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에 관한 한자 모두 392

  • 亡國之音 획순 亡國之音(망국지음) : 나라를 망하게 할 음악이란 뜻으로, 저속하고 잡스러운 음악을 이르는 말.
    亡: 잃을 國: 나라 之: 音: 소리

  • 路不拾遺 획순 路不拾遺(노불습유) :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還歸故國 획순 還歸故國(환귀고국) : 외국에 나가 있던 사람이 자기 나라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還: 돌아올 歸: 돌아갈 故: 國: 나라

  • 末大必折 획순 末大必折(말대필절) :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자손(子孫)이 강성해지면 종가(宗家)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 또는 변방(邊方)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
    末: 大: 必: 반드시 折: 꺾을

  • 虎前乞肉 획순 虎前乞肉(호전걸육) :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虎: 前: 乞: 肉: 고기

  • 布射僚丸(포사요환) : 한(漢)나라 여포(呂布)는 화살을 잘 쐈고, 의료(宜遼)는 탄자(彈子)를 잘 던졌음.
    布: 射: 丸:

  • 査頓八寸(사돈팔촌) : 사돈의 팔촌이라는 뜻으로, 소원(疎遠)한 친척으로 남이나 다를 바 없다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査: 조사할 頓: 조아릴 八: 여덟 寸: 마디

  • 楚材晉用(초재진용) : 초나라의 인재를 진(晉)나라에서 쓴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 안에서는 그 진가를 알아주지 못하고 남이 그것을 이용함을 이르는 말.
    楚: 모형 材: 재목 晉: 나라 이름 用:

  • 士大夫(사대부) : (1)사(士)와 대부(大夫)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 양반(文武兩班)을 일반 평민층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벼슬이나 문벌이 높은 집안의 사람.
    士: 선비 大: 夫: 지아비

  • 天無淫雨(천무음우) : 하늘에서 궂은비가 내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태평한 나라나 태평한 시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無: 없을 淫: 음란할 雨:

  • 事大主義(사대주의) : 주체성이 없이 세력이 강한 나라나 사람을 받들어 섬기는 태도.
    事: 大: 主: 주인 義: 옳을

  • 麥穗(맥수) : 보리의 이삭.
    麥: 보리 穗: 이삭

  • 法約三章(법약삼장) :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진(秦)의 가혹(苛酷)한 법을 고쳐 세 조문(條文)으로 줄인 일.
    法: 約: 묶을 三: 章: 문채

  • 越鳥巢南枝(월조소남지) : 월나라 새가 남쪽 가지에 둥우리를 튼다는 뜻으로, 월조가 남쪽 고국을 생각하며 남쪽 가지에 집을 짓듯이 고향을 잊지 못함을 비유함.
    越: 넘을 鳥: 巢: 보금자리 南: 남녘 枝: 가지

  • 臂不外曲(비불외곡) : 팔은 안으로 굽지 밖으로 굽지 않음을 이르는 말.
    臂: 不: 아니 外: 바깥 曲: 굽을

  • 千乘之國(천승지국) : 병거(兵車) 천 대를 갖출 힘이 있는 나라라는 뜻으로, 제후가 다스리는 나라를 이르는 말.
    千: 일천 乘: 之: 國: 나라

  • 班門弄斧(반문농부) : 자신의 실력도 헤아리지 아니하고 어떤 일을 하려고 당치 아니하게 덤비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 기계를 잘 만드는 반수(班輸)라는 사람을 흉내 내어, 그의 집 문 앞에서 도끼를 가지고 기계를 만들려고 한 어리석은 사람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班: 나눌 門: 斧: 도끼

  • 千里同風(천리동풍) : 천 리에 걸쳐 같은 바람이 분다는 뜻으로, 세상이 통일되어 천 리나 떨어진 곳까지 풍속이 같아짐을 이르는 말.
    千: 일천 里: 마을 同: 한가지 風: 바람

  • 虎溪三笑(호계삼소) :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虎: 溪: 시내 三: 笑: 웃을

  • 背水之陣(배수지진) : (1)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진.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이 강을 등지고 진을 쳐서 병사들이 물러서지 못하고 힘을 다하여 싸우도록 하여 조(趙)나라의 군사를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더이상 물러설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背: 水: 之: 陣: 진칠

  • 婦老爲姑(부로위고) :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말.
    婦: 며느리 老: 늙을 爲: 姑: 시어미

  • 見危授命(견위수명) :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바친다는 뜻으로, 국가나 군부(君父)의 위급함에 즈음하여 자신의 목숨을 바쳐 대처한다는 의미. ◈ 원문 - 士, 見利思義, 見危授命.《논어》.
    見: 危: 위태할 授: 命: 목숨

  • 血食千秋(혈식천추) :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가 오래도록 끊이지 아니함.
    血: 食: 千: 일천 秋: 가을

  • 邯鄲之枕(한단지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枕: 베개

  • 愛國之誠(애국지성) : 자기 나라를 사랑하는 정성.
    愛: 사랑 國: 나라 之: 誠: 정성

  • 吐哺握髮(토포악발) : 민심을 잡고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吐: 토할 哺: 먹일 握: 髮: 터럭

  • 桂玉之艱(계옥지간)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에서 고학(苦學)하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艱: 어려울

  • 秦庭之哭(진정지곡) : 남에게 원조를 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초(楚)나라의 신포서(申包胥)가 진(秦)나라로 가서 담에 의지하여 이레 동안 곡(哭)을 한 후에 비로소 원군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秦: 나라 이름 庭: 之: 哭:

  • 東山高臥(동산고와) : 속세의 번잡함을 피하여 산중에 은거함을 이르는 말. 진(晉)나라의 사안(謝安)이 속진(俗塵)을 피하여 저장성(浙江省)의 둥산산에 은거하였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東: 동녘 山: 高: 높을 臥: 누울

  • 推位讓國(추위양국) : 벼슬을 미루고 나라를 사양(辭讓)하니 요(堯)임금이 순(舜)임금에게 전위(傳位)하였음.
    推: 옮을 位: 자리 讓: 사양할 國: 나라

  • 指鹿爲馬(지록위마) : (1)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의 조고(趙高)가 자신의 권세를 시험하여 보고자 황제 호해(胡亥)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2)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서 남을 속이려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指: 손가락 鹿: 사슴 爲: 馬:

  • 草滿囹圄(초만영어) : 감옥 안에 풀이 가득 자랐다는 뜻으로, 나라를 잘 다스려 죄인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서≫의 순리(循吏)편에 나오는 유광(劉曠)이라는 벼슬아치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草: 滿: 圄:

  • 以夷制夷(이이제이) : 오랑캐로 오랑캐를 무찌른다는 뜻으로, 한 세력을 이용하여 다른 세력을 제어함을 이르는 말.
    以: 夷: 오랑캐 制: 마를 夷: 오랑캐

  • 天涯異域(천애이역) : 하늘 끝의 이역이라는 뜻으로, 매우 먼 남의 나라를 이르는 말.
    天: 하늘 涯: 물가 異: 다를 域: 지경

  • 家給千兵(가급천병) : 제후(諸侯) 나라에 일천 군사(軍士)를 주어 그의 집을 호위(護衛)시킴.
    家: 給: 넉넉할 千: 일천 兵: 군사

  • 三年不蜚(삼년불비) : 삼 년 동안이나 날지 않는다는 뜻으로, 훗날 웅비할 기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중국 초(楚)나라 장왕(莊王)이 삼 년 동안 정사를 돌보지 않고 지내는 것을 보고 오거(伍擧)가 간하자, 장왕이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三: 年: 不: 아니 蜚: 바퀴

  • 政如魯衛(정여노위) :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의 시조 주공(周公)과 위나라의 시조 강숙(康叔)이 형제인 데에서 온 말이다.
    政: 정사 如: 같을 衛: 지킬

  • 東施效矉(동시효빈) : 동시(東施), 곧 못생긴 여자(女子)가 서시(西施)의 눈썹 찌푸림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시비(是非)나 선악(善惡)의 판단(判斷) 없이 남을 흉내냄을 이르는 말. 서시(西施)는 월(越)나라의 미녀.
    東: 동녘 施: 베풀 效: 본받을 矉: 찡그릴

  • 宗廟社稷(종묘사직) : 왕실과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
    宗: 마루 廟: 사당 社: 토지신 稷: 기장

  • 四戰之國(사전지국) : 지형(地形) 상(上) 사방(四方) 어느 곳에서도 적의 침입(侵入)이 가능(可能)한 나라.
    四: 戰: 싸움 之: 國: 나라

  • 亡國之歎(망국지탄) : 나라가 망함에 대(對)한 탄식(歎息).
    亡: 잃을 國: 나라 之: 歎: 탄식할

  • 董狐之筆(동호지필) : 사실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씀을 이르는 말.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사관(史官)이었던 동호(董狐)가 위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사실대로 직필(直筆)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董: 바로잡을 狐: 여우 之: 筆:

  • 胡馬望北(호마망북) : 호(胡)나라의 말이 호나라 방향인 북쪽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胡: 오랑캐 馬: 望: 바랄 北: 북녘

  • 射空中鵠(사공중곡) : 무턱대고 쏜 화살이 과녁에 맞았다는 뜻으로, 멋모르고 한 일이 우연히 들어맞아 성공하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射: 空: 中: 가운데 鵠: 고니

  • 單一民族(단일민족) : 한 나라의 주민이 단일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민족.
    單: 一: 民: 백성 族: 겨레

  • 孫康映雪(손강영설) :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손강(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孫: 손자 康: 편안할 映: 비칠 雪:

  • 鐵血政略(철혈정략) : 무력으로 나라의 위엄을 떨치려는 정략.
    鐵: 血: 政: 정사 略: 다스릴

  • 肇基王迹(조기왕적) : 처음으로 나라를 세우는 기초(基礎).
    肇: 비롯할 基: 王: 임금 迹: 자취

  • 憂國之士(우국지사) : 나랏일을 근심하고 염려하는 사람.
    憂: 근심 國: 나라 之: 士: 선비

  • 戶封八縣(호봉팔현) : 한(漢)나라가 천하(天下)를 통일(統一)하고 여덟 고을 민호(民戶)를 주어 공신(功臣)을 봉(封)함.
    戶: 지게 封: 봉할 八: 여덟 縣: 고을

  • 踐土會盟(천토회맹) : 진(晉)나라 문공(文公)이 제후(諸侯)를 천토(踐土)에 모아, 주(周)나라의 천자(天子)를 공경(恭敬)하고 조공(朝貢)할 것을 맹세(盟誓)함.
    踐: 밟을 土: 會: 모일 盟: 맹세

  • 開國始祖(개국시조) : 나라를 처음으로 세운 조상.
    開: 國: 나라 始: 처음 祖: 할아비

  • 亡國民族(망국민족) : 나라가 망(亡)하여 조국(祖國)을 잃은 민족(民族).
    亡: 잃을 國: 나라 民: 백성 族: 겨레

  • 若得一敵國(약득일적국) : 자기(自己) 나라와 힘이 대등(對等)한 나라를 얻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한 인재(人材)를 얻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若: 같을 得: 얻을 一: 敵: 원수 國: 나라

  • 形勝之國(형승지국) : 지세가 좋아서 싸우면 이길 만한 자리에 있는 나라.
    形: 형상 勝: 이길 之: 國: 나라

  • 寢室之憂(침실지우) : 중국(中國) 노(魯)나라의 한 천부(賤婦)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로,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寢: 잠잘 室: 之: 憂: 근심

  • 治國安民(치국안민) : 나라를 잘 다스리고 백성을 평안하게 함.
    治: 다스릴 國: 나라 安: 편안할 民: 백성

  • 折足覆餗(절족복속) : 솥발을 부러뜨려 음식을 엎지른다는 뜻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소인을 쓰면 그 임무를 감당하지 못하여 나라를 위태롭게 만듦을 이르는 말.
    折: 꺾을 足: 覆: 뒤집힐 餗:

  • 亂臣賊子(난신적자) : (1)‘난신적자’의 북한어. (2)나라를 어지럽히는 불충한 무리.
    臣: 신하 賊: 도둑 子: 아들

  • 忠君愛國(충군애국) :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고 나라를 사랑함.
    忠: 충성 君: 임금 愛: 사랑 國: 나라

  • 爲國忠節(위국충절) : 나라를 위한 충성스러운 절개.
    爲: 國: 나라 忠: 충성 節: 마디

  • 棟梁之材(동량지재) : 기둥과 들보로 쓸 만한 재목이라는 뜻으로, 한 집안이나 한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한 일을 맡을 만한 인재를 이르는 말.
    棟: 용마루 梁: 들보 之: 材: 재목

  • 治國平天下(치국평천하) : 나라를 잘 다스리고 온 세상을 평안하게 함.
    治: 다스릴 國: 나라 平: 평평할 天: 하늘 下: 아래

  • 兩虎相鬪(양호상투) : 두 마리의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힘이 센 두 편이 맞붙어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虎: 相: 서로 鬪: 싸움

  • 創業垂統(창업수통) : 나라나 사업(事業)을 먼저 일으켜 자손(子孫)이 이어받을 수 있도록 그 통서(統緖)를 전(傳)해 줌.
    創: 비롯할 業: 垂: 드리울 統: 거느릴

  • 事上磨鍊(사상마련) : 개념(槪念)을 통(通)해서가 아니고, 실제(實際)로 일을 하면서 정신(精神)을 단련(鍛鍊)함. 중국(中國) 명(明)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왕양명(王陽明)이 학문(學問)을 설명(說明)한 말.
    事: 上: 磨: 鍊: 불릴

  • 亡國之本(망국지본) : 나라를 망하게 하는 근본.
    亡: 잃을 國: 나라 之: 本:

  • 濟弱扶傾(제약부경) : 약한 나라를 구제(救濟)하고 기울어지는 제신(諸臣)을 도와서 붙들어 줌.
    濟: 건널 弱: 약할 扶: 도울 傾: 기울

  • 黍離(서리) : 나라가 멸망하여 옛 궁궐 터에는 기장만이 무성한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세상의 영고성쇠가 무상함을 탄식하며 이르는 말.
    黍: 기장 離: 떠날

  • 南面出治(남면출치) : 임금의 자리에 오르거나 임금이 되어 나라를 다스림을 이르는 말. 임금이 남쪽을 향하여 신하와 대면한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面: 出: 治: 다스릴

  • 杜門不出(두문불출) : (1)집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함. (2)세상을 피하여 집에서 숨어 살면서 나라나 사회의 일을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杜: 팥배나무 門: 不: 아니 出:

  • 漆書壁經(칠서벽경) : 한(漢)나라 영제가 돌벽에서 발견(發見)한 서골과 공자(孔子)가 발견(發見)한 육경(六經)도 비치(備置)되어 있음.
    漆: 書: 壁: 經: 지날

  • 草茅危言(초모위언) : 초야에 묻힌 재야인사가 나라의 정사에 대하여 통탄하여 논의함. 또는 그런 논의.
    草: 茅: 危: 위태할 言: 말씀

  • 亡國大夫(망국대부) : 망하여 없어진 나라의 벼슬아치.
    亡: 잃을 國: 나라 大: 夫: 지아비

  • 桑林之說(상림지설) : 중국 은나라의 탕왕이 하늘에 기우제를 지내고 비를 내리게 했다는 이야기.
    桑: 뽕나무 林: 수풀 之: 說: 말씀

  • 犬馬之忠(견마지충) : 주인에 대한 개나 말의 충성이라는 뜻으로,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바치는 충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犬: 馬: 之: 忠: 충성

  • 華胥之國(화서지국) : 잘 다스려진 태평(太平)한 나라.
    華: 빛날 胥: 서로 之: 國: 나라

  • 郢書燕說(영서연설) : 영(郢) 땅 사람의 글을 연(燕)나라 사람이 설명(說明)한다는 뜻으로, 도리(道理)에 맞지 않는 일을 억지로 끌어대어 도리(道理)에 닿도록 함을 이르는 말.
    郢: 땅 이름 書: 燕: 제비 說: 말씀

  • 兩疏見機(양소견기) : 한(漢)나라의 소광과 소수는 기틀을 보고 상소(上疏)하고 낙향(落鄕)함.
    疏: 트일 見: 機: 베틀

  • 齊東野人(제동야인) : 중국 제나라의 동쪽에 사는 야인들이 매우 어리석었다는 데서, 사리에 밝지 못한 시골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齊: 가지런할 東: 동녘 野: 人: 사람

  • 秦晉之誼(진진지의) : 혼인을 맺은 두 집 사이의 가까운 정의(情誼)를 이르는 말. 중국의 진(秦)나라와 진(晉)나라의 왕실이 혼인을 맺고 지낸 데서 유래한다.
    秦: 나라 이름 晉: 나라 이름 之: 誼: 옳을

  • 賀祥瑞儀(하상서의) : 상서(祥瑞)로운 일을 축하하는 의례라는 뜻으로, 전쟁에 이겼을 때나, 나라의 큰 경사 등 상서(祥瑞)로운 일이 있었을 때 하례(賀禮)하는 의식을 이르는 말.
    賀: 하례할 祥: 상서로울 瑞: 상서 儀: 거동

  • 治國若鎒田(치국약누전) :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농부가 밭의 김을 매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치국은 백성(百姓)을 괴롭히는 자를 제거하는 데 있음을 이르는 말.
    治: 다스릴 國: 나라 若: 같을 鎒: 김맬 田:

  • 名滿一國(명만일국) : 이름이 한 나라에 널리 퍼짐.
    名: 이름 滿: 一: 國: 나라

  • 亡國滅族(망국멸족) : 나라와 그 겨레가 함께 망함.
    亡: 잃을 國: 나라 滅: 멸망할 族: 겨레

  • 一顧傾城(일고경성) : 한 번 돌아보면 성이 기운다는 뜻으로, 뛰어난 미인을 이르는 말.
    一: 顧: 돌아볼 傾: 기울 城:

  • 改土歸流(개토귀류) : 중국에서, 원나라 이후에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취하던 정책. 서북ㆍ서남의 변경 지역을 다스리던 토사(土司)를, 중앙에서 임명한 벼슬아치인 유관(流官)이 다스리게 함으로써, 소수 민족의 중국화에 힘썼다.
    改: 고칠 土: 歸: 돌아갈 流: 흐를

  • 湯武放伐(탕무방벌) : 탕왕과 무왕이 쫓아내어 죽인다는 뜻으로, 중국 고대 은(殷)나라의 탕왕(湯王)이 하(夏)나라의 걸왕(桀王)을 내치고,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친 폭군을 정벌한 역성혁명(易姓革命)을 일컫는 말.
    湯: 끓일 武: 호반 放: 놓을 伐:

  • 桂玉之愁(계옥지수)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愁: 시름

  • 鄒魯(추로) : 추나라는 맹자의 출생지이고 노나라는 공자의 출생지인 데서 공자와 맹자를 달리 이르는 말.
    鄒: 나라 이름 魯: 노둔할

  • 坊坊曲曲(방방곡곡) : 한 군데도 빠짐이 없는 모든 곳.
    坊: 동네 坊: 동네 曲: 굽을 曲: 굽을

  • 地醜德齊(지추덕제) : 토지의 크기나 덕이 서로 비슷하다는 뜻으로, 서로 조건이 비슷함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하(公孫丑下)>에서 유래한다.
    地: 醜: 더러울 德: 齊: 가지런할

  • 善隣友好(선린우호) : 이웃 나라 또는 이웃과 사이좋게 지내며 잘 사귄다는 뜻으로, 외교(外交) 상(上) 이웃 나라와 우호(友好) 관계(關係)를 맺는 일.
    善: 착할 隣: 이웃 友: 好: 좋을

  • 社稷之臣(사직지신) : 나라의 편안함과 위태함, 존속과 멸망을 맡은 중신(重臣).
    社: 토지신 稷: 기장 之: 臣: 신하

  • 赤心報國(적심보국) : 마음을 다하여 나라에 충성함.
    赤: 붉을 心: 마음 報: 갚을 國: 나라

  • 破壁飛去(파벽비거) : 벽을 깨뜨리고 날아간다는 뜻으로, 양(梁)나라의 장승요(張僧繇)가 금릉의 안락사(安樂寺) 벽에 용을 그리고 눈동자를 찍었더니 용이 벽을 부수고 하늘로 날아갔다는 고사에서 평범한 사람이 갑자기 유명하게 출세함을 비유한 말.
    破: 깨뜨릴 壁: 飛: 去:

  • 犬馬之勞(견마지로) :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犬: 馬: 之: 勞: 일할

  • 開國功臣(개국공신) : 나라를 새로 세울 때 큰 공로가 있는 신하.
    開: 國: 나라 功: 臣: 신하

  • 南面(남면) : (1)남쪽으로 향함. (2)각 군(郡)의 남쪽에 있는 면(面). (3)임금이 앉던 자리의 방향. (4)임금의 자리에 오르거나 임금이 되어 나라를 다스림을 이르는 말. 임금이 남쪽을 향하여 신하와 대면한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面:

  • 富國强兵(부국강병) :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병력을 강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강(富强)한 나라를 만든다는 의미.
    富: 가멸 國: 나라 强: 굳셀 兵: 군사

1 3 4
#사랑 91 #따위 228 #물건 136 #편안 62 #고사 108 #어머니 72 #바람 136 #마음 496 #자신 208 #무리 64 #벼슬 88 #문장 59 #머리 141 #태도 72 #지위 65 #노력 69 #하늘 251 #집안 93 #나이 97 #자연 73 #아침 72 #비유 1177 #유래 280 #근심 65 #이름 211 #학문 107 #재앙 64 #생각 236 #사이 200 #상태 11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288개) : 나라, 나락, 나란, 나람, 나랑, 나랗, 나래, 나랙, 나레, 나려, 나력, 나례, 나로, 나록, 나롯, 나롱, 나룡, 나루, 나룩, 나룹, 나룻, 나륙, 나륜, 나륵, 나른, 나름, 나릅, 나릇, 나릉, 나리, 나립, 나릿, 낙락, 낙랑, 낙로, 낙론, 낙뢰, 낙루, 난란, 난렴, 난령, 난로, 난록, 난료, 난류, 난륜, 난리, 난립, 날람, 날래, 날레, 날력, 날렵, 날로, 날름, 날림, 남라, 남란, 남량, 남려, 남렬, 남로, 남록, 남료, 남루, 남류, 납량, 납뢰, 납루, 납리, 낭랑, 낭려, 낭료, 낭루, 낭류, 낭리, 내락, 내란, 내람, 내래, 내량, 내럭, 내레, 내렉, 내력, 내렴, 내령, 내례, 내로, 내뢰, 내료, 내룡, 내루, 내류, 내륙, 내르, 내리, 내릭, 내림, 내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