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515

  • 老蚌生珠 획순 老蚌生珠(노방생주) : 늙은 방합(蚌蛤)에서 구슬이 나온다는 뜻으로, (1) 총명(聰明)한 아들을 둔 사람에게 그를 기려 축하(祝賀)하는 (2) 부자(父子)가 모두 영명(令名)을 가졌음을 이르는 (3) 만년(晩年)에 아들을 얻음을 이름.
    蚌: 방합 生: 珠: 구슬

  • 靑出於藍 획순 靑出於藍(청출어람) :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순자(荀子)≫의 <권학편(勸學篇)>에 나오는 이다.
    靑: 푸를 出: 於: 어조사 藍:

  • 奪胎換骨 획순 奪胎換骨(탈태환골) : 태를 빼앗고 뼈대를 바꾼다는 뜻으로, 옛사람의 시(詩)를 바탕으로 을 만든다는 의미에서 남의 글을 본떠 지었으나 그 짜임새와 수법이 아니 딴판으로 잘됨을 이르거나, 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을 이르기도 함.[= 換骨奪胎].
    奪: 빼앗을 胎: 아이밸 換: 바꿀 骨:

  • 亡羊補牢 획순 亡羊補牢(망양보뢰) :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 원래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실패해도 빨리 뉘우치고 수습하면 늦지 않는다는 로 쓰였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亡: 잃을 羊: 補: 기울 牢: 우리

  • 揚沙走石 획순 揚沙走石(양사주석) :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구른다는 뜻으로, 바람이 세차게 붊을 이르는 .
    揚: 오를 沙: 모래 走: 달릴 石:

  • 名母(명모) : 자식이 어머니의 이름을 직접 부른다는 뜻으로, 배운 것을 잘못 이용하여 경솔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
    名: 이름 母: 어미

  • 呂翁枕(여옹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翁: 늙은이 枕: 베개

  • 拈華示衆(염화시중) : 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華: 빛날 示: 보일 衆: 무리

  • 槌輕釘聳(퇴경정용) : 마치가 가벼우면 못이 도로 솟는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엄하게 다스리지 아니하면 아랫사람이 을 듣지 아니하거나 도리어 들고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槌: 던질 輕: 가벼울 釘: 聳: 솟을

  • 長者萬燈(장자만등) : 장자의 일만 개의 등(等)이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부자(富者)가 신불(神佛)에게 일만 개의 등(等)을 올리는 반면에 가난한 여인(女人)은 단 하나의 등(等)을 바치지만, 그 참뜻만 있으면 가난한 여인(女人)의 한 등(等)이 장자의 만 등(等)에 못지 않다는 .
    長: 者: 萬: 일만 燈: 등불

  • 白魚入舟(백어입주) :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白: 魚: 고기 入: 舟:

  • 刻鵠類鵝(각곡유아) :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
    刻: 새길 鵠: 고니 鵝: 거위

  •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 : 다른 사람의 자식은 내가 가르치고 내 자식은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여 가르친다는 . ≪맹자≫의 <이루(離婁)> 상편에 나오는 이다.
    易: 바꿀 子: 아들 而: 말 이을 敎: 가르칠 之:

  • 覆水不返盆(복수불반분) : 엎지른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일단 저지른 일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는 . ≪습유기≫에 나오는 이다.
    覆: 뒤집힐 水: 不: 아니 返: 돌아올 盆: 동이

  • 飯囊(반낭) : (1)밥을 담는 주머니. (2)아무 일도 하지 않고 밥이나 축내는 쓸모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
    飯: 囊: 주머니

13 14 15
#사용 312 #동안 70 #천하 94 #사이 200 #이치 67 #가난 90 #재주 82 #관계 90 #경우 64 #시대 114 #나라 392 #음식 79 #행동 137 #임금 189 #때문 58 #어버이 60 #문장 59 #벼슬 88 #서로 71 #어머니 72 #부모 136 #세상 339 #고사 108 #모양 142 #경계 56 #물건 136 #태도 72 #군자 56 #인간 65 #훌륭 8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