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8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72개 세 글자:103개 네 글자:62개 다섯 글자:24개 여섯 글자 이상:27개 💕모든 글자: 289개

  • 공주 : (1)고려 숙종의 딸(1096~1133). 명의 왕후(明懿王后)의 소생으로 예종(睿宗)과 친남매간이다. 종실인 진강백(晉康伯)과 혼인하였다.
  • 쥐구 : (1)‘쥐구멍’의 방언
  • : (1)‘일곱동갈망둑’의 방언
  • 뒷구 : (1)‘뒷구멍’의 방언
  • 하다 : (1)아무 탈 없이 편안하다. (2)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하다. 안부를 전하거나 물을 때에 쓴다.
  • 기슭 : (1)‘처마’의 방언
  • : (1)‘영찰’의 북한어.
  • : (1)대하는 태도가 친절함. (2)충고하거나 알리는 태도가 매우 간곡함. (3)군중(軍中)에서 쓰던 정(鉦) 비슷한 악기. 전시(戰時)에 쳐서 군사들이 경계를 게을리하지 않도록 하였다. (4)조금도 틀림없이 꼭. 또는 더 이를 데 없이 정말로. (5)귓구멍 속에 낀 때.
  • : (1)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하게.
  • 하다 : (1)성질이 흉악하고 사납다.
  • 목구 : (1)‘목구멍’의 방언
  • 눈꾸 : (1)‘눈구멍’의 방언
  • 화왕산성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에 있는 삼국 시대의 산성. 조선 전기에 성의 기능을 잃었다가 임진왜란 때 의병의 근거지로 활용되었다. 이후 몇 번의 수리를 거쳐 지금까지 잘 보존되고 있다. 둘레는 2.6km이다. 사적 제64호.
  • : (1)‘편녕하다’의 어근.
  • 눈구 : (1)‘눈구멍’의 방언
  • 지쳇미 : (1)‘깃’의 방언
  • 뎡히 : (1)‘외로이’의 옛말.
  • 관룡사 용선대 석조 여래 좌상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 근처의 용선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 산꼭대기의 높은 바위 위에 놓여 있다. 대좌는 상대ㆍ중대ㆍ하대로 이루어져 있고, 광배는 없어진 상태이다. 양감이 줄어든 신체 표현이나 도식적인 옷의 주름 선 따위로 보아 통일 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295호.
  • 개구받이 : (1)‘개구멍받이’의 방언
  • : (1)대장간. 작업장.
  • 개무구 : (1)‘개미구멍’의 방언
  • 수통구 : (1)‘수멍’의 방언
  • 독히 : (1)‘영독히’의 북한어.
  • : (1)‘대장간’의 방언
  • 애신각라민 : (1)중국 청나라의 제8대 황제인 도광제의 본명.
  • 석빙고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송현동에 있는 석실(石室)로 된 얼음 창고. 조선 영조 18년(1742)에 건조하였다. 보물 제310호.
  • 개귀받이 : (1)‘개구멍받이’의 방언
  • 수복강하다 : (1)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하다.
  • : (1)중국 동진 애제(哀帝) 때의 연호(363~365). 애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 (1)‘시늉’의 방언
  • : (1)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물론 그보다 덜하거나 못한 것까지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2)‘말할 것도 없거니와 도리어’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 가게 : (1)‘구멍가게’의 방언
  • : (1)‘연기’의 방언
  • : (1)‘무명실’의 방언
  • : (1)고려 원종 11년(1270)에 중국 원나라가 평안도 지방에 설치한 통치 기관. 원종 10년(1269)에 최탄 등이 난을 일으켜 북계(北界)의 54성(城)과 자비령(慈悲嶺) 이북 서해도의 6성(城)을 들어 원에 항복하자, 원이 자비령 이북의 영토를 병합하고 이를 다스리기 위하여 서경(西京)을 중심으로 설치하였는데, 충렬왕 원년(1275)에 동녕로총관부로 승격시켰다가 충렬왕 16년(1290)에 폐하고 이 지역을 고려에 반환하였다.
  • : (1)중국 만주 동남부에 있는 성. 중앙부에는 랴오허강(遼河江)이 흐르고, 남쪽은 발해(渤海), 황해에 닿아 있다. 석탄, 철 따위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중화학 공업이 발달하였다. 성도는 선양(瀋陽), 면적은 14만 7588㎢. ⇒규범 표기는 ‘요령성’이다.
  • 대군 : (1)‘세종’의 즉위하기 전 군호(君號).
  • 이숭 : (1)국어학자(1908~1994). 호는 심악(心岳). 진단학회 상임 이사, 국어학회장 등을 지냈다. 중세 국어의 모음 체계 연구에 힘썼다. 저서에 ≪국어학 개설≫, ≪중세 국어 문법≫, ≪신라 시대의 표기법 체계에 관한 시론≫ 따위가 있다.
  • : (1)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규범 표기는 ‘진창’이다.
  • 똥귀 : (1)‘똥구멍’의 방언
  • 악스럽다 : (1)‘영악스럽다’의 북한어.
  • : (1)‘화냥년’의 방언
  • 하다 : (1)걱정 없이 마음을 편히 가지다.
  • 맹히 : (1)‘영맹히’의 북한어.
  • : (1)‘무명실’의 방언
  • 똥구 : (1)‘똥구멍’의 방언
  • 오는날 : (1)‘직날’의 방언
  • : (1)좀스러운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 (1)‘영신’의 북한어.
  • : (1)보필하여 편하게 함.
  • 담구 : (1)‘개구멍’의 방언
  • 하다 : (1)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뵈다.
  • 터레기귀 : (1)‘털구멍’의 방언
  • 고랫구 : (1)‘방고래’의 방언
  • 영산 만년교 : (1)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남천에 놓여 있는 반달 모양의 돌다리. 조선 정조 4년(1780)에 축조되고 고종 29년(1892)년에 다시 고쳤다. 흔히 ‘원다리’라 이른다. 보물 제564호.
  • : (1)중국 산둥성(山東省) 서남부에 있는 도시. 대운하의 동쪽 기슭에 있는데 운하의 조운(漕運)과 철도가 연결되어 있어서 농산물 집산이 발달하였다. ⇒규범 표기는 ‘지닝’이다.
  • 술정리 서 삼층 석탑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서탑길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일반적인 형태이다. 위아래 각각 여덟 개의 돌을 이용하여 기단을 쌓은 것이 특징이다. 보물 제520호.
  • 이휘 : (1)조선 후기의 학자(1788~1861). 자는 군목(君睦). 호는 고계(古溪). 이황의 10대손으로 가학(家學)을 계승, 성리학에 전심하였다. 저서에 ≪십도고증(十圖攷證)≫ 따위가 있다.
  • 령돈부사 : (1)‘영돈령부사’의 북한어.
  • 수챗구 : (1)‘수챗구멍’의 방언
  • 우포늪 : (1)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이방면, 대합면 일원에 위치한 늪. 전체 면적이 70만여 평에 달하는 국내 최대의 자연늪이다. 태고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으며 람사르 협약에 의해 보존 습지로 지정되었다.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창녕 우포늪 천연 보호 구역’이다.
  • : (1)별다른 큰 탈이 없이 대체로 편안함. 흔히 윗사람에게 자기의 안부를 전하는 편지에 쓴다.
  • : (1)고려 숙종, 예종, 원종 때 임금의 생일을 기념하던 날.
  • 낭창 : (1)‘수다쟁이’의 방언
  • : (1)몹시 사나운 바람. ⇒남한 규범 표기는 ‘영풍’이다.
  • : (1)‘결코’의 방언
  • 터라구구 : (1)‘털구멍’의 방언
  • 딧구 : (1)‘뒷구멍’의 방언
  • : (1)‘되넘기’의 방언
  • 땀구 : (1)‘땀구멍’의 방언
  • 공공 안 : (1)국가나 사회의 구성원에게 두루 관계되는 편안함.
  • 땀귀 : (1)‘땀구멍’의 방언
  • 귓구 : (1)‘귓구멍’의 방언
  • : (1)조선 태종의 왕자(1407~1453). 이름은 정(裎). 시호는 양혜(良惠). 신빈 신씨(信嬪辛氏)의 3남이며, 부인은 익산군 부인(益山郡夫人) 순천 박씨(順天朴氏)이다.
  • 혼꾸나다 : (1)‘혼꾸멍나다’의 방언
  • : (1)종묘의 안에 있는 사당. 조선 시대에, 왕과 왕비로서 종묘에 모실 수 없는 분의 신위를 모시던 곳으로, 태조의 사대조(四代祖)와 그 비(妃), 대가 끊어진 임금 및 그 비를 모셨으며, 1년에 두 번 정월과 7월에 대관(代官)을 보내어 제사를 지냈다. 태묘의 서북쪽에 있다. 보물 제821호.
  • : (1)‘구멍’의 방언
  • 슬픔이여 안 : (1)프랑스의 여류작가사강이 1954년에 발표한 소설. 사강의 처녀작이며 당시 그녀의 나이는 19살이었다. 자유분방한 삶을 즐기는 아버지와 딸의 삶에 이지적인 여성이 끼어들다가 죽음을 맞이하고 부녀는 그녀를 통하여 슬픔이라는 감정을 알게 된다는 내용이다.
  • 영산 석빙고 : (1)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교리에 있는 석실(石室)로 된 빙고. 보물 제1739호.
  • 시형 : (1)‘아주버니’의 방언
  • : (1)‘다리쇠’의 방언
  • : (1)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 : (1)중국 요나라 도종 때의 연호(1055~1064).
  • : (1)‘추수’의 방언
  • 영월 흥사지 징효 대사 탑비 : (1)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흥녕사지에 있는, 고려 시대 징효 대사의 탑비. 혜종 1년(944)에 세워진 것으로,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 비의 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형태이다. 비문은 최언위가 지었고 최윤(崔潤)이 썼으며 최오규(崔奧規)가 새겼다. 보물 제612호.
  • : (1)‘흉녕하다’의 어근.
  • : (1)‘영법’의 북한어.
  • : (1)인쇄물의 마지막 교정.
  • : (1)‘숭늉’의 방언
  • 사굴 : (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현무암 동굴. 예전에 이 굴에 사는 뱀에게 매해 봄가을에 처녀를 제물로 바쳤다는 전설이 있다. 길이는 705미터이다.
  • : (1)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성한(成漢) 후주(後主) 때의 연호(346~347). 성한의 마지막 연호이다.
  • 코구 : (1)‘콧구멍’의 방언
  • : (1)‘무명’의 방언
  • 하다 : (1)말로는 모든 일을 잘할 것 같으나 실속이 없다.
  • 지곡 : (1)조선 순조 28년(1828)에 자경전에서 왕세자가 두 번째 술잔을 드릴 때 연주하였던 반주 음악.
  • 숨구 : (1)‘숨구멍’의 방언
  • : (1)중국 후한 안제(安帝) 때의 연호(120~121). 안제의 세 번째 연호이다. (2)중국 서진 혜제 때의 연호(301~302). 혜제의 다섯 번째 연호이다. (3)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조 신흥왕(新興王) 때의 연호(350~351). 후조의 마지막 연호이다.
  • : (1)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하게. 안부를 전하거나 물을 때에 쓴다.
  • : (1)‘간녕하다’의 어근.
  • : (1)건강히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뜻의 한자를 본뜨거나 새긴 무늬. 생활용품이나 장식품에 수를 놓았다.
1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8개) : 나, 낙, 낛, 난, 낟, 날, 낡, 남, 납, 낫, 낭, 낮, 낯, 낱, 낳, 내, 낵, 낸, 낼, 냄, 냅, 냇, 냉, 냏, 냐, 냔, 냘, 냥, 냬, 냰, 너, 넉, 넋, 넌, 널, 넘, 넙, 넛, 넝, 넠, 넢, 네, 넥, 넨, 넬, 넴, 넵, 넷, 넹, 넼, 넽, 넾, 넿, 녀, 녁, 년, 녈, 념, 녑, 녕, 녘, 녜, 녬, 녯, 노, 녹, 논, 놀, 놁, 놈, 놉, 놋, 농, 놓, 뇌, 뇍, 뇜, 뇨, 뇰, 누, 눈, 눌, 눔, 눕, 눗, 눚, 눛, 눞, 눠, 눰, 눼, 뉘, 뉨, 뉫, 뉯, 뉴, 늄, 늇, 느, 늑 ...

실전 끝말 잇기

녕으로 시작하는 단어 (28개) : 녕, 녕감, 녕귀, 녕기슭, 녕깃물, 녕뎡히, 녕독하다, 녕독히, 녕맹스럽다, 녕맹하다, 녕맹히, 녕믈, 녕법, 녕변뽕, 녕사언정, 녕세, 녕신, 녕악스럽다, 녕악하다, 녕악히, 녕일, 녕찰, 녕텍없다, 녕특하다, 녕페탕, 녕풍, 녕혹, 녕혹하다 ...
녕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녕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8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