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11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17개 세 글자:246개 네 글자:145개 다섯 글자:79개 여섯 글자 이상:523개 🥦모든 글자: 1,111개

  • 곡성 태안사 적인 선사 : (1)전라남도 곡성군 태안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부도. 신라 경문왕 1년(861)에 입적한 적인 선사 혜철의 사리를 모신 탑이다. 전체가 팔각형을 이루며 삼단의 기단 위에 탑신과 머리 장식을 올리고, 사자상과 사천왕상 등을 조각하였다. 보물 제273호.
  • 노포 : (1)군함에서 포(砲), 포가(砲架), 포수(砲手) 따위를 보호하려고 두꺼운 철갑으로 선체(船體)에 설치한 벽.
  • 사 괘불탱 : (1)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금탑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탱화. 정조 2년(1778)에 비현(丕賢)과 쾌윤(快允)이 그린 것으로, 표현과 장식 따위에서 18세기 후반 불화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보물 제1344호.
  • 창림사 무구정 : (1)경상북도 경주시 창림사지의 무구정탑(無垢淨塔) 안에 들어 있던 탑지. 신라 문성왕이 공덕을 쌓기 위해 무구정탑을 만들었다는 내용으로, 조선 순조 24년(1824)에 발견되었다. 찬자는 김입지이며, 왕희지의 글씨를 모아서 새겼다. 현재 국립 경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화순 운주사 구층 석 : (1)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커다란 바윗돌로 바닥돌과 기단을 삼아, 그 위에 9층의 탑신을 세운 형태이다. 옥개석의 밑면 받침이 생략된 점이나 탑신에 새겨진 조각 따위에서 고려 시대의 지방색을 엿볼 수 있다. 보물 제796호.
  • 추도 : (1)죽은 사람을 추도하기 위하여 만든 탑.
  • 승 동 : (1)배나 비행기, 차 따위를 탈 때 이용하기 위하여 지어진 건물.
  • 현일동 삼층 석 : (1)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현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이중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아래층 기단에는 십이지 신상이 새겨져 있고 위층 기단에는 팔부중상(八部衆像)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 밑면에는 홈이 파여 있고, 4단의 받침을 두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영양 현리 삼층 석탑’이다.
  • 스타 : (1)가장 인기 있는 배우나 가수 따위의 예능인. ⇒규범 표기는 ‘톱스타’이다.
  • 경주 황복사지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삼층 석탑으로, 1943년 탑을 수리할 때 2층 옥개석(屋蓋石)에서 사리(舍利)와 금불상 2구(軀)가 발견되었다. 국보 제37호.
  • 다운 개발 : (1)하향식 설계 방법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작업. 이러한 개발 방법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정의된 세부 작업들을 각각 하나의 블랙박스로 만들어 전체적인 구조를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전체 구조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세부 작업들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규범 표기는 ‘톱다운 개발’이다.
  • 신호 : (1)신호를 올릴 때 쓰도록 만든 탑 모양의 구조물.
  • : (1)동을 주성분으로 하는 구리합금으로 만든 탑.
  • 충주 정토사지 홍법 국사 : (1)충청북도 충주시 개천산 정토사 터에 있던 탑비. 통일 신덕왕 대에 태어나 당나라에 유학한 후 선(禪)을 일으키고 정토사에서 입적한 홍법 국사를 위하여 고려 목종이 자등(慈燈)이라는 탑명을 내려 손몽주에게 비의 글을 짓게 하였다. 고려 현종 8년(1017)에 건립된 비의 앞면에는 대사의 행적이 있고, 뒷면에는 제자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나, 표면의 훼손이 심하다. 거북 받침돌 위로 비 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었다. 보물 제359호.
  • 공양 : (1)부처에게 공양하는 뜻으로 세운 작은 탑.
  • 영전사지 보제존자 사리 : (1)고려 시대의 승려 보제존자의 사리탑. 신륵사에 보제존자의 사리탑이 남아 있으나, 우왕 14년(1388)에 제자들이 영전사에도 따로 사리탑을 세운 것이다.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석탑 형태이며, 1915년에 국립 중앙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보물 정식 명칭은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 탑’이다.
  • 오층 : (1)오륜(五輪)을 상징하는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진 탑. 맨 밑은 땅을 상징하여 네모꼴이며, 그 위는 물을 상징하여 둥글고, 그 위는 불을 상징하여 세모꼴이고, 그 위는 바람을 상징하여 반달꼴이며, 맨 위는 하늘을 상징하여 끝이 뾰족한 공 모양이다.
  • 청룡사 보각 국사 정혜 원융 : (1)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에 있는 조선 시대의 탑비. 고려 말에서 조선 초의 고승인 보각 국사 혼수(混修)의 것으로, 사각형의 받침돌에 덮개돌이 없는 간략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조선 태조 3년(1394)에 왕명으로 세워졌다. 보물 정식 명칭은 ‘충주 청룡사지 보각 국사 탑비’이다.
  • 밴드 스 필터 : (1)특정한 두 개의 차단 주파수와 그 사이의 주파수 대역 신호는 차단하고 그 이외의 주파수는 감쇠 없이 통과시키는 필터. 대역 통과 필터와 성향이 반대인 필터이다. ⇒규범 표기는 ‘밴드 스톱 필터’이다.
  • 재 편성 : (1)상륙군의 해안 이동을 위한 행정적인 편성으로, 상륙 함선에 탑승하거나 탑재하게 될 인원, 보급품, 장비에 대한 편성.
  • 항공 재 레이더 : (1)항공기 내에 설치된 레이더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상 레이더, 지형 레이더, 주변의 항공기나 비행 물체를 탐색하는 레이더 따위가 있다.
  • 소매 : (1)탑 모양처럼 암홀은 좁고 소맷부리가 넓은 소매. 단을 겹치거나 프릴을 달아 부풀린다.
  • 상아 :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액체와 기체 또는 액체와 액체가 단계적으로 접촉하도록 만든 장치. 주로 증류할 때 쓰인다.
  • 양양 진전사지 삼층 석 : (1)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진전사 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탑의 형태가 아름답고 각부의 조각이 정교하다. 국보 제122호.
  • 실상사 백장암 삼층 석 : (1)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의 부속 암자 백장암에 있는 석탑. 통일 신라 시대에 건립된 화강암으로 된 삼층탑으로, 기단부의 구조와 각부의 장식적인 조각이 특이한 양식과 수법을 보여 준다. 국보 정식 명칭은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 석탑’이다.
  • : (1)‘용탑’의 북한어.
  • 습식 세정 : (1)일반 설비에서 배출되는 가스 속의 해로운 물질을 탑 내부의 연료 분사관을 통해 순환하는 물로 세척하는 장치.
  • : (1)불상을 안치하여 두는 탑.
  • 하다 : (1)몹시 고리타분하다.
  • 나사 : (1)나사조개류에서, 나사켜로 이루어진 원뿔 모양의 부분.
  • 도리사 세존 사리 금동 사리기 : (1)통일 신라 시대의 사리함.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도리사(桃李寺) 경내에 있는 세존 사리탑이라 불리는 종 모양의 부도 안에서 발견된 사리함으로, 기단ㆍ신부(身部)ㆍ보개(寶蓋)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높이는 17cm. 국보 제208호.
  • 혼상 : (1)순수(純水) 제조 장치의 하나. 양이온 수지와 음이온 수지를 이 탑 안에 충전하여 이온 교환 처리를 한다.
  • 밀양 숭진리 삼층 석 : (1)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숭진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단층의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상륜부는 훼손되어 사라졌다. 지붕돌의 경사가 급하고 몸돌의 굄이 간략해진 것 따위로 미루어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468호.
  • : (1)아무 생각 없이 우두커니 있는 모양.
  • 아니온 교환 : (1)물속의 음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충전한 탑.
  • 영동 영국사 망봉 삼층 석 : (1)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절의 동쪽에 있는 망탑봉의 정상에 있다. 커다란 자연석 화강암을 기단으로 삼고, 3층의 탑신을 올렸다. 1층 탑신에는 네 면에 문짝 모양을 새겼고, 지붕돌의 받침 수는 1층만 5단이고 나머지는 3단이다. 보물 제535호.
  • 문경 도천사지 삼층 석 : (1)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직지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직지사 비로전 앞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경상북도 문경시 웅창 마을 북쪽의 도천사 터에 있던 것이다. 1단의 기단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이다. 지붕돌의 밑면 받침은 5단씩 두었으며, 탑신의 1층 몸돌이 2ㆍ3층에 비해 높게 만들어졌다. 보물 제607호.
  • 진주 용암사지 승 : (1)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용암사 터의 서북쪽에 있던 고려 시대의 승탑. 파손된 것을 1962년에 원래의 위치로 옮겨 복원하였다. 누구의 사리탑인지 분명하지 않으나, 전체적으로 비례가 잘 맞고 모든 부재가 팔각으로 조성되었다. 보물 제372호.
  • 다중 빔 재체 : (1)위성 탑재체에 여러 개의 빔을 배치함으로써 전체 통신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탑재체.
  • 재 분대 : (1)함선에 탑승하거나 탑재하게 될 인원, 보급품, 장비에 대한 임시적 행정 편성의 하나. 이 편성은 전투 적재가 완료됨과 동시에 해체되며, 통상 둘 이상의 탑재 단대로 구성된다.
  • 재 중량 : (1)차량이 수송할 수 있는 화물의 양.
  • 무전 : (1)무전 안테나를 세우기 위하여 항공기 윗부분에 버팀대로 세운 기둥.
  • : (1)의자의 등판.
  • 바빌론 : (1)‘바벨탑’의 북한어.
  • 질화 : (1)질화 공정이 진행되는 탑 모양의 시설.
  • 제천 신륵사 삼층 석 : (1)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로에 있는 고려 시대의 불탑. 통일 신라의 석탑 양식을 잘 계승하고 있는 고려 전기의 탑으로, 특히 머리 장식이 잘 남아 있는 드문 예이다. 보물 제1296호.
  • 경주 서악동 삼층 석 : (1)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삼층 석탑. 전탑을 모방하여 만든 탑으로, 8개의 돌을 2단으로 쌓은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다. 탑신 1층의 몸돌에 감실을 새겨 넣고, 문 좌우에 인왕상을 새겨 넣었다. 전체적으로 몸돌보다 지붕돌이 커서 균형감이 떨어진다. 보물 제65호.
  • 재 컴퓨터 계통 : (1)어떤 기계나 설비 안에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는 시스템. 특정 기능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시스템으로, 차량이나 비행기, 의료기 따위에 쓰인다.
  • 해중 전망 : (1)수중 상태를 구경할 수 있도록 수중 혹은 수면에 설치한 조망 장치.
  • 원주 거돈사지 원공 국사 : (1)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사리탑. 고려 전기에 활동한 원공 국사 지종의 사리탑으로, 고려 현종 16년(1025)에 탑비와 함께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전기의 대표적인 팔각 사리탑으로, 통일 신라의 양식을 이어받아 조형의 비례가 좋고 아름답다. 보물 제190호.
  • : (1)탑처럼 생긴 큰 얼음덩어리.
  • 칠곡 송림사 오층 전 사리 장엄구 목실 : (1)1959년에 칠곡 송림사 오층 전탑을 수리하기 위하여 해체하였을 때 발굴된 통일 신라 시대의 나무 열매. 천오백여 년 전의 실제 보리수 열매로 추정된다. 보물 제325-9호.
  • 건조 : (1)물건을 건조하는 데 쓰는, 탑 모양으로 지은 시설물.
  • 재하다 : (1)배, 비행기, 차 따위에 물건을 싣다.
  • 분류 : (1)여러 성분이 들어 있는 액체를 증류하여 연속적으로 분리하는 장치.
  • 유효 재량 : (1)항공기 고유의 중량 외에 모든 사람과 탑재물 중량의 총량. 승무원, 승객, 화물, 연료, 윤활유, 각종 장비 따위 중량의 총계이다.
  • 탈염 : (1)공업용수나 수돗물 속에 들어 있는 나트륨ㆍ칼슘ㆍ마그네슘 따위의 양이온과 염소ㆍ탄산 따위의 음이온을 이온 교환 수지의 작용으로 제거하여 순수를 만들어 내는 장치.
  • 훈장 : (1)산업 훈장의 하나. 나라의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주는 것으로, 제1등급에 속하는 훈장이다.
  • 형 사일로 : (1)원통형 또는 다각 기둥형의 지상식 수직식 사일로. 벙커 및 트렌치 사일로에 비하여 발효 저장 효율이 좋은 반면, 작업이 어렵고 건축비가 높다.
  • 보성 우천리 삼층 석 : (1)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우천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기단의 아랫부분이 땅속에 묻히고 시멘트로 마감되어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이중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일반적인 형태로 보인다. 알맞은 비례와 조성 기법으로 보아 9세기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943호.
  • 원피스 : (1)어깨 위를 드러내는 원피스. ⇒규범 표기는 ‘톱 원피스’이다.
  • : (1)꽃으로 세운 탑 또는 꽃을 탑 모양으로 높게 쌓아 놓은 조형물.
  • 용인 서봉사지 현오 국사 : (1)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있는 고려 시대 현오 국사(玄悟國師)의 탑비. 현재 탑은 사라지고 비석만 남아 있다. 현오 국사가 입적한 지 7년 뒤인 명종 15년(1185)에 건립되었으며, 전체적인 조형이 간략화된 고려 후기의 양식을 보여 준다. 보물 제9호.
  • 전하교 : (1)왕이 그 자리에서 명령을 내림.
  • 시계 : (1)탑에 장치하여 놓은 시계.
  • 러너 방식 : (1)에너지 효율이 최고인 제품을 업계 표준으로 지정해,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이 최고 수준의 효율을 달성하도록 강제하는 방식.
  • 백보 : (1)‘보탑’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 경축 : (1)민족적 또는 국가적 명절이나 그 밖의 경사스러운 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세우는 탑.
  • 법흥사지 칠층 전 : (1)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벽돌 탑. 우리나라에 있는 벽돌 탑 가운데 가장 크고 오래된 것으로, 방형(方形)의 기단 위에 팔부중의 상(像)을 양각하고 각 층의 탑신은 회흑색 벽돌로 쌓았다. 국보 정식 명칭은 ‘안동 법흥사지 칠층 전탑’이다.
  • 천붕지하다 : (1)요란한 소리에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터져 나갈 듯이 흔들려 움직이다.
  • 인골 : (1)‘대학’을 속되게 이르는 말. 학비 마련을 위해 학부모의 뼈까지 팔아야 한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우골탑에서 유추한 말이다.
  • 개선 : (1)사회적 의의가 큰 공로나 위훈을 세운 집단이나 인물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탑.
  • 다각 : (1)탑신의 평면이 다각형으로 된 탑. 지붕도 다각형을 이룬다.
  • : (1)종이에 경문을 탑 모양으로 베껴 쓴 것. (2)경문이나 다라니를 모아 안에 넣고 공양하는 탑. (3)경문을 새긴 탑.
  • 공든 도 개미구멍으로 무너진다 : (1)조그마한 실수나 방심으로 큰일을 망쳐 버린다는 말. <동의 속담> ‘개미구멍으로 공든 탑 무너진다’
  • 회선 : (1)높은 기둥의 꼭대기에 여러 개의 쇠줄을 드리워 빙빙 돌 수 있게 만든 탑. 아이들이 여기에 매달려 빙빙 돌며 논다.
  • 항공기용 재 용기 : (1)항공 화물을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용기.
  • 시험 : (1)철탑 상부 구조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철탑을 조립한 뒤에 실시하는 시험.
  • 정도사지 오층 석 : (1)경상북도 칠곡군 정도사 터에 있었던 고려 시대 오층 석탑. 1924년에 경복궁으로 이전하였다가 1994년에 국립 대구 박물관으로 다시 옮겼다. 위층 기단에 탑 이름이 새겨져 있고, 끝에 ‘태평십일년(太平十一年)’이라는 명문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칠곡 정도사지 오층 석탑’이다.
  • 골치 : (1)튼튼하게 잘 삼은 미투리. 실을 단단히 꼬아서 총을 만들고, 숙마(熟麻)로 바닥을 삼고, 쇠가죽으로 창을 대서 질기다. 예전에 서울 동대문 밖의 탑골에서 삼은 데서 유래한다.
  • 이형 석 : (1)평면 구성이나 입면 구성이 신라 때의 전형적인 석탑 양식과 다른 석탑.
  • 재체 : (1)정찰, 통신, 지구 탐사, 기상 예보 따위와 같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탑재되는 위성체의 구성 부분.
  • 하다 : (1)입 안이 산뜻하지 못하다. (2)음식 맛 따위가 산뜻하지 못하다. (3)눈이 개운하거나 깨끗하지 못하다. (4)날씨나 공기 따위가 숨 쉬기 어렵게 답답하다. (5)분위기나 기분 따위가 몹시 답답하거나 따분하다. (6)성미가 까다롭지 않고 소탈하다. (7)성격이 옹졸하거나 답답한 데가 있다.
  • 재 장교 : (1)탑재 계획, 적재 및 상륙군의 탑재 사항 따위에 관하여 지휘관을 보좌하는, 상륙군의 단위 부대 참모 장교.
  • 개산 : (1)절을 처음 세운 개산조사의 사리나 뼈를 넣어 둔 탑.
  • 창녕 금당 치성문기비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비. 인양사 및 이와 관련된 여러 절의 범종ㆍ탑ㆍ금당 따위의 조성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통일 신라 혜공왕 7년(771)부터 헌덕왕 2년(810)까지의 일을 적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창녕 인양사 조성비’이다.
  • : (1)임금이 앉는 상탑(牀榻).
  • : (1)체질 분석을 할 때 표준체를 흔드는 기계. ‘채흔들개’로 다듬음. ⇒남한 규범 표기는 ‘노탑’이다.
  • : (1)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등으로 이루어진 지식인 집단. 이들은 조선 영조, 정조 때 서울 사대문 안 탑골 백탑 아래 모여 시문과 선진 사상에 대해 논하였다.
  • : (1)깔고 앉기도 하고 눕기도 하는 여러 가지 도구. 평상(平牀), 침상(寢牀) 따위가 있다.
  • 장흥 천관사 삼층 석 : (1)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농암리 천관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안정된 비례로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고, 세부적인 표현이 약해진 것으로 보아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795호.
  • 변성 : (1)일산화 탄소와 수증기를 반응시켜 이산화 탄소와 함께 수소를 생산하는 장치.
  • 코트 : (1)싱글로서 단추가 서너 개 달린, 껴입게 된 외투. ⇒규범 표기는 ‘톱코트’이다. (2)봄이나 가을에 입는 가벼운 외투. ⇒규범 표기는 ‘톱코트’이다.
  • 삭부리 : (1)탑삭나룻이 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배연 : (1)건축물 방재 시설의 하나.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 안으로 스며드는 연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통하게 만든 공간이다.
  • 촉매식 탈질 : (1)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질소를 기체 암모니아로 제거하는 장치.
  • : (1)탑 모양으로 생긴 형식. (2)탑을 이용하는 방식.
  • 재 가능 볼륨 : (1)자기 디스크 팩이나 자기 테이프 릴과 같이 그 자체를 한 단위로, 기존의 파일 시스템에 탈착할 수 있는 보조 기억 장치 매체.
  • 무량사 오층 석 : (1)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 백제 양식과 통일 신라 양식을 조화시켜 만든 탑으로, 안정적인 체감 비율로 우아하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석재의 조성 수법 등으로 볼 때 고려 초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부여 무량사 오층 석탑’이다.
1 3 4 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타, 탁, 탄, 탈, 탐, 탑, 탓, 탕, 태, 택, 탬, 탭, 탱, 터, 턱, 턴, 털, 텀, 텅, 텋, 테, 텍, 텐, 텔, 템, 텝, 텡, 텨, 텹, 톄, 토, 톡, 톤, 톨, 톱, 톳, 통, 퇴, 툅, 투, 툭, 툰, 툴, 툼, 툽, 퉁, 퉤, 튀, 튈, 튐, 튝, 트, 틀, 틈, 틉, 틔, 티, 틱, 틴, 팀, 팁

실전 끝말 잇기

탑으로 시작하는 단어 (205개) : 탑, 탑 가수, 탑각, 탑각 저항, 탑각 확장 지지대, 탑객, 탑 건물, 탑골 공원, 탑골미투리, 탑골치, 탑교, 탑구, 탑구름, 탑국, 탑기단, 탑 기중기, 탑꼴, 탑꽃, 탑다운 개발, 탑돌이, 탑동 공원, 탑두, 탑등, 탑 라이트, 탑 러너 방식, 탑 로프 고릴라 프레스 드랍, 탑 로프 스타일스 클래쉬, 탑 로프 스피닝 힐 킥, 탑 로프 싯아웃 인버티드 수플렉스 슬램, 탑 로프 오버헤드 벨리 투 벨리 수플렉스 ...
탑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0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탑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11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