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 에 관한 한자 모두 136

  • 太倉稊米 획순 太倉稊米(태창제미) : 나라 곳집의 돌피라는 뜻으로, 큰 곡식창고 안에 있는 쭉정이 피처럼 아주 큰 물건 속에 있는 아주 작은 물건을 이르는 말.
    太: 倉: 곳집 稊: 돌피 米:

  • 十盲一杖 획순 十盲一杖(십맹일장) : 열 맹인(盲人)에 한 개의 지팡이라는 뜻으로, 여러 곳에 긴요하게 쓰이는 물건을 이르는 말.
    十: 盲: 소경 一: 杖: 지팡이

  • 竹頭木屑 획순 竹頭木屑(죽두목설) : 대나무 조각과 나무 부스러기라는 뜻으로, 쓸모가 적은 물건을 이르는 말.
    竹: 頭: 머리 木: 나무 屑: 가루

  • 齊紫敗素 획순 齊紫敗素(제자패소) :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물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물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齊: 가지런할 紫: 자주빛 敗: 패할 素:

  • 盲者失杖 획순 盲者失杖(맹자실장) : 소경이 지팡이를 잃다는 뜻으로, 믿고 의지할 곳이 없어졌다는 의미.
    盲: 소경 者: 失: 잃을 杖: 지팡이

  • 完璧(완벽) : (1)빌린 물건을 정중히 돌려보냄.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인상여(藺相如)가 진(秦)나라의 소양왕이 열다섯 성(城)과 화씨(和氏)의 벽(璧)을 바꾸자고 하여 진나라에 갔으나 소양왕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목숨을 걸고 그 벽을 고스란히 도로 찾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2)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
    完: 완전할 璧: 둥근 옥

  • 匠石運斤(장석운근) : 장석이 도끼를 사용한다는 뜻으로, 고대 전설적 명공(名工)인 장석(匠石)이 자귀를 휘둘러 물건을 만드는데 조금의 착오도 없었다는 데서 ‘기예(技藝)가 오묘한 경지’에 이름을 이르는 말.
    匠: 장인 石: 運: 斤: 도끼

  • 鼠肝蟲臂(서간충비) : 쥐의 간과 벌레의 팔이라는 뜻으로, 쓸모없고 하찮은 사람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鼠: 肝: 蟲: 벌레 臂:

  • 山海珍味(산해진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海: 바다 珍: 보배 味:

  • 與受同罪(여수동죄) : 장물(贓物)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은 둘 다 죄가 같음.
    與: 受: 받을 同: 한가지 罪: 허물

  • 罷市(파시) : 중국에서, 도시의 상인이 일제히 가게를 닫고 매매를 중지하는 일. 중국 진(晉)나라의 양호(羊祜)가 형주(荊州) 도독으로 재임하던 중 죽자, 백성들이 그를 추모하여 시장을 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罷: 그만둘 市: 저자

  • 玩物喪志(완물상지) : 아끼고 좋아하는 사물에 정신이 팔려 원대한 이상을 상실함.
    玩: 희롱할 物: 만물 喪: 복입을 志:

  • 亡戟得矛(망극득모) : 극(戟)을 잃고 모(矛)를 얻는다는 뜻으로, 물건 따위를 얻거나 잃는 데에 있어 그 이해를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亡: 잃을 戟: 得: 얻을 矛:

  • 星羅雲布(성라운포) : 별 같이 벌여있고 구름처럼 늘어놓았다는쭬뜻으로, 물건이 여기저기 벌여 있는 모양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星: 羅: 그물 雲: 구름 布:

  • 鳥足之血(조족지혈) : 새 발의 피라는 뜻으로, 매우 적은 분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鳥: 足: 之: 血:

  • 暗中摸索(암중모색) : (1)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2)확실한 방법을 모르는 채 짐작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3)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일의 실마리나 해결책을 찾아내려 함.
    暗: 어두울 中: 가운데 摸: 찾을 索: 찾을

  • 礫塊(역괴) : 자갈과 흙덩이라는 뜻으로, 아무 가치도 없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塊: 흙덩이

  • 納淸場(납청장) : 되게 얻어맞거나 눌려서 납작해진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평안북도 정주의 납청 시장에서 만드는 국수는 잘 쳐서 질기다는 데서 유래한다.
    納: 들일 淸: 맑을 場: 마당

  • 鏡中美人(경중미인) : (1)거울에 비친 미인이라는 뜻으로, 실속 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경우가 바르고 얌전하다고 하여 서울ㆍ경기 지역 사람의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鏡: 거울 中: 가운데 美: 아름다울 人: 사람

  • 還歸本處(환귀본처) : 물건이 본래의 임자에게 돌아감.
    還: 돌아올 歸: 돌아갈 本: 處: 머무를

  • 炊玉焚桂(취옥분계) : 옥을 불때고 계수나무를 불사른다는 뜻으로, 물가(物價)가 매우 비쌈을 비유하거나, 물건이 매우 귀중함의 비유로 사용하는 말.
    炊: 불땔 玉: 구슬 焚: 불사를 桂: 계수나무

  • 目短於自見(목단어자견) : 눈은 물건(物件)을 잘 보지만 자기(自己)의 눈 속은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자신(自身)의 선악(善惡)을 잘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目: 短: 짧을 於: 어조사 自: 스스로 見:

  • 鷄鳴狗盜(계명구도) :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鷄: 鳴: 狗: 盜: 도둑

  • 囊中取物(낭중취물) : 주머니 속에서 물건을 꺼내듯이 아주 손쉽게 얻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囊: 주머니 中: 가운데 取: 취할 物: 만물

  • 南金東箭(남금동전) : 화산(華山)의 금석(金石)과 회계(會稽)의 죽전(竹箭)이라는 말로, 아름답고 귀중(貴重)한 물건(物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南: 남녘 金: 東: 동녘 箭: 화살

  • 土積成山(토적성산)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土: 積: 쌓을 成: 이룰 山:

  • 車載斗量(차재두량) : (1)수레에 싣고 말로 된다는 뜻으로, 물건이나 인재 따위가 많아서 그다지 귀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수레에 싣고 말로 된다는 뜻으로, 물건이나 인재 따위가 많아서 그다지 귀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車: 수레 載: 실을 斗: 量: 헤아릴

  • 三遷之敎(삼천지교) :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三: 遷: 옮길 之: 敎: 가르칠

  • 秋扇(추선) : (1)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秋: 가을 扇: 부채

  •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孟: 母: 어미 三: 遷: 옮길 之: 敎: 가르칠

  • 刮垢磨光(괄구마광) : 때를 벗기고 빛나게 닦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을 때를 벗기고 빛이 나도록 닦음을 이르거나 인재(人材)를 길러냄을 비유하여 이르기도 함.
    刮: 깎을 垢: 磨: 光:

  • 掌中寶玉(장중보옥) : 손안에 있는 보배로운 구슬이란 뜻으로, 귀하고 보배롭게 여기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掌: 손바닥 中: 가운데 寶: 보배 玉: 구슬

  • 奇貨可居(기화가거) : 진기한 물건은 잘 간직하여 나중에 이익을 남기고 판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奇: 기이할 貨: 재화 可: 옳을 居: 있을

  • 孟母三遷(맹모삼천) :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孟: 母: 어미 三: 遷: 옮길

  • 蘭亭殉葬(난정순장) : 난정첩(蘭亭帖)을 순장(殉葬)한다는 뜻으로, 서화(書畵)나 도자기(陶瓷器) 등(等)의 물건(物件)을 사랑하는 마음이 두터움을 이르는 말.
    亭: 정자 殉: 따라 죽을 葬: 장사지낼

  • 買占賣惜(매점매석) : 물건값이 오를 것을 예상하여 한꺼번에 샀다가 팔기를 꺼려 쌓아 둠.
    買: 占: 점칠 賣: 惜: 아낄

1
#지위 65 #생각 236 #자리 94 #따위 228 #상대 56 #부모 136 #임금 189 #모양 142 #상태 110 #비유 1177 #목숨 58 #싸움 61 #시대 114 #사이 200 #자연 73 #여자 101 #세월 71 #머리 141 #가난 90 #어버이 60 #편안 62 #예전 60 #잘못 93 #이치 67 #하늘 251 #중국 253 #경계 56 #천하 94 #마음 496 #생활 8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702개) : 마가, 마각, 마간, 마갈, 마감, 마갑, 마개, 마건, 마경, 마계, 마고, 마곡, 마골, 마곰, 마공, 마관, 마괄, 마광, 마괴, 마굉, 마교, 마구, 마군, 마굴, 마권, 마궤, 마귀, 마극, 마근, 마기, 막간, 막강, 막개, 막객, 막골, 막공, 막급, 막기, 만가, 만각, 만간, 만감, 만강, 만개, 만겁, 만결, 만경, 만계, 만고, 만곡, 만골, 만공, 만과, 만관, 만광, 만괴, 만교, 만구, 만국, 만군, 만굴, 만궁, 만권, 만근, 만금, 만기, 맏간, 맏골, 말가, 말간, 말갈, 말감, 말값, 말강, 말개, 말객, 말거, 말겯, 말결, 말겻, 말경, 말곁, 말계, 말고, 말곰, 말곱, 말과, 말관, 말광, 말구, 말국, 말군, 말굽, 말굿, 말권, 말귀, 말그, 말글, 말금, 말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