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5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5개 세 글자:64개 네 글자:104개 다섯 글자:11개 여섯 글자 이상:43개 모든 글자: 358개

  • 구미 선산 금동 여래 입상 : (1)대구 수성구 국립 대구 박물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 금동으로 만든 아미타여래 삼존의 주존불(主尊佛)로, 높이 40.3cm의 입상이다. 형태와 표현이 부드럽고 단정하며, 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보 제182호.
  • 시더 : (1)‘-읍시다’의 방언
  • : (1)바닷가에 있는 고을.
  • : (1)읍의 구역 안. (2)조선 시대에, 관찰 관아가 아닌 지방 관아가 있던 마을.
  • : (1)개인의 영지(領地).
  • 불규칙 용언 : (1)비읍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 ‘곱다’, ‘덥다’, ‘돕다’ ‘춥다’ 따위가 있다.
  • 소도 : (1)규모가 작은 도회지.
  • 순경음 비 : (1)옛 한글 자음 ‘ㅸ’의 이름.
  • : (1)소리를 크게 내어 몹시 욺.
  • : (1)족소양담경에 속한 혈. 머리와 발에 있으며, 머리 혈은 눈동자를 지나는 수직선상에서 앞 머리카락 경계로부터 조금 뒤에 있고, 발의 혈은 발등에서 새끼발가락이 갈라지는 곳에 있다. (2)2세기 말엽에 지금의 베트남 남부에 짬족이 세운 나라.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해상 교역으로 번영하였으나, 15세기 후반에 베트남에 정복되어 17세기 말엽에 망하였다.
  • 독진 : (1)예전에, 진영(鎭營)이 하나만 있던 읍.
  • : (1)같은 읍(邑). (2)그 읍.
  • 소하다 : (1)눈물을 흘리며 간절히 하소연하다.
  • 추연 : (1)처량하고 슬프게 욺.
  • : (1)삼한 때에 둔, 작은 고을의 우두머리.
  • 딘저 : (1)‘-습디까’의 방언
  • : (1)공손히 읍함.
  • 지요 : (1)합쇼할 자리에 쓰여, 확실하다고 믿는 사실에 대한 주장이나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규범 표기는 ‘-습지요’이다.
  • : (1)눈물을 흘리며 슬피 욺.
  • 하다 : (1)고을의 원을 임명하다. (2)소리를 높여 울다.
  • 간하다 : (1)임금이나 웃어른에게 눈물을 흘리면서 간절하게 간하다.
  • : (1)목 놓아 큰 소리로 욺. 또는 그런 울음.
  • 하다 : (1)흐느끼어 울다. (2)눈물을 삼키다.
  • 스름하다 : (1)산뜻하지 못하게 조금 희다.
  • 실하다 : (1)매를 맞아서 매우 아픈 느낌이 있다. 제주 지역에서는 ‘읍실다’로도 적는다.
  • : (1)소리를 내지 아니하고 욺.
  • 디더 : (1)‘-습디다’의 방언
  • 각부동하다 : (1)규칙이나 풍속이 각 고을마다 차이가 있다. (2)사람마다 의견이 서로 다르다.
  • 낙안 : (1)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에 있는 조선 시대의 읍성. 형태는 사각형이며 길이는 1,410미터에 달한다. 성안은 전통적인 마을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순천 낙안 읍성’이다.
  • : (1)큰 고을.
  • 도하다 : (1)눈물을 흘리며 간절히 기도하다.
  • : (1)황폐한 고을. (2)번성하지 못하는 작은 고을.
  • : (1)이전의 읍을 신읍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옛 읍.
  • : (1)초기 국가의 지배자 칭호. 예(濊)와 옥저(沃沮)에서 보이며, 하호(下戶)에 대한 지배권을 가지고 있었다.
  • 고을 : (1)한자 부수의 하나. ‘邕’, ‘鄨’ 따위에 쓰인 ‘邑’을 이른다. ‘郡’, ‘鄕’ 따위에 쓰일 때는 자형이 ‘阝’으로, 명칭은 ‘우부방’으로 바뀐다.
  • 각부동 : (1)규칙이나 풍속이 각 고을마다 차이가 있음. (2)사람마다 의견이 서로 다름.
  • 피향정 : (1)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에 있는 정자. 신라 헌안왕 때에 최치원이 건립하였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조선 시대에 다시 지어 조선 중기의 목조 건축 양식을 잘 보여 준다. 보물 제289호.
  • 양지풍 : (1)읍양의 예를 잘 지키는 풍속.
  • : (1)‘졸업’의 방언
  • : (1)신라 때에 만들어진 아악(雅樂)의 하나. 궁중의 중요한 연례(宴禮)와 무용에 연주하던 관악으로 국가의 태평과 민족의 번영을 구가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2)전라북도의 남쪽 중앙에 있는 시. 호남평야와 노령산맥을 끼고 있어 농업 및 농산물 제조업 따위가 발달하고, 칠보 수력 발전소 따위의 동력원이 풍부하다. 명승지로 내장산, 민락정, 무성 서원, 영은사, 초산 성지 등이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정주시와 정읍군이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면적은 692.96㎢. (3)‘정주’의 옛 이름. (4)고을 수령에게 소장(訴狀)을 내던 일. (5)조선 시대에, 성균관 유생들이 아침 식사 전에 뜰에 나와 읍(揖)하고 식당에 들어가던 일.
  • 무성 서원 : (1)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서원. 최치원과 신잠(申潛)을 모시는 사당과 교육을 담당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는 태산 서원(泰山書院)이라 하였으나, 숙종 22년(1696)에 사액을 받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유지되던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사적 제166호.
  • 순흥 내리 벽화 고분 : (1)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 있는 신라 때의 무덤. 굴식 돌방무덤으로 동서로 약 3.5미터, 남북으로 약 2미터이며, 높이는 약 2미터이다. 천장을 제외한 모든 벽면에는 채색화가 그려져 있다. 당시 세계관, 내세관 및 고구려와의 교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적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영주 순흥 벽화 고분’이다.
  • : (1)온 고을.
  • 하다 : (1)마음이 매우 불쾌하고 답답하여 편하지 아니하다.
  • 된비 : (1)되게 발음되는 비읍 소리. ‘ㅃ’, ‘ㅽ’ 따위의 발음이다. (2)한글 초성의 된소리 표기에 쓰이던 비읍. 해당 자모의 왼쪽에 붙여 쓴다. ‘’, ‘’, ‘’ 따위에서 ‘ㅂ’을 이른다. (3)한글 자모 ‘ㅃ’의 이름.
  • : (1)눈물을 흘리며 간절히 하소연함.
  • 장단 : (1)현악 영산회상 가운데 상영산의 장단.
  • 시사 : (1)합쇼할 자리에 쓰여, 청원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예스러운 말투로서 주로 인용절에 쓴다.
  • 가정리 유적 : (1)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가정 마을에 있는 유적. 세 개의 우물 자리가 발견되었고, 밑바닥에서 뗀석기 두 점이 나왔다. 1~2세기경에 설치된 것으로 보이는데, 한 기는 삼국 시대에 들어서도 얼마 동안 계속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경천 : (1)하늘을 놀라게 하고 귀신을 울린다는 뜻으로, 세상을 놀라게 할 만큼 뛰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불배 : (1)길게 읍만 하고 절하지 아니함.
  • 무장현 관아와 : (1)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관아와 읍성. 읍성은 1417년에 무장진 병마사 김노(金蘆)가 쌓은 평지성으로, 길이는 약 1.2km이다. 읍성의 남문인 진무루는 앞면 세 칸, 옆면 두 칸의 2층 건물이다. 성 안에는 객사와 동헌이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이다.
  • 아산 내리 당간 지주 : (1)충청남도 아산시 읍내동에 있는 당간 지주. 기단은 땅속에 묻혀 있고 두 기둥만이 드러나 있다. 기둥머리의 안쪽에는 깃대를 고정하기 위한 네모난 홈이 패어 있다.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아산 읍내동 당간 지주’이다.
  • : (1)눈물을 흘리며 슬프게 욺.
  • 불규칙 활용 : (1)어간의 말음인 ‘ㅂ’이 ‘아’나 ‘아’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오’로, ‘어’나 ‘어’로 시작되는 어미 및 매개 모음을 요구하는 어미 앞에서는 ‘우’로 변하는 활용. ‘와’, ‘워’, ‘우니’의 형태로 결합되어 나타나며, ‘돕-+-아→도와’, ‘굽-+-어→구워’, ‘아름답-+-(으)니→아름다우니’ 따위가 있다.
  • 구미 선산 금동 보살 입상 : (1)대구 수성구 국립 대구 박물관에 있는 신라 때의 보살상. 구리로 만들고 금을 입힌 관세음보살로, 높이 32cm의 입상이다. 근엄하고 당당한 느낌을 주며, 7세기 초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보 제184호. (2)대구 수성구 국립 대구 박물관에 있는 신라 때의 보살상. 구리로 만들고 금을 입힌 세지보살로, 높이 34cm의 입상이다. 전체적인 균형감과 조각 수법이 훌륭하며, 7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보 제183호.
  • 스름히 : (1)산뜻하지 못할 정도로 조금 희게.
  • : (1)중앙 집권적 고대 국가가 형성되기 이전, 초기 국가를 이루던 읍락 중에서 중심이 되는 읍락.
1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읍으로 시작하는 단어 (117개) : 읍, 읍각부동, 읍각부동하다, 읍간, 읍간하다, 읍감, 읍감하다, 읍곡, 읍곡하다, 읍국, 읍국하다, 읍군, 읍권, 읍기, 읍꿔니, 읍내, 읍네꺼, 읍네더, 읍늰다, 읍니까, 읍니꺄, 읍니껴, 읍니다, 읍도, 읍도하다, 읍디까, 읍디꺼, 읍디껴, 읍디다, 읍디더 ...
읍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17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읍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5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