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515

  • 難事必作易 획순 難事必作易(난사필작이) :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일에서 생겨난다는 .
    難: 어려울 事: 必: 반드시 作: 지을 易: 쉬울

  • 馬行千里路牛耕百畝田 획순 馬行千里路牛耕百畝田(마행천리로우경백무전) : 은 천리의 길을 가고, 소는 백이랑의 밭을 갊.
    馬: 行: 千: 일천 里: 마을 路: 牛: 耕: 百: 일백 畝: 이랑 田:

  • 孤雛腐鼠 획순 孤雛腐鼠(고추부서) : 외로운 병아리와 썩은 쥐라는 뜻으로, 미천한 사람이나 천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孤: 외로울 雛: 병아리 腐: 썩을 鼠:

  • 言者不知 획순 言者不知(언자부지) : 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안다고 자처하며 지껄이는 자는 사실상 알지 못한다는 도가(道家)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이치를 깨우치는 노자(老子)의 .
    言: 말씀 者: 不: 아닌가 知:

  • 刁蹬 획순 刁蹬(조등) : 간사한 꾀를 써서 물건의 시세를 오르게 함을 이르는 . 독수리가 토끼를 쫓아서 그의 힘이 지치기를 기다려 잡는다는 데서 나온 이다.
    刁: 바라 蹬: 비틀거릴

  • 一言之下(일언지하) : 한 마디로 잘라 함. 또는 두할 나위 없음.
    一: 言: 말씀 之: 下: 아래

  • 上山求魚(상산구어) : 산 위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上: 山: 求: 구할 魚: 고기

  • 開坼(개탁) : 봉한 편지나 서류 따위를 뜯어보라는 뜻으로, 주로 손아랫사람에게 보내는 편지의 겉봉에 쓰는 .
    開: 坼: 터질

  • 百無一取(백무일취) : 온갖 과 행실 가운데에 쓸 만한 것이 하나도 없음.
    百: 일백 無: 없을 一: 取: 취할

  • 得魚忘筌(득어망전) :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이를 이루기 위하여 했던 일들을 잊어버림을 이르는 . ≪장자≫의 <외물편(外物篇)>에 나오는 이다.
    得: 얻을 魚: 고기 忘: 잊을 筌: 통발

  • 文不加點(문불가점) : 글에 점 하나 더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글이 아주 잘되어서 흠잡을 곳이 없음을 이르는 .
    文: 글월 不: 아니 加: 더할 點:

  • 書不借人(서불차인) : 책은 남에게 빌려주지 않는다는 .
    書: 不: 아니 借: 人: 사람

  • 塞翁馬(새옹마) :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이다.
    塞: 변방 翁: 늙은이 馬:

  • 犬馬之年(견마지년) : 개나 처럼 보람 없이 헛되게 먹은 나이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의 나이를 낮추어 이르는 .
    犬: 馬: 之: 年:

  • 率口而發(솔구이발) : 입에서 나오는 대로 경솔하게 함부로 함.
    率: 거느릴 口: 而: 말 이을 發:

  • 絶弦(절현) : 절현(絶絃). (1) (현악기(絃樂器)의)줄을 끊음, 또는 그 끊어진 줄 (2) (중국(中國)에서 금(琴)의 명수 백아(伯牙)가 자기(自己) 금의 소리를 알아 준 종자기(鍾子期)가 죽은 후(後)에는 줄을 끊고 그 후(後) 다시는 타지 않았다는 옛일에서 나온 )자기(自己)의 속마음을 알뜰하게 알아 주던 친구(親舊)가 죽음의 비유(比喩).
    絶: 끊을 弦: 활시위

  • 鈍馬(둔마) : (1)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 (2)느리고 둔한 .
    鈍: 무딜 馬:

  • 河魚之疾(하어지질) : ‘복통’을 달리 이르는 .
    河: 강 이름 魚: 고기 之: 疾:

  • 肝膽楚越(간담초월) : 간과 쓸개의 사이가 고대 중국의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거리처럼 멀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어도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이르는 .
    肝: 膽: 쓸개 楚: 모형 越: 넘을

  • 萬有一體(만유일체) : 우주의 온갖 것은 한 몸임.
    萬: 일만 有: 있을 一: 體:

  • 失馬治廐(실마치구) : 을 잃고 외양간을 고친다는 뜻으로, 실패한 뒤에 늦게 손을 대는 것을 비유들어 이르는 .
    失: 잃을 馬: 治: 다스릴 廐: 마굿간

  • 百八煩惱(백팔번뇌) :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百: 일백 八: 여덟 煩: 번거로울 惱: 괴로워할

  • 虛荒之說(허황지설) : 헛되고 황당하여 미덥지 아니한 .
    虛: 荒: 거칠 之: 說: 말씀

  • 傷弓之鳥(상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
    傷: 다칠 弓: 之: 鳥:

  • 海不揚波(해불양파) : 바다에 파도가 일지 않는다는 뜻으로, 임금의 선정(善政)으로 백성이 편안함을 이르는 .
    海: 바다 不: 아니 揚: 오를 波: 물결

  • 四時長春(사시장춘) : (1)어느 때나 늘 봄과 같음. (2)늘 잘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四: 時: 長: 春:

  • 天眞爛漫(천진난만) : 이나 행동에 아무런 꾸밈이 없이 그대로 나타날 만큼 순진하고 천진함.
    天: 하늘 眞: 漫: 질펀할

  • 積土成山(적토성산)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積: 쌓을 土: 成: 이룰 山:

  • 靑雲之志(청운지지) :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욕망.
    靑: 푸를 雲: 구름 之: 志:

  • 三始(삼시) : 연(年)ㆍ월(月)ㆍ일(日)의 처음이라는 뜻으로, 정월 초하루의 아침을 이르는 .
    三: 始: 처음

  • 仁言利博(인언이박) : 어진 은 이로움이 넓다는 뜻으로, 인덕(仁德)이 있는 사람의 은 널리 대중에게까지 이익을 미친다는 의미.
    仁: 어질 言: 말씀 博: 넓을

  • 男兒須讀五車書(남아수독오거서) : 남자(男子)는 모름지기 다섯수레에 실을 만큼의 책을 읽으라는 .
    男: 사내 兒: 아이 須: 모름지기 讀: 읽을 五: 다섯 車: 수레 書:

  • 折檻(절함) : (1)강경하게 간(諫)함을 이르는 . 중국 전한(前漢)의 주운(朱雲)이 성제(成帝)에게 간하니 성난 임금이 그를 끌어내라고 하자, 어전의 난간을 붙잡고 계속 간하다가 그가 잡았던 난간이 부러졌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한서(漢書)≫의 <주운전(朱雲傳)>에 나오는 이다. (2)엄하게 꾸짖음.
    折: 꺾을 檻: 우리

  • 夢中夢說(몽중몽설) : 꿈속에서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하는지 종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
    夢: 中: 가운데 夢: 說: 말씀

  • 大言不慙(대언불참) : 큰소리만 내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실천 못할 일을 로만 떠들어대면서도 부끄러운 줄 모르는 것을 이르는 .
    大: 言: 말씀 不: 아니 慙: 부끄러울

  • 蓋棺事定(개관사정) :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에야 일을 결정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죽은 후에야 비로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됨을 이르는 .
    蓋: 덮을 棺: 事: 定: 정할

  • 婦言是用(부언시용) : 여자의 이 옳다고 쓴다는 뜻으로, 여성의 을 무조건 옳다고 여겨서 잘 듣는 것을 이르는 .
    婦: 며느리 言: 말씀 是: 옳을 用:

  • 戴天之怨讐(대천지원수) :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하는 원수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진 원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
    戴: 天: 하늘 之: 怨: 원망할 讐: 원수

  • 簪纓(잠영) : (1)관원이 쓰던 비녀와 갓끈. (2)양반이나 지위가 높은 벼슬아치 또는 그 지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 높은 벼슬아치들이 잠영을 쓴 데에서 유래하였다.
    簪: 비녀 纓: 갓끈

  • 判官使令(판관사령) : 감영이나 유수영의 판관에 딸린 사령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하라는 대로 잘 따르는 남자를 놀림조로 이르는 .
    判: 뻐갤 官: 벼슬 使: 부릴 令: 하여금

  • 七步詩(칠보시) :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지어진 시. 또는 즉석에서 읊은 시나 그러한 재능을 지닌 시인. 이 은 중국 위나라 초대 황제인 문제 조비가 사이가 좋지 않은 그의 동생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시를 짓지 못하면 벌을 내리겠다고 하자, 조식이 즉석에서 오언 고시를 지어냈다는 데서 비롯된 이다.
    七: 일곱 步: 걸을 詩:

  • 師心自用(사심자용) : 마음을 스승으로 삼고 스스로 쓴다는 뜻으로, 자기가 생각하는 일은 다 옳다 하여 그대로만 하고 남의 은 귀기울이지 않는다는 의미.
    師: 스승 心: 마음 自: 스스로 用:

  • 蹄涔(제잠) : 소나 의 발자국 속에 조금 괴어 있는 물이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蹄: 涔: 괸물

  • 父主前(부주전) : 아버지에게 쓰는 편지에서, ‘아버지께’의 뜻으로 쓰는 .
    父: 아비 主: 주인 前:

  • 見兎放狗(견토방구) : 토끼를 발견(發見)한 후(後)에 사냥개를 놓아서 잡게 하여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사태(事態)의 진전을 관망(觀望)한 후(後)에 응(應)하여도 좋다는 .
    見: 兎: 토끼 放: 놓을 狗:

  • 表裏一體(표리일체) : 안팎이 한 덩어리가 된다는 뜻으로, 두 가지 사물의 관계가 밀접하게 됨을 이르는 .
    表: 裏: 一: 體:

  • 土牛木馬(토우목마) :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로 사용됨.
    土: 牛: 木: 나무 馬:

  • 戰戰兢兢(전전긍긍) :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함. ≪시경≫의 <소민편(小旻篇)>에서 나온 이다.
    戰: 싸움 戰: 싸움 兢: 삼갈 兢: 삼갈

  • 凡聖不二(범성불이) : 범인과 성인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사람은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불교 용어.
    凡: 무릇 聖: 성스러울 不: 아니 二:

  • 欲吐未吐(욕토미토) : 을 금방 할 듯 할 듯 하면서 아직 아니 함.
    欲: 하고자 할 吐: 토할 未: 아닐 吐: 토할

  • 妄言多謝(망언다사) : 자기가 한 속에 망언이 있으면 깊이 사과한다는 뜻으로, 편지나 비평문 따위의 글에서 자신의 글을 낮추어 이르는 .
    妄: 망령될 言: 말씀 多: 많을 謝: 사례할

  • 難兄難弟(난형난제) : 누구를 형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
    難: 어려울 兄: 難: 어려울 弟: 아우

  • 子欲養而親不待(자욕양이친부대) :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봉양(奉養)하고자 하나 부모(父母)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부모(父母)를 잃은 자식(子息)의 슬픔을 가리키는 로 부모(父母)가 살아계실 때 효도(孝道)를 다하라는 뜻.
    子: 아들 欲: 하고자 할 養: 기를 而: 말 이을 親: 친할 不: 아닌가 待: 기다릴

  • 瑕玉(하옥) : 흠이 없으면 완전(完全)한 것인데, 아깝게도 흠이 있어 결점(缺點)이 된다는 뜻으로, 옥에도 티가 있다는 .
    瑕: 玉: 구슬

  • 口禍之門(구화지문) : 화는 입으로부터 생기므로 을 삼가야 함.
    口: 禍: 재난 之: 門:

  • 難中之難(난중지난) : 어려운 일 가운데서도 가장 어려움.
    難: 어려울 中: 가운데 之: 難: 어려울

  • 無辭可答(무사가답) : 사리가 옳아 감히 무어라고 대답할 이 없음.
    無: 없을 辭: 말씀 可: 옳을 答: 대답할

  • 武陵桃源(무릉도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武: 호반 陵: 큰 언덕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 犬馬之心(견마지심) : 개나 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
    犬: 馬: 之: 心: 마음

  • 康衢煙月(강구연월) :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
    康: 편안할 衢: 네거리 煙: 연기 月:

  • 望六(망륙) : 사람의 나이가 예순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쉰한 살을 이르는 .
    望: 바랄 六: 여섯

  • 驪騾犢特(여라독특) : 나귀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家畜)을 함.
    騾: 노새 犢: 송아지 特: 유다를

  • 萬物之靈(만물지령) : 온갖 물건의 정령(精靈).
    萬: 일만 物: 만물 之: 靈: 신령

  • 空念佛(공염불) : (1)신심(信心)이 없이 입으로만 외는 헛된 염불. (2)실천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이나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空: 佛: 부처

  • 朝得暮失(조득모실) : 아침에 얻어 저녁에 잃는다는 뜻으로, 얻은 지 얼마 되지 않아 곧 잃어버림을 이르는 .
    朝: 아침 得: 얻을 暮: 저물 失: 잃을

  • 破竹之勢(파죽지세) : 대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를 이르는 . ≪진서(晉書)≫의 <두예전(杜預傳)>에서 나온 이다.
    破: 깨뜨릴 竹: 之: 勢: 기세

  • 橫說竪說(횡설수설) : 조리가 없이 을 이러쿵저러쿵 지껄임.
    橫: 가로 說: 말씀 竪: 더벅머리 說: 말씀

  • 可欺以方(가기이방) : 그럴듯한 로써 남을 속일 수 있음.
    可: 옳을 欺: 속일 以: 方:

  • 街談(가담) : 길거리에 떠도는 이나 화젯거리.
    街: 거리 談: 말씀

  • 辭色不變(사색불변) : 너무 태연하여 과 얼굴빛이 조금도 변하지 아니함.
    辭: 말씀 色: 不: 아니 變: 변할

  • 快果(쾌과) : 시원한 과일이란 뜻으로, ‘배’를 달리 이르는 .
    快: 쾌할 果: 실과

  • 耕讀(경독) : (1)농사짓기와 글 읽기. (2)농사를 지으며 글을 읽음.
    耕: 讀: 읽을

  • 呼牛呼馬(호우호마) : 소라 부르고, 이라 부른다는 뜻으로, 남이 나를 소나 이라 불러도 이에 거역 않고 응하는 것에서 남들이 나를 무어라 비판해도 개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
    呼: 부를 牛: 呼: 부를 馬:

  • 三年不飛又不鳴(삼년불비우불명) : 새가 멀리 날고 크게 울 날을 기다려 삼 년 동안이나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 뜻을 펼치기 위하여 적절한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 ≪사기≫의 <골계열전(滑稽列傳)>과 ≪여씨춘추≫의 <심응람(審應覽)>에 나오는 이다.
    三: 年: 不: 아니 飛: 又: 不: 아니 鳴:

  • 敬人者人恒敬之(경인자인항경지) : 다른 사람들을 공경(恭敬)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도 늘 그를 공경(恭敬)해준다는 .
    敬: 공경 人: 사람 者: 人: 사람 恒: 항상 敬: 공경 之:

  • 談虎虎至(담호호지) : 호랑이도 제 을 하면 온다는 뜻으로, 이야기에 오른 사람이 마침 그 자리에 나타남을 이르는 .
    談: 말씀 虎: 虎: 至: 이를

  • 鉛刀一割(연도일할) : (1)납으로 만든 칼도 한 번은 자를 힘이 있다는 뜻으로, 자기의 힘이 없음을 겸손하게 이르는 . (2)다시는 쓰지 못함을 이르는 . (3)우연히 얻게 된 공명이나 영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
    鉛: 刀: 一: 割: 나눌

  • 傅會(부회) : 부회(部會). (1) 이치(理致)에 닿지 않는 것을 억지로 끌어대어 이치(理致)에 맞게 하는 것 (2) 이나 이론(理論)을 억지로 끌어다 붙임.
    傅: 스승 會: 모일

  • 飯蔬食(반소사) : 거칠고 반찬(飯饌) 없는 밥이라는 뜻으로, 안빈 낙도(安貧樂道)함을 일컫는 .
    飯: 蔬: 나물 食:

  • 風雲魚水(풍운어수) : 바람ㆍ구름ㆍ고기ㆍ물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의 친밀한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
    風: 바람 雲: 구름 魚: 고기 水:

  • 訥言敏行(눌언민행) : 은 느려도 실제 행동은 재빠르고 능란함.
    訥: 말더듬을 言: 말씀 敏: 재빠를 行:

  • 樂生於憂(낙생어우) : 즐거움은 언제나 걱정하는 데서 나온다는 .
    生: 於: 어조사 憂: 근심

  • 父母遺體(부모유체) : 부모가 남긴 몸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된 몸을 이르는 .
    父: 아비 母: 어미 遺: 남길 體:

  • 言語同斷(언어동단) : 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서 하려 해도 할 수 없음을 이르는 .
    言: 말씀 語: 말씀 同: 한가지 斷: 끊을

  • 吐盡(토진) : 다 토한다는 뜻으로, 실정(實情)을 숨김없이 다 털어놓고 함을 이르는 .
    吐: 토할 盡: 다할

  • 和光同塵(화광동진) : (1)빛을 감추고 티끌 속에 섞여 있다는 뜻으로, 자기의 뛰어난 지덕(智德)을 나타내지 않고 세속을 따름을 이르는 .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 나오는 이다. (2)불보살이 중생을 깨우치기 위하여 속인들 사이에 태어나 중생과 인연을 맺어 중생을 불법으로 인도함.
    和: 고를 光: 同: 한가지 塵: 티끌

  • 庚戌國恥(경술국치) : ‘국권 피탈’의 전 용어.
    庚: 일곱째 천간 戌: 國: 나라 恥: 부끄러워할

  • 間不容髮(간불용발) : (1)머리카락 하나 들어갈 틈도 없다는 뜻으로, 주도면밀하여 빈틈이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 (2)사태가 매우 다급하여 여유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
    間: 不: 아니 容: 얼굴 髮: 터럭

  • 輕薄浮虛(경박부허) : 하고 행동하는 것이 신중하지 못하고 가벼움.
    輕: 가벼울 薄: 엷을 浮: 虛:

  • 寶貨難售(보화난수) : 보물은 팔기 어렵다는 뜻으로, 너무 귀한 보물은 값이 비싸 쉽사리 팔리지 않는 것처럼 훌륭한 사람은 기량(器量)이 크므로 남에게 등용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
    寶: 보배 貨: 재화 難: 어려울 售:

  • 執意抗言(집의항언) : 뜻을 잡고 을 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의견을 고집하여 굽히지 않음을 이르는 .
    執: 잡을 意: 抗: 막을 言: 말씀

  • 算命先生(산명선생) : 운명과 재수의 좋고 나쁨을 점치는 사람을 높여 이르는 .
    算: 셈할 命: 목숨 先: 먼저 生:

  • 洗耳(세이) : 귀를 씻는다는 뜻으로, 1) 더러운 을 들은 귀를 씻고 깨끗이 한다는 의미. 2) 잘 들으려고 귀를 기울임.
    洗: 씻을 耳:

  • 懷寵尸位(회총시위) : 총애를 품고 헛되이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임금의 사랑을 믿고 물러가야 할 때에 물러가지 않고 직위를 도둑질하고 있음을 이르는 .
    懷: 품을 寵: 尸: 주검 位: 자리

  • 破天荒(파천황) : (1)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이르는 .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나오는 로, 중국 당나라의 형주(荊州) 지방에서 과거의 합격자가 없어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라는 뜻으로 천황(天荒)이라고 불리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하여 천황을 깼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破: 깨뜨릴 天: 하늘 荒: 거칠

  • 眼孔小(안공소) : 눈구멍이 작다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眼: 孔: 구멍 小: 작을

  • 賊仁者謂之賊(적인자위지적) : 인(仁)을 해(害)치는 자가 진짜 도적(盜賊)이라는 .
    賊: 도둑 仁: 어질 者: 謂: 이를 之: 賊: 도둑

  • 語文一致(어문일치) : 실제로 쓰는 과 그 을 적은 글이 일치함.
    語: 말씀 文: 글월 一: 致: 이룰

  • 江山不老(강산불로) : 강산(江山)은 늙지 않고 영구(永久) 불변(不變)이라는 뜻으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비는 .
    江: 山: 不: 아니 老: 늙을

  • 四顧無親(사고무친) : 의지할 만한 사람이 아무도 없음.
    四: 顧: 돌아볼 無: 없을 親: 친할

1 2 3 5 6 7
#비유 1177 #실패 56 #이치 67 #부모 136 #마음 496 #나무 166 #따위 228 #재앙 64 #싸움 61 #처음 91 #조금 96 #근본 66 #중국 253 #형용 67 #사람 1461 #아침 72 #은혜 70 #이름 211 #인간 65 #노력 69 #군자 56 #소리 96 #때문 58 #유래 280 #고사 108 #세월 71 #자식 104 #잘못 93 #문장 59 #사랑 9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