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유 에 관한 한자 모두 1,177

  • 戎馬生郊 획순 戎馬生郊(융마생교) : 군마(軍馬)가 국경에서 태어난다는 뜻으로, 이웃 나라와 전쟁이 끊이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戎: 馬: 生: 郊: 성 밖

  • 河淸 획순 河淸(하청) : (1)중국 황허강(黃河江)의 물이 맑아지는 일. 흐린 황허강의 물이 천 년에 한 번 맑아진다고 한다. (2)중국 북제 무성제(武成帝) 때의 연호(562~565). 무성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河: 강 이름 淸: 맑을

  • 妻城子獄 획순 妻城子獄(처성자옥) :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妻: 아내 城: 子: 아들 獄:

  • 前古未聞 획순 前古未聞(전고미문) : 전에 들어 보지 못함.
    前: 古: 未: 아닐 聞: 들을

  • 山鷄野鶩 획순 山鷄野鶩(산계야목) : 산 꿩과 들오리라는 뜻으로, 성질이 사납고 거칠어서 제 마음대로만 하며 다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山: 鷄: 野: 鶩: 집오리

  • 腐鼠(부서) :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腐: 썩을 鼠:

  • 北行至楚(북행지초) : 북쪽으로 가면서 초(楚)나라에 이른다는 뜻으로, 남쪽의 초나라로 간다면서 북쪽을 향해 가는 것처럼 행동이 뜻한 바와 모순됨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北: 북녘 行: 至: 이를 楚: 모형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몹시 모질고 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苛: 매울 政: 정사 猛: 사나울 於: 어조사 虎:

  • 前轍(전철) :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前: 轍: 바퀴 자국

  • 宿虎衝鼻(숙호충비) : 자는 호랑이의 코를 찌른다는 뜻으로, 가만히 있는 사람을 공연히 건드려서 화를 입거나 일을 불리하게 만듦을 이르는 말.
    宿: 묵을 虎: 衝: 찌를 鼻:

  • 廻文織錦(회문직금) : 비단으로 회문(回文)을 짜 넣다라는 뜻으로, 구성(構成)이 절묘(絶妙)한 훌륭한 문학작품(文學作品)을 비유(比喩)함.
    廻: 文: 글월 織: 錦: 비단

  • 浮雲朝露(부운조로) : 뜬구름과 아침 이슬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浮: 雲: 구름 朝: 아침 露: 이슬

  • 弦上箭(현상전) : 시위 위의 화살이라는 뜻으로, 활시위를 먹인 화살처럼 신속(迅速)함이나 한 번 가서 돌아오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弦: 활시위 上: 箭: 화살

  • 采菊東籬下(채국동리하) : 동쪽 울타리 밑의 국화를 따다는 뜻으로, 은자(隱者)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도잠(陶潛)의 시 고사에서 연유함.
    采: 菊: 국화 東: 동녘 籬: 울타리 下: 아래

  • 沈船破釜(침선파부) : 배를 가라앉히고 솥을 깨뜨리다는 뜻으로, 항우가 강물을 건넜을 때 沈船破釜하며 사졸에게 필사의 각오를 보인 고사에서 필사의 각오로 결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沈: 잠길 船: 破: 깨뜨릴 釜: 가마

  • 秉燭夜行(병촉야행) : 촛불을 들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시기(時期)에 늦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秉: 잡을 燭: 촛불 夜: 行:

  • 連理枝(련리지) : (1)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2)화목한 부부나 남녀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연리지’의 북한어.
    理: 다스릴 枝: 가지

  • 點鐵成金(점철성금) : (1)쇠를 달구어 황금을 만든다는 뜻으로, 나쁜 것을 고쳐서 좋은 것을 만듦을 이르는 말. (2)옛사람의 말을 따다가 글을 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點: 鐵: 成: 이룰 金:

  • 隔靴搔(격화소) : 신(靴)을 신은 채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으로, (1) 뜻한 바의 효과(效果)를 얻지 못하여 안타까운 일의 비유(比喩) (2) (어떤 일을 함에 있어)그 정통(正統)을 찌르지 못하고 겉돌기만 하는 안타까움을 이름.
    隔: 사이 뜰 靴: 가죽신 搔: 긁을

  • 醉生夢死(취생몽사) : 술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꿈 속에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한평생을 아무 하는 일 없이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醉: 취할 生: 夢: 死: 죽을

  • 霜蓬(상봉) : (1)서리를 맞아 생기를 잃은 쑥. (2)서리같이 하얗게 센 백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霜: 서리 蓬:

  • 松柏之茂(송백지무) : 소나무와 잣나무가 항상 푸른 것처럼 영원토록 번영함을 이르는 말.
    松: 柏: 측백나무 之: 茂: 우거질

  • 同聲異俗(동성이속) : 사람이 날 때는 다 같은 소리를 가지고 있으나, 자라면서 그 나라의 풍속으로 인해 서로 달라짐을 이르는 말.
    同: 한가지 聲: 소리 異: 다를 俗: 풍속

  • 刀山劍水(도산검수) : (1)칼을 심어 놓은 것 같은 산수라는 뜻으로, 몹시 험하고 위험한 지경을 이르는 말. (2)가혹한 형벌.
    刀: 山: 劍: 水:

  •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 호(胡)나라의 말은 호나라 쪽에서 불어오는 북풍이 불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胡: 오랑캐 馬: 依: 의지할 北: 북녘 風: 바람

  • 途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나라가 잘 다스려져 백성(百姓)의 풍속(風俗)이 돈후(敦厚)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형벌(刑罰)이 준엄(峻嚴)하여 백성(百姓)이 법을 범(犯)하지 아니함의 뜻으로도 쓰임.
    途: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跛鼈千里(파별천리) : 기우뚱거리며 가는 자라도 천 리를 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꾸준히 공부하면 성공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跛: 절뚝발이 鼈: 자라 千: 일천 里: 마을

  • 臨河羨魚(임하선어) : 물가에 임해서 물고기를 탐낸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행복이나 이득을 바란다는 의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河: 강 이름 羨: 부러워할 魚: 고기

  • 衣錦尙絅(의금상경) : 비단 옷에 오히려 홑옷이라는 뜻으로, 비단 옷 위에 얇은 홑옷을 더 입어 표시 안 나게 하는 것처럼 군자(君子)는 미덕이 있어도 드러내지 않음을 비유한 말.
    衣: 錦: 비단 尙: 오히려 絅: 끌어죌

  • 邯鄲之步(한단지보) :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의 ≪추수(秋水)≫에서 나온 말이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步: 걸을

  • 蛾眉(아미) : 누에나방의 눈썹이라는 뜻으로, 가늘고 길게 굽어진 아름다운 눈썹을 이르는 말. 미인의 눈썹을 이른다.
    蛾: 나방 眉: 눈썹

  • 耳懸鈴鼻懸鈴(이현령비현령)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됨을 이르는 말.
    耳: 懸: 매달 鈴: 방울 鼻: 懸: 매달 鈴: 방울

  • 客反爲主(객반위주) : 손이 도리어 주인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부차적인 것을 주된 것보다 오히려 더 중요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客: 反: 돌이킬 爲: 主: 주인

  • 築室道謀(축실도모) : 집을 짓는데 길손에게 묻는다는 뜻으로, 집을 지으면서 길가는 사람들에게 방법을 물으니 사람마다 딴소리를 하여 집을 완성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쓸데없는 의논을 하여 실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築: 쌓을 室: 道: 謀: 꾀할

  • 愚公移山(우공이산)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말이다.
    愚: 어리석을 公: 공변될 移: 옮을 山:

  • 藥籠中物(약롱중물) : (1)병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2)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3)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藥: 籠: 대그릇 中: 가운데 物: 만물

  • 驚弓之鳥(경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驚: 놀랄 弓: 之: 鳥:

  • 芝蘭之交(지란지교) :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고도 고귀한 사귐을 이르는 말.
    芝: 지초 蘭: 난초 之: 交: 사귈

  • 四十初襪(사십초말) : 사십에 첫 버선이라는 뜻으로, 나이 들어 처음으로 해 보는 일을 이르는 말.
    四: 十: 初: 처음 襪: 버선

  • 蘭摧玉折(난최옥절) : 난초가 꺾어지고 옥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현인군자나 재자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
    摧: 꺾을 玉: 구슬 折: 꺾을

  • 狐死兎泣(호사토읍) : 여우의 죽음에 토끼가 운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를 슬퍼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狐: 여우 死: 죽을 兎: 토끼 泣:

  • 蒲柳之姿(포류지자) : 갯버들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갯버들 잎이 일찍 시들어 떨어지는 데서, 쇠약한 몸이라는 것을 스스로 표현할 때 사용하거나, 선천적으로 유약한 체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蒲: 부들 柳: 버들 之: 姿: 맵시

  • 屋下架屋(옥하가옥) : 지붕 아래 또 지붕을 만든다는 뜻으로, 선인(先人)들이 이루어 놓은 일을 후세의 사람들이 무익하게 거듭하여 발전한 바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屋: 下: 아래 架: 시렁 屋:

  • 詞海(사해) : 문장이나 시가(詩歌)의 풍부함을 바다의 깊이와 넓이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詞: 海: 바다

  • 一木難支(일목난지) : 한 나무로는 지탱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큰 집이 무너지는 것을 한 기둥으로는 받치지 못하는 것처럼,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一: 木: 나무 難: 어려울 支: 가를

  • 馬革裹屍(마혁과시) : 말가죽으로 자기 시체를 싼다는 뜻으로, 싸움터에 나가 살아 돌아오지 않겠다는 결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馬: 革: 가죽 裹: 屍: 주검

  • 精金良玉(정금양옥) : 정교하게 다듬은 금과 아름다운 옥이라는 뜻으로, 인품이나 시문이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精: 정미할 金: 玉: 구슬

  • 揮淚斬馬謖(후루참마속) : 눈물을 뿌리면서 마속을 베다라는 뜻으로, 군율을 지키기 위해 아까운 장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면서 베었던 제갈량의 고사에서, 천하의 법도에는 사정(私情)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淚: 눈물 斬: 馬: 謖: 일어날

  • 雲中白鶴(운중백학) : 구름 속의 흰 학이라는 뜻으로, 인품이 고상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雲: 구름 中: 가운데 白: 鶴:

  • 學海(학해) : (1)학문의 바다라는 뜻으로, 학문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냇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에 들어가듯이, 사람도 꾸준히 학문에 힘써서 끝내 대성함을 이르는 말.
    學: 배울 海: 바다

  • 抱炭希涼(포탄희량) : 불을 끼고 있으면서 시원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하는 일과 바라는 일이 일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抱: 안을 炭: 希: 바랄 涼: 서늘할

  • 如流(여류) : ‘여류하다’의 어근.
    如: 같을 流: 흐를

  • 桃源境(도원경) :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境: 지경

  • 鶴髮童顔(학발동안) :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鶴: 髮: 터럭 童: 아이 顔: 얼굴

  • 木偶人衣(목우인의) : 나무로 만든 인형에 좋은 옷을 입힌다는 뜻으로, 무능한 사람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木: 나무 偶: 人: 사람 衣:

  • 炊沙成飯(취사성반) : 모래를 때어 밥을 짓는다는 뜻으로, 헛된 수고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炊: 불땔 沙: 모래 成: 이룰 飯:

  • 井中求火(정중구화) : 우물 속에서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井: 우물 中: 가운데 求: 구할 火:

  • 干雲蔽日(간운폐일) : 구름을 범하고 해를 가린다는 뜻으로, 나무가 높이 솟아 있음을 이르는 말.
    干: 방패 雲: 구름 蔽: 가릴 日:

  • 作心三日(작심삼일) : 단단히 먹은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결심이 굳지 못함을 이르는 말.
    作: 지을 心: 마음 三: 日:

  • 剛毅木訥(강의목눌) : 강직하고 굳세며 순박하고 말투가 어눌함.
    剛: 굳셀 毅: 굳셀 木: 나무 訥: 말더듬을

  • 不飛不鳴(불비불명) : 새가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일을 하기 위하여 조용히 적절한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不: 아니 飛: 不: 아니 鳴:

  • 虎生文炳(호생문병) : 범은 나면서부터 문채가 빛난다는 뜻으로, 영준(英俊)한 사람은 어릴 때부터 기량(器量)이 비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生: 文: 글월 炳: 밝을

  • 萬覇不聽(만패불청) : 많은 패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본래 바둑에서 큰 패가 생겼을 때 상대자가 어떤 패를 써도 응하지 않고 팻자리를 해소하는 일인데, 후에 아무리 싸움을 걸려고 집적거려도 못들은 체 하고 응하지 않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萬: 일만 覇: 으뜸 不: 아니 聽: 들을

  • 賊反荷杖(적반하장) :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賊: 도둑 反: 돌이킬 荷: 杖: 지팡이

  • 源淸流淸(원청유청) : 근원 물이 맑으면 흐르는 물도 맑다는 뜻으로,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이 맑듯이 윗사람이 청렴하면 아랫사람도 청렴해짐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源: 근원 淸: 맑을 淸: 맑을

  • 眼孔大(안공대) : 눈구멍이 크다는 뜻으로, 식견이 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眼: 孔: 구멍 大:

  • 氷淸玉潔(빙청옥결) : 얼음같이 맑고 옥같이 깨끗한 심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氷: 얼음 淸: 맑을 玉: 구슬 潔: 깨끗할

  • 戴星(대성) : 별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집을 나가 밤늦게 돌아옴을 이르는 말.
    戴: 星: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莫: 없을 知: 其: 子: 아들 之: 惡: 악할

  • 冷腸(냉장) : 차가운 창자라는 뜻으로, 냉정하고 불친절한 마음이나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腸: 창자

  • 地上神仙(지상신선) : (1)인간 세상에 존재한다고 상상하는 신선. (2)팔자가 썩 좋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천도교에서, 사람이 천도(天道)를 믿어서 법열(法悅)을 얻으면, 정신적으로 이 세상의 극락을 얻고 영적으로 장생을 얻게 되므로, 이것이 곧 땅 위의 신선이라는 말.
    地: 上: 神: 仙: 신선

  • 一日三秋(일일삼추) : 하루가 삼 년 같다는 뜻으로,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을 이르는 말.
    一: 日: 三: 秋: 가을

  • 紅鏡(홍경) : 붉은색으로 빛나는 거울이라는 뜻으로, 솟는 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紅: 붉을 鏡: 거울

  • 雪泥鴻爪(설니홍조) :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雪: 泥: 진흙 鴻: 큰기러기 爪: 손톱

  • 投桃報李(투도보리) : 복숭아를 보낸 보답으로 오얏을 보낸다는 뜻으로, 내가 은덕을 베풀면 남도 이를 본보기로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投: 던질 桃: 복숭아나무 報: 갚을 李: 오얏나무

  • 種麥得麥(종맥득맥) : 보리를 심으면 보리를 얻는다는 뜻으로, 인과(因果) 응보(應報)를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種: 麥: 보리 得: 얻을 麥: 보리

  • 咸興差使(함흥차사) :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에, 태종이 보낸 차사를 혹은 죽이고 혹은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咸: 興: 差: 어긋날 使: 부릴

  • 西施有所醜(서시유소추) : 미인(美人)인 서시에게도 추한 데가 있다는 뜻으로, 현인(賢人)에게도 단점(短點)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西: 서녘 施: 베풀 有: 있을 所: 醜: 더러울

  • 鶴首(학수) : (1)학의 목. (2)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鶴: 首: 머리

  • 鴟目虎吻(치목호문) : 올빼미의 눈과 호랑이의 입술이라는 뜻으로, 탐욕이 많은 상(相)을 이르는 말.
    鴟: 소리개 目: 虎: 吻: 입술

  • 草露人生(초로인생) : 풀잎에 맺힌 이슬과 같은 인생이라는 뜻으로, 허무하고 덧없는 인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草: 露: 이슬 人: 사람 生:

  • 臥遊江山(와유강산) : 누워서 강산을 노닌다는 뜻으로, 산수화를 보며 즐김을 이르는 말.
    臥: 누울 遊: 江: 山:

  • 三間斗屋(삼간두옥) : 몇 칸 되지 않는 작은 오막살이집.
    三: 間: 斗: 屋:

  • 波瀾萬丈(파란만장) :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波: 물결 瀾: 물결 萬: 일만 丈: 어른

  • 綠楊芳草(녹양방초) : 푸른 버드나무와 향기로운 풀.
    楊: 버들 芳: 꽃다울 草:

  • 良玉美金(양옥미금) : 좋은 옥과 아름다운 금이라는 뜻으로, 아주 좋은 문장(文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玉: 구슬 美: 아름다울 金:

  • 夜郞自大(야랑자대) : 용렬하거나 우매한 무리 가운데서 세력이 있어 잘난 체하고 뽐냄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 때에 서남쪽의 오랑캐 가운데서 야랑국이 가장 세력이 강하여 오만한 데서 유래한다.
    夜: 郞: 사내 自: 스스로 大:

  • 爛柯(난가) : (1)‘난가’의 북한어. (2)도낏자루가 썩는다는 뜻으로, 바둑 따위의 놀이에 정신이 팔려 세월 가는 줄 모름. 중국 진(晉)나라 때 왕질(王質)이라는 나무꾼이 두 동자가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는 동안에 도낏자루가 썩어 버리고, 마을에 돌아오니 아는 사람이 다 죽었더라는 <술이기(述異記)>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柯: 가지

  • 塵飯塗羹(진반도갱) : 먼지를 담아 밥이라 하고 진흙을 담아 국이라 한다는 뜻으로, 어린 아이의 소꿉놀이란 의미에서 실제에 소용되지 않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塵: 티끌 飯: 塗: 진흙 羹:

  • 鰥寡孤獨(환과고독) : (1)늙어서 아내 없는 사람, 늙어서 남편 없는 사람, 어려서 어버이 없는 사람, 늙어서 자식 없는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외롭고 의지할 데 없는 처지.
    鰥: 홀아비 寡: 적을 孤: 외로울 獨: 홀로

  • 狼子野心(랑자야심) : (1)이리는 본래의 야성이 있어 좀처럼 길들여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신의가 없는 사람은 쉽게 교화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낭자야심’의 북한어.
    子: 아들 野: 心: 마음

  • 殘杯冷炙(잔배냉적) : 마시다 남은 술과 다 식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殘: 해칠 杯: 炙: 고기구울

  • 山薊野鶩(산계야목) : 산꿩과 들오리라는 뜻으로, 성미(性味)가 거칠고 사나와서, 제멋대로만 하여 다 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山: 薊: 삽주 野: 鶩: 집오리

  • 咳唾成珠(해타성주) :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咳: 기침 唾: 成: 이룰 珠: 구슬

  • 燮理陰陽(섭리음양) : 음양을 화합해 다스린다는 뜻으로, 천하의 도(道)를 조화시킨다는 의미에서 재상(宰相)이 천하를 다스림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거나 재상의 직분(職分)을 의미하기도 함.
    燮: 화할 理: 다스릴 陰: 응달 陽:

  • 噲伍(쾌오) : 여쾌등오(與噲等伍)의 준말로, (1) 평범(平凡)한 인물(人物) (2) 벗으로 사귐을 부끄럽게 여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噲: 목구멍 伍: 대오

  • 絲髮(사발) : 실과 머리카락이라는 뜻으로, 매우 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絲: 髮: 터럭

  • 宵衣旰食(소의간식) : ‘소의한식’의 원말.
    宵: 衣: 旰: 해 질 食:

  • 萍水(평수) : 물 위에 뜬 개구리밥이라는 뜻으로,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萍: 개구리밥 水:

  • 搖手觸禁(요수촉금) : 손을 움직이면 금령(禁令)에 저촉된다는 뜻으로, 작은 행동도 법령을 어기게 되는 것처럼 법령이 혹독하고 가혹함을 비유하는 말.
    搖: 흔들릴 手: 觸: 닿을 禁: 금할

1 3 4 5
#어버이 60 #따위 228 #방법 59 #재능 61 #자연 73 #중국 253 #부부 76 #임금 189 #고사 108 #문장 59 #사물 172 #죽음 73 #싸움 61 #가난 90 #행동 137 #물건 136 #편안 62 #백성 105 #어려움 105 #나무 166 #이름 211 #나이 97 #구름 67 #집안 93 #은혜 70 #표현 88 #아침 72 🍭 #비유에 관한 1177개의 한자어 #형제 68 #상태 11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848개) : 바아, 바안, 바알, 바앙, 바애, 바얀, 바양, 바얘, 바에, 바오, 바올, 바옷, 바우, 바울, 바워, 바웨, 바위, 바유, 바을, 바이, 바일, 박아, 박악, 박안, 박암, 박애, 박액, 박야, 박약, 박연, 박열, 박염, 박엽, 박영, 박옥, 박외, 박용, 박우, 박운, 박위, 박유, 박은, 박음, 박읍, 박의, 박이, 박인, 밖에, 반아, 반악, 반암, 반애, 반액, 반야, 반약, 반양, 반어, 반역, 반연, 반열, 반염, 반엽, 반영, 반오, 반옥, 반와, 반완, 반외, 반요, 반우, 반운, 반움, 반원, 반월, 반위, 반유, 반음, 반응, 반의, 반이, 반인, 반일, 반입, 받이, 발아, 발악, 발안, 발암, 발앙, 발양, 발어, 발언, 발여, 발연, 발열, 발염, 발왕, 발외, 발욕, 발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