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5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5개 세 글자:64개 네 글자:104개 다섯 글자:11개 여섯 글자 이상:43개 🍿모든 글자: 358개

  • 하다 : (1)예전에, 남을 향하여 읍하여 예를 하다.
  • : (1)‘귀엽다’의 방언
  • 인성 : (1)목메어 우는 소리.
  • 손하다 : (1)읍하는 예를 갖추면서 자기를 낮추다.
  • 하다 : (1)얼굴을 가리고 울다.
  • 하다 : (1)여럿이 빙 둘러서서 읍하다.
  • 저인 : (1)사무를 연락하기 위하여 각 고을에서 서울에 올라와 있던 아전들을 이르던 말.
  • 강변칠 : (1)압록강 가의 일곱 고을. 의주, 강계, 초산, 창성, 삭주, 위원, 벽동을 이른다.
  • 하다 : (1)소리를 내어 슬피 울다.
  • 제주 삼 : (1)조선 시대에, 제주도에 둔 제주(濟州)ㆍ대정(大靜)ㆍ정의(旌義)의 세 고을.
  • 소사 : (1)신라의 전읍서(典邑署)에 속한 벼슬. 위계는 대사(大舍)에서 사지(舍知)까지이다.
  • 경주 : (1)경상북도 경주시 북부동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성. 현재 남아 있는 읍성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지은 것으로, 도시 개발 과정에서 대부분 헐리고 동쪽 성벽 일부만이 옛 모습대로 남아 있다. 사적 제96호.
  • 팔도지가 : (1)조선 시대의 가사. 우리나라 팔도 여러 고을의 풍물을 읊었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조석곡 : (1)상가에서, 아침저녁으로 궤연(几筵)에 음식을 올릴 때 소리 내어 슬피 우는 일.
  • : (1)조선 시대에, 관찰 관아가 아닌 지방 관아가 있던 마을.
  • 도시 : (1)농촌 취락에 도시적 설비를 시설하고 각 취락을 조직화하여 중심 소도시를 중핵으로 도시화한 지구.
  • : (1)예전에, 읍 단위로 가지던 모임.
  • : (1)조선 시대에, 주(州)ㆍ부(府)ㆍ군(郡)ㆍ현(縣) 등을 두루 이르던 말. (2)군아(郡衙)가 있던 곳.
  • 하다 : (1)소리를 내지 아니하고 울다.
  • : (1)시(市)나 군(郡)에 속한 지방 행정 구역 단위의 하나. 인구 2만 이상이 되어야 하나, 2만 미만인 경우도 있다. (2)읍의 구역 안. (3)인사하는 예(禮)의 하나. 두 손을 맞잡아 얼굴 앞으로 들어 올리고 허리를 앞으로 공손히 구부렸다가 몸을 펴면서 손을 내린다. (4)객체에 대한 존대를 나타내는 어미.
  • : (1)군아(郡衙)가 있던 곳.
  • : (1)삼한 때에, 가장 작은 부족 국가의 우두머리를 이르던 말.
  • : (1)‘읍읍하다’의 어근.
  • 스름 : (1)‘해읍스름하다’의 어근. (2)조금 하얀 모양.
  • : (1)한글 자모 ‘ㅂ’의 이름. (2)슬피 욺.
  • 연로 : (1)큰길가에 죽 잇따라 있는 마을.
  • : (1)읍내의 모양이나 형편. (2)읍하는 예를 갖추면서 사양함. (3)겸손한 태도를 가짐. (4)읍하는 동작과 사양하는 동작.
  • 예산 삽교 석조 보살 입상 : (1)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수암산 중턱에 있는 고려 시대의 불상. 두 개의 돌을 이어서 조각하였고, 머리에는 장식이 없는 관을 썼다. 얼굴은 사각이며 윤곽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간략해진다.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부여 대조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과 유사한 양식이다. 보물 제508호.
  • 남원 : (1)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에 있는 신라 시대의 읍성. 높이는 약 4미터이고 길이는 2.4km가 넘는다. 조선 시대 읍성의 전형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성내의 도로는 바둑판 모양이다. 사적 제298호.
  • 천곡사지 칠층 석탑 : (1)전라북도 정읍시의 속칭 전곡사 터로 불리는 곳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단층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올렸고, 옥개석의 하면에 연화문을 조각하였다. 현재 상륜부재(相輪部材)는 없어지고, 7층의 옥개석 위에 노반석 하나만 놓여 있다. 고려 중엽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309호.
  • : (1)임금이나 웃어른에게 눈물을 흘리면서 간절하게 간함.
  • : (1)그 지방에서 중심이 되는 마을.
  • 민상 : (1)읍의 발전에 기여한 읍민에게 수여하는 상.
  • 세가락정 : (1)‘동동’을 달리 이르는 말.
  • 디다 : (1)하오할 자리에 쓰여, 보거나 듣거나 겪은 사실을 전달하여 알림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규범 표기는 ‘-습디다’이다.
  • : (1)예전에, 읍(邑)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2)눈물을 흘리면서 간절히 청함.
  • : (1)수심에 찬 상태에 있음.
  • : (1)흐느끼어 욺. (2)눈물을 삼킴.
  • 체하다 : (1)눈물을 흘리며 슬피 울다.
  • : (1)슬피 욺.
  • 네더 : (1)‘-습니다’의 방언
  • : (1)‘덥다’의 방언
  • : (1)신라에서 고려 초기까지, 벼슬아치에게 직무의 대가로 일정 지역의 수조권을 주던 일.
  • 애호체 : (1)슬프게 부르짖고 눈물을 흘리며 욺.
  • : (1)비교적 번화한 고을.
  • : (1)중국 주나라 때에, 대부(大夫)의 영지.
  • 하다 : (1)슬피 울다.
  • 스름하다 : (1)산뜻하지 못하게 조금 하얗다.
  • : (1)한 도시 전체를 성벽으로 둘러싸고 곳곳에 문을 만들어 외부와 연결하게 쌓은 성. 중국의 성곽에서 흔히 볼 수 있다. (2)‘입성’의 방언
  • 양하다 : (1)읍하는 예를 갖추면서 사양하다. (2)겸손한 태도를 가지다.
  • : (1)영문과 고을을 아울러 이르는 말. (2)감영이나 병영이 있던 고을.
  • : (1)겨우 먼지를 축일 정도로 비가 적게 옴. 또는 그렇게 온 비. (2)읍하며 인사하고 나아감.
  • 사 가무 : (1)백제 가요인 <정읍사>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노래와 춤. 행상을 나가 늦도록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걱정하는 아내의 애틋한 마음이 담겨 있다.
  • 례하다 : (1)남을 향하여 읍하여 예를 하다.
  • : (1)행정 구역인 시와 읍과 면을 통틀어 이르는 말.
  • 하다 : (1)수심에 찬 상태에 있다.
  • 장기 : (1)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읍성. 둘레가 1,440미터이고, 옹성과 치성을 비롯하여 네 개의 우물과 두 개의 연못인 음마지(飮馬池)가 있다. 성 안쪽에는 향교와 동헌터가 남아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포항 장기 읍성’이다.
  • 하다 : (1)두 손을 마주 모아 잡고 인사하다.
  • : (1)그 읍에 사는 사람.
  • : (1)예전에, 수석 아전이 신임 수령을 맞이할 때 제출했던 작은 책자. 그 지방 관아의 운용, 지방관의 봉록인 쌀과 돈의 수량 등을 기록한 것이다.
  • 저산칠 : (1)조선 시대에, 모시가 많이 생산되는 일곱 읍을 통틀어 이르던 말. 충청도의 한산, 임천, 서천, 비인, 남포, 홍산, 정안이다.
  • 하다 : (1)목 놓아 큰 소리로 울다.
  • 사 예술 회관 : (1)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예술 회관. 1992년에 개관하였으며 공연장, 대전시실, 소전시실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각종 공연과 전시회, 세미나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 하다 : (1)공손히 읍하다.
  • 앙천체 : (1)하늘을 우러러보며 눈물을 흘림.
  • 언양 : (1)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동부리와 서부리에 걸쳐 있는 조선 시대의 읍성. 평지에 네모 모양으로 만들어진 보기 드문 평지성으로, 처음에는 흙으로 쌓았던 것을 연산군 6년(1500)에 돌로 다시 쌓았다.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나타나는 축성법 변천 모습을 잘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울주 언양 읍성’이다.
  • : (1)산골에 있는 고을.
  • 고창 : (1)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조선 초기의 성. 서해안의 방어를 위하여 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적 제145호.
  • 전봉준 유적 : (1)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에 있는, 전봉준이 살던 집. 조선 고종 15년(1878)에 지어졌으며, 앞면 네 칸, 옆면 한 칸으로 된 남향의 초가집이다. 사적 제293호.
  • : (1)변경에 있는 마을. (2)도회에서 멀리 떨어져 사람이 많이 살지 않는 변두리나 깊은 곳.
  • 군병 : (1)조선 시대에, 주진이나 거진의 아래에 있던 여러 진의 군사.
  • : (1)군과 읍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지방 제도인 주(州), 부(府), 군(郡), 현(縣) 따위를 통틀어 이르던 말.
  • : (1)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개군면, 지평면에 걸쳐 있는 산. 산 정상에 오르면 양평군의 일곱 면(面)ㆍ읍(邑)이 한눈에 보인다. 높이는 583미터.
  • : (1)‘임읍’의 북한어.
  • 스레하다 : (1)산뜻하지 못하게 조금 희다.
  • : (1)‘-으마’의 방언
  • : (1)읍하는 예를 갖추면서 자기를 낮춤.
  • 민 회관 : (1)읍민들의 사회 활동과 문화ㆍ교육 장소로 이용하기 위하여 마련한 회관.
  • 하다 : (1)새로 이사하여 살다.
  • : (1)새로 이루어진 읍. (2)새로 이사하여 삶.
  • 하다 : (1)눈물을 흘리면서 울다.
  • : (1)주민과 산물이 적고 땅이 작은 고을.
  • 하다 : (1)답례로 두 손을 마주 잡고 서서 허리를 굽혀 공손히 절하다.
  • : (1)‘녹읍’의 북한어.
  • 취헌유고 : (1)조선 연산군 때의 시인 박은의 유고집. 친구인 이행이 수집ㆍ간행하였다. 4권.
  • : (1)조선 시대에, 관찰 관아가 아닌 지방 관아가 있던 마을.
  • 여소하다 : (1)우는 것 같기도 하고 웃는 것 같기도 하다. (2)우는 것 같기도 하고 하소연하는 것 같기도 하다.
  • : (1)손으로 움켜쥠.
  • 꿔니 : (1)‘-습니다’의 방언
  • 하다 : (1)눈물을 흘리며 슬피 울다.
  • 낙안 성 민속 마을 : (1)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에 있는 민속 마을. 사람들이 실제로 거주하고 있으며 매년 음력 1월 15일 전후로 정월 대보름 행사와 문화 축제 따위가 열린다. 1983년 6월에 사적 제302호로 지정되었다.
  • 빗가락정 : (1)신라 때에 만들어진 아악(雅樂)의 하나. 궁중의 중요한 연례(宴禮)와 무용에 연주하던 관악으로 국가의 태평과 민족의 번영을 구가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 하다 : (1)그리워서 울다.
  • 누전군 : (1)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냄.
  • : (1)사방이 바윗돌로 둘러싸인 산중 고을.
  • 취헌 : (1)‘박은’의 호.
  • 되다 : (1)읍이 없어지다.
  • 홍성 홍주 : (1)충청남도 홍성군에 위치한 읍성. 조선 세종 때 왜구의 침입이 예상되는 곳에 쌓기 시작하였으며, 문종 1년(1451)에 새로 고쳐 쌓았다. 지금은 전체 성벽의 일부만 남아 있다. 1906년에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민종식 등이 일으킨 의병 부대가 이곳에 머물고 있던 왜적을 물리쳤다. 사적 제231호.
  • 디껴 : (1)‘-습디까’의 방언
  • 극변잔 : (1)중앙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의 작고 피폐한 마을.
1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읍으로 시작하는 단어 (117개) : 읍, 읍각부동, 읍각부동하다, 읍간, 읍간하다, 읍감, 읍감하다, 읍곡, 읍곡하다, 읍국, 읍국하다, 읍군, 읍권, 읍기, 읍꿔니, 읍내, 읍네꺼, 읍네더, 읍늰다, 읍니까, 읍니꺄, 읍니껴, 읍니다, 읍도, 읍도하다, 읍디까, 읍디꺼, 읍디껴, 읍디다, 읍디더 ...
읍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17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읍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5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