 살롤, 살롱, 살륙, 살릭, 살림, 삼라, 삼락, 삼략, 삼량, 삼력, 삼련, 삼렬, 삼령, 삼례, 삼로, 삼록, 삼론, 삼롱, 삼뢰, 삼룡, 삼루, 삼류, 삼륜, 삼릉, 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