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12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05개 세 글자:71개 네 글자:95개 다섯 글자:20개 여섯 글자 이상:20개 🎊모든 글자: 312개

  • 령무 : (1)군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장군의 모습을 담은 전통 춤.
  • 령서 : (1)훈령을 기록한 서류.
  • 령하다 : (1)상급 관청에서 하급 관청을 지휘ㆍ감독하기 위하여 명령을 내리다.
  • : (1)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 (2)향을 피우는 자그마한 화로. 만드는 재료와 모양이 여러 가지이며, 규방에 쓰는 것과 제사에 쓰는 것으로 구분한다.
  • : (1)인도나 페르시아 등지에서 생산되는 나뭇진. 돌처럼 굳어 있고, 쓴맛이 있으며, 약재나 향료로 쓰인다. (2)누런 갈색이나 어두운 갈색의 나뭇진. 호박(琥珀)과 비슷하나 성분이 다르며, 가루로 만들어져 향료로 쓰인다.
  • 륙향 : (1)감람과에 속하는 상록수의 진이 녹아 흘러 땅속에서 굳어져 향기를 내는 물건.
  • : (1)달무리, 햇무리 따위의 둥근 테두리.
  • : (1)조선 시대에, 임금과 공신(功臣)이 짐승을 잡아 하늘에 제사 지내고 단결을 맹세하던 일.
  • : (1)나라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 명장상 : (1)큰 공명을 이루어서 이름을 빛낸 장수와 재상. ‘훈명(勳名)’은 ‘공명(功名)’과 같은 말이다. 소식의 시 <증사진하수재(贈寫眞何秀才)>에 나오는 표현이다.
  • : (1)향료를 옷에 뿌리고 머리를 감아 몸을 깨끗이 함.
  • 목하다 : (1)향료를 옷에 뿌리고 머리를 감아 몸을 깨끗이 하다.
  • : (1)어린아이나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글을 가르침.
  • 몽자회 : (1)조선 중종 22년(1527)에 최세진이 지은 한자 학습서. 3,360자의 한자를 33항목으로 종류별로 모아서 한글로 음과 뜻을 달았다. 중세 국어의 어휘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3권 1책.
  • 몽하다 : (1)어린아이나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글을 가르치다.
  • : (1)저녁 안개.
  • : (1)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가 있는 문벌. (2)권세 있는 집안.
  • : (1)백성을 가르침.
  • 민가 : (1)조선 시대에, 송강 정철이 지은 16수의 시조. 작가가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 백성을 훈계하기 위하여 지었으며, ≪송강가사≫에 실려 전한다.
  • 민정음 : (1)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 (2)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제70호.
  • 민정음도해 : (1)조선 영조 26년(1750)에 신경준이 지은 음운 연구서. 훈민정음의 음운 원리를 그림을 그려 역학적으로 풀이하였다. 1책.
  • 민정음언해 : (1)≪훈민정음≫의 어제 서문(御製序文)과 자모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를 한글로 풀이한 것. ≪월인석보≫의 첫머리에 실렸다.
  • 민정음운해 : (1)조선 영조 26년(1750)에 신경준이 지은 음운 연구서. 훈민정음의 음운 원리를 그림을 그려 역학적으로 풀이하였다. 1책.
  • 민정음통사 : (1)1948년에 방종현이 훈민정음의 시대에 따른 변화를 깊이 연구한 책.
  • 민정음해례 : (1)‘훈민정음’에서 제자해(制字解), 초성해(初聲解), 중성해(中聲解), 종성해(終聲解), 합자해(合字解)의 5해(解)와 용자례(用字例)의 1례(例) 부분을 이르는 말. (2)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과 모음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훈민정음’이다.
  • 민정음해례본 : (1)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과 모음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훈민정음’이다.
  • 민하다 : (1)백성을 가르치다.
  • : (1)‘훈계 방면’을 줄여 이르는 말.
  • 방되다 : (1)상생활에서 가벼운 죄를 범한 사람이 훈계를 받고 풀려나다.
  • 방하다 : (1)일상생활에서 가벼운 죄를 범한 사람을 훈계하여 놓아주다.
  • : (1)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가 있는 문벌.
  • : (1)각 부대에 배치되기 전에 훈련 기관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병사.
  • : (1)봉작(封爵)과 증직(贈職)을 아울러 이르던 말.
  • : (1)조선 시대에, 공신(功臣)의 훈공을 기록하는 일을 맡아 하던 관아.
  • : (1)약을 태우면서 그 냄새를 맡게 하는 치료 방법.
  • : (1)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경계하는 말.
  • : (1)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에 대한 상. (2)조선 시대에, 임금이 곤룡포 위에 입던 비단 치마. 앞은 세 폭, 뒤는 네 폭을 이어 만든다.
  • : (1)광물의 내부나 표면에서 볼 수 있는, 선이 분명하지 아니하고 보일 듯 말 듯 희미하고 엷은 무지개 같은 빛깔.
  • 색 유리 : (1)광선을 여러 각도로 반사하여 아름다운 광채를 내는 유리.
  • : (1)조선 시대에, 서인(西人) 가운데 김유(金瑬)를 중심으로 인조반정 때 공을 세운 분파.
  • 서언해 : (1)조선 영조 32년(1756)에 영조가 지은 ≪어제훈서≫를 한글로 풀이한 책. 근세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1책.
  • : (1)한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함.
  • 석하다 : (1)한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하다.
  • : (1)바둑이나 장기 따위를 둘 때에 구경하던 사람이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줌. (2)남의 일에 끼어들어 이래라저래라 하는 말. (3)덕화(德化)를 받아서 수행함. (4)‘덤’의 방언
  • 수꾼 : (1)남이 두는 바둑이나 장기 따위에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주는 사람.
  • 수를 들다 : (1)바둑이나 장기 따위를 둘 때에 구경하던 사람이 끼어들어 참견하다. (2)남의 일에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주다.
  • 수질 : (1)남의 일에 끼어들어 이래라저래라 하는 짓.
  • 수하다 : (1)바둑이나 장기 따위를 둘 때에 구경하던 사람이 끼어들어 수를 가르쳐 주다. (2)남의 일에 끼어들어 이래라저래라 말을 하다. (3)덕화(德化)를 받아서 수행하다.
  • 스디커 반응 : (1)카르복시산의 은염과 할로겐 원소 간에 일어나는 유기 반응. 할로겐화 반응의 하나로, 유기 할로겐화물을 생성한다.
  • : (1)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한다는 뜻으로, 우리가 행하는 선악이 없어지지 아니하고 반드시 어떤 인상(印象)이나 힘을 마음속에 남김을 이르는 말.
  • 습하다 : (1)우리가 행하는 선악이 없어지지 아니하고 반드시 어떤 인상(印象)이나 힘을 마음속에 남기다. 향이 그 냄새를 옷에 배게 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 (1)상관이 하관에게 집무상의 주의 사항을 일러 보임. (2)가르쳐 보이거나 타이름. (3)예전에, 관청의 명령을 일반에게 알리던 일. 또는 그런 게시.
  • 시 규정 : (1)위반하더라도 그 위반 행위의 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규정.
  • 시 기간 : (1)어떤 사항을 지키도록 규정이 되어 있어 노력을 해야 하지만 그 기간이 지나서 어떠한 행위를 한다고 하더라도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고, 지키지 않았을 때 효력이나 제재 사항이 없어서 권고적 의미를 갖는 기간.
  • 시자 : (1)훈시를 하는 사람.
  • 시하다 : (1)상관이 하관에게 집무상의 주의 사항을 일러 보이다. (2)가르쳐 보이거나 타이르다. (3)예전에, 관청의 명령을 일반에게 알리다.
  • : (1)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공로를 세운 신하.
  • : (1)어육(魚肉)이나 수육(獸肉)을 연기에 익혀 말리는 방.
  • : (1)연기 중의 유효 성분을 물에 녹여 식품을 훈제하는 대신으로 쓰는 액체.
  • : (1)불에 태워서 나오는 기운을 쐬어 병을 치료하는 약.
  • : (1)타일러서 잘못이 없도록 경계하는 말.
  • : (1)큰 공로가 있는 사업.
  • : (1)연기로 익힘. 또는 그 연기. (2)냄새가 좋은 연기.
  • 연 건조 : (1)고기의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조직 간의 훈연을 통하여 고기의 저장성을 높이는 가공법.
  • 연 고기 : (1)육류와 어류의 보존 기간을 늘리고 풍미를 좋게 하기 위하여 소금 처리를 한 후에 연기로 조리한 것.
  • 연기 : (1)벌통을 개봉하기 전에, 벌에 쏘이지 않도록 연기를 피우는 기구.
  • 연 닭 : (1)생닭을 훈연하여 풍미를 더한 제품.
  • 연 돈육 소시지 : (1)돼지고기를 기본 재료로 하여 훈연 가공을 한 소시지.
  • 연 발생기 : (1)훈연실 밖에 설치된 관을 통하여 훈연실 내부로 연기를 공급하는 장치.
  • 연법 : (1)풀, 겨 따위를 태운 연기를 논밭 위에 끼게 하여 서리의 피해를 막는 방법.
  • 연 설비 : (1)훈연용 연기를 생산하고 저장하는 장치.
  • 연 소독 : (1)액체 상태의 훈연 소독용 약제를 이용하여 축사를 소독하는 일.
  • 연 소시지 : (1)분쇄한 원료육에 향신료와 조미료를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케이싱에 충전한 뒤에, 훈연과 가열 처리를 하거나 훈연 과정에서 단백질을 변성시킨 식품.
  • 연실 : (1)어육(魚肉)이나 수육(獸肉)을 연기에 익혀 말리는 방.
  • 연액 : (1)훈연과 동일한 효과를 내는 혼합액.
  • 연육 시험 : (1)고기를 훈연하여 만든 식품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 연재 : (1)연기를 생산하는 훈연용 목재의 하나. 수분 함량이 적으며 다량의 방부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 연제 : (1)불에 태워서 나오는 연기나 유효 성분으로 살충ㆍ살균을 하는 약. 모기향 따위가 있다.
  • 연 처리 : (1)화훼 구근류 따위에 연기를 주어 화아 분화를 유도하고 휴면에서 깨어나게 함으로써 개화 따위를 촉진하는 일. 연기에 들어 있는 에틸렌의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 연하다 : (1)연기로 익히다.
  • 연 합봉 : (1)연기를 쏘아 꿀벌 집단을 하나로 모으는 일.
  • 연 향료 : (1)훈연 향기의 성분을 응축시켜 만든 향료. 소시지류 따위의 가공식품에 향미를 더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 : (1)큰 공훈. (2)‘훈열하다’의 어근.
  • 열하다 : (1)찌는 듯이 무덥다.
  • : (1)좋은 감화를 주거나 받음.
  • 염하다 : (1)좋은 감화를 주거나 받다.
  • : (1)강한 빛이 필름이나 사진 건판에 닿았을 때, 그 면에서 반사된 빛이 다시 유제(乳劑)에 닿아 감광되는 현상.
  • 옹법 : (1)지도를 만들 때에 새의 깃과 같은 짧고 가는 깃 선으로 지형을 조형적으로 묘사하는 방법. 깃 선을 산꼭대기에서 산기슭으로 향하여 배열하는데, 지금은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
  • 요십조 : (1)고려 태조가 후손에 전한 신서(信書)와 훈계(訓戒) 10조로 이루어진 정치 지침서. 불교 신앙과 풍수지리 사상이 대부분으로, 역대의 왕이 이에 의하여 정치를 하였다고 한다.
  • : (1)약재 따위를 태운 더운 연기를 몸에 쐬는 일.
  • : (1)달무리, 햇무리 따위의 둥근 테두리. (2)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와 벼슬의 등급.
  • : (1)가르쳐 타이름. 또는 그런 말. (2)향내가 나는 풀과 나쁜 냄새가 나는 풀이라는 뜻으로, 착한 사람과 못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유하다 : (1)가르쳐 타이르다.
  • : (1)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름. (2)중국 하(夏)나라 때에, ‘북적’을 이르던 말. 진나라, 한나라, 전국(戰國) 시대의 흉노(匈奴)에 해당한다. (3)연기로 익힌 고기. (4)덕(德)으로써 사람을 인도하여 가르치고 기름.
  • 육대 : (1)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르는 부대.
  • 육되다 : (1)품성이나 도덕 따위가 가르쳐져 길러지다. (2)덕(德)으로써 사람이 인도되어 가르쳐지고 길러지다.
  • 육법 : (1)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르는 방법.
  • 육자 : (1)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르는 사람.
  • 육 주임 : (1)‘학생 주임’의 전 용어.
  • 육하다 : (1)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르다. (2)덕(德)으로써 사람을 인도하여 가르치고 기르다.
1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훈으로 끝나는 단어 (153개) : 고광훈, 흑훈, 훈훈, 봉훈, 어제내훈, 선훈, 주훈, 설훈, 풍훈, 치세훈, 혜훈, 론훈, 국가수훈, 태사훈, 치문경훈, 산상 수훈, 캘훈, 김익훈, 조훈, 위훈, 동몽훈, 일훈, 김훈, 홍계훈, 외통장훈, 애훈, 보훈, 담훈, 민광훈, 다색훈 ...
훈으로 끝나는 단어는 15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훈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12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