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27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01개 세 글자:415개 네 글자:390개 다섯 글자:82개 여섯 글자 이상:89개 🏖모든 글자: 1,278개

  • 지기지 : (1)자기의 속마음을 참되게 알아주는 친구.
  • 열무 : (1)‘열무’의 옛말.
  • 레이저 : (1)‘하이캉현’의 옛 이름.
  • ㄹ려 : (1)‘-려고 하오’가 줄어든 말. ⇒규범 표기는 ‘-려오’이다.
  • 간소새 : (1)새우를 튀긴 다음 두반장, 핫소스 등을 넣은 소스를 끼얹어 먹는 음식. ⇒규범 표기는 ‘깐쇼새우’이다.
  • 관둥저 : (1)중국 동북부 랴오둥반도(遼東半島)의 남쪽 지역. 1905년 러일 전쟁의 결과 일본의 지배를 받았으나, 제이 차 세계 대전 후 중국에 접수되었다.
  • 토매인 : (1)야만인 대우.
  • : (1)한글 자모 ‘ㅜ’의 이름. (2)여럿이 한꺼번에 한곳으로 몰려드는 모양. (3)바람이 세차게 한 방향으로 몰아치는 소리. (4)시시하거나 잘못된 것을 야유할 때 지르는 소리. (5)상대편을 위협할 때 지르는 소리. (6)‘월경’의 방언 (7)어떤 기준보다 더 높은 쪽. 또는 사물의 중간 부분보다 더 높은 쪽. ⇒규범 표기는 ‘위’이다. (8)‘위’의 북한어. (9)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목천(木川) 하나뿐이다. (10)이십팔수의 아홉째 수(宿). 이 수의 좌표 기준이 되는 수거성(宿距星)은 현대 천문학의 이름으로는 다비흐에 해당한다. (11)북쪽을 향하였을 때의 동쪽과 같은 쪽. (12)보수적이거나 국수적인 경향. 또는 그런 단체. 1792년에 프랑스 국민 회의에서, 온건파인 지롱드당이 의장의 오른쪽 의석을 차지한 데서 나온 말이다. (13)동양 음악에서, 오음계 가운데 궁에서 다섯째 음. 오음계의 마지막 음이다. (14)동양 음악에서, 칠음계 가운데 궁에서 여섯째 음. (15)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단양(丹陽), 안양(安養), 안동(安東) 등 10여 본이 현존한다. (16)중국 고대 전설상의 임금. 곤(鯀)의 아들로서 치수에 공적이 있어서 순(舜)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아 하(夏)나라를 세웠다고 한다. (17)생황이나 소(簫)와 비슷한 악기. 처음에는 죽관이 서른여섯 개였으나 뒤에 열아홉 개로 바뀌었다. (18)삼국 시대부터 널리 쓰던 관악기의 하나. (19)어리석음. (20)신라 때에, 석씨 계통의 왕실 재정 기관인 본피궁에 속하여 수공업자들을 감독하고 통제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21)성적이나 등급을 ‘수, 우, 미, 양, 가’의 다섯 단계로 나눌 때 둘째 단계. (22)하오할 자리에 쓰여, 동작이나 상태의 서술ㆍ의문ㆍ명령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주로 나이가 든 여성들이 손위 동서나 언니 등의 친근한 손윗사람을 대할 때 쓴다. (23)하오할 자리에 쓰여, 설명ㆍ의문ㆍ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규범 표기는 ‘-오’이다. (24)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5)피동이나 사동의 뜻을 강조하는 접미사. (26)동작 주체의 의도를 나타내는 어미. (27)사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28)‘목말’의 방언 (29)‘위’의 방언 (30)천남성과에 속한 토란의 생약명. 뿌리줄기를 약용한다. (31)수련과에 속한 연꽃의 생약명. 뿌리줄기를 약용하며 청열, 해열, 산어의 효능이 있어 주독, 토혈을 치료하는 데 쓴다. (32)길고 높은 것의 꼭대기나 그쪽에 가까운 곳. ⇒규범 표기는 ‘위’이다. (33)어떤 사물의 거죽이나 바닥의 표면. ⇒규범 표기는 ‘위’이다. (34)신분, 지위, 연령, 등급, 정도 따위에서 어떠한 것보다 더 높거나 나은 쪽. ⇒규범 표기는 ‘위’이다.
  • 문조 : (1)‘문종이’의 방언
  • 범용 플라 : (1)형태가 신간형과 재간형의 중간 정도인 플라우. 일반적인 토양에 알맞은 형태이다.
  • 에브 앤드 플로 : (1)밑에서부터 물이나 양액(養液)을 일정 시간 채워 담수 상태를 만든 후 배수하는 방법. 수경 재배 및 분화 저면 관수의 한 방법이다.
  • 질풍대 : (1)센 바람과 큰비라는 뜻으로, 몹시 험한 날씨를 이르는 말.
  • 국 발 : (1)국을 담는 공양 그릇. 절에서 승려가 식사를 할 때 사용한다.
  • 좌궁 : (1)새의 오른쪽 날개깃으로 꾸민 화살의 깃.
  • 열전 : (1)‘열전기쌍’의 북한어.
  • : (1)음력 시월께 오는 비. 그 빗물은 약에 쓴다고 한다.
  • 거내 : (1)어머니의 상사를 당함.
  • 춘풍추 : (1)봄바람과 가을비라는 뜻으로, 지나간 세월을 이르는 말.
  • 부당 대 : (1)어떠한 대상을 이치에 맞지 아니하게 대우하는 일.
  • 애우애 : (1)‘야옹야옹’의 방언
  • : (1)그릇되게 저지른 실수. (2)거세(去勢)한 소. (3)중국 서하 인종(仁宗) 때의 연호(1171~1193). (4)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당 고조(高祖)ㆍ은제(隱帝) 때의 연호(948~950). 고조에 뒤이어 은제도 후당이 멸망할 때까지 사용하였다.
  • : (1)벗을 사귐. 또는 그 벗. (2)같은 학교를 다니는 벗. (3)같은 학교의 직원과 졸업생, 재학생을 통틀어 이르는 말. (4)같은 종교를 믿는 벗. (5)남의 집이나 타향에서 임시로 몸을 부쳐 삶. 또는 그런 집. (6)절친한 친구.
  • : (1)산자 위에 흙을 깔고, 그 위에 암키와를 깔 때에 그 좌우 또는 밑의 빈자리에 다져 넣는 진흙. (2)절지동물문 십각목 장미아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딱지로 덮여 있고 머리, 가슴, 배로 나뉘며 머리와 가슴은 유합되어 있다. 두흉부는 원통형으로 굳은 딱지로 덮여 있고 한 쌍의 자루가 있는 눈, 두 쌍의 더듬이, 다섯 쌍의 걷는다리 따위가 있다. 배부는 일곱 마디로 근육이 발달하고 다섯 쌍의 유영각이 있다. 아가미로 호흡하고 암수딴몸으로 탈바꿈한다. 식용하고 대하, 보리새우, 젓새우, 중하 따위가 있는데 한대에서 열대에 걸쳐 민물, 바닷물에 널리 분포한다. (3)‘상여’의 방언
  • : (1)선(禪)을 수행하여 자기의 본심(本心)을 찾아 깨달음에 이르는 순서를 열 단계로 나타낸 것. 본심을 소에 비유하여, 소를 찾는 심우(尋牛), 소의 발자국을 발견하는 견적(見迹), 소를 발견하는 견우(見牛), 소를 얻는 득우(得牛), 소를 기르고 길들이는 목우(牧牛),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우귀가(騎牛歸家), 소를 잊어버리고 사람만 남는 망우존인(忘牛存人), 소나 자기나 다 잊어버리는 인우구망(人牛俱忘), 본래의 맑고 깨끗한 근원으로 돌아가는 반본환원(返本還源), 세속으로 들어가 중생들을 제도하는 입전수수(入廛垂手)의 열 단계로 설명한다. (2)열흘에 한 번 오는 비라는 뜻으로, 알맞게 때를 맞추어 내리는 비를 이르는 말.
  • 대류형 강 : (1)지표면 근처의 대기가 가열되거나 대기의 상층부가 냉각되었을 때, 상층과 하층의 불균등한 온도로 인하여 내리는 비.
  • : (1)좋은 친구. (2)좋은 배필이나 짝. (3)임시로 거처함. 또는 그런 곳. (4)신라 유리왕 때에 궁중에서 하던 놀이. 음력 7월 16일부터 8월 14일까지 나라 안의 여자들을 모아 두 편으로 갈라, 왕녀 둘이 각각 한 편씩 거느리고 밤낮으로 길쌈을 하여 그 많고 적음을 견주어, 진 편에서 추석에 음식을 내고 춤과 노래 및 여러 가지 놀이를 하였다. (5)가극에 출연하는 성악 배우. (6)가마나 상여 또는 짐수레를 끌던 소. (7)‘가위’의 방언 (8)‘가위’의 방언 (9)‘가’의 방언 (10)‘채’의 방언 (11)‘한가위’의 방언 (12)‘겨우’의 방언 (13)중국 북송(北宋) 인종(仁宗) 때의 연호(1056~1063).
  • 강변 칠 : (1)조선 광해군 때에, 계축옥사와 관련된 일곱 명의 서자(庶子). 박응서(朴應犀), 서양갑(徐羊甲), 심우영(沈友英), 이준경(李俊耕), 박치인(朴致仁), 박치의(朴致毅), 김평손(金平孫)을 이른다. 벼슬길이 막혔음을 한탄하던 중 대북(大北)의 사주로 소북(小北)이 모반을 꾀한다고 허위로 고발하여 계축옥사가 일어나게 하였다.
  • : (1)솟과의 포유류. 몸의 길이는 2미터, 어깨의 높이는 1.8미터 정도이며, 회색 또는 잿빛을 띤 흑색이고 활 모양의 검고 긴 뿔이 있다. 털은 짧고 거칠며 이마의 가운데가 불거지고 귀가 짧다. 운반용, 경작용 가축으로 기른다. 인도, 미얀마, 타이, 필리핀,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2)빼어나게 아름다운 깃이라는 뜻으로, ‘공작우’를 달리 이르는 말. (3)‘수우하다’의 어근. (4)특별한 대우. (5)나무로 만든 공작(孔雀). 편종(編鐘), 편경(編磬) 따위의 가자(架子) 위에 꽂는다. (6)안개가 삼림을 지나칠 때 나뭇가지나 잎에 달라붙어 커다란 물방울이 되어 떨어지는 현상.
  • 복익 : (1)박쥐의 날개. (2)닭의 깃털 중 날개의 안쪽에 있는 작고 부드러운 깃털.
  • 흑모화 : (1)일본이 원산지인 육우 품종의 하나. 고기의 맛이 좋아 전 세계적으로 고가에 거래되고 있다.
  • : (1)조선 시대에, 금군 칠번 가운데 하나인 우림위의 둘째 부대. (2)조선 시대의 서화가(1637~1693). 자는 석경(碩卿). 호는 관란정(觀瀾亭). 글씨에 능하여 모든 서체를 다 잘 썼으며, 많은 비액(碑額)을 남겼다. 현종 때에 왕자들과 함께 칠조(七朝)의 어필(御筆)을 모사(模寫)하여 간행하였다. (3)조선 시대의 서화가(1542~1609). 자는 계헌(季獻). 호는 옥산(玉山)ㆍ죽와(竹窩)ㆍ기와(寄窩). 신사임당의 넷째 아들로, 벼슬은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냈다. 거문고, 시(詩), 서(書), 화(畫)에 능하여 사절(四絕)이라 불리었다. 작품에 <설중매죽도(雪中梅竹圖)>가 있다. (4)털빛이 얼룩얼룩한 소. (5)다른 세계로 옮겨 감. (6)임시로 다른 곳으로 옮겨 가 몸을 붙여 삶. (7)남에게 근심과 걱정을 끼침. (8)‘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란다 : (1)에드문트 란다우, 독일의 수학자(1877~1938). 1909년에 괴팅겐 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해석적 정수론, 함수론의 발전에 공이 컸으나, 나치스로부터 추방당하였다. 저서에 ≪소수 분포론≫, ≪피카르의 정리 연구≫ 따위가 있다. (2)레프 다비도비치 란다우, 아제르바이잔의 이론 물리학자(1908~1968). 물리학의 모든 분야에 업적을 남겼고, 액체 헬륨의 초유동(超流動)의 이론이나 초전도(超傳導)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로 유명하며 1962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 눈자 : (1)‘눈자위’의 방언
  • : (1)이어. 잇따라.
  • 폭풍 : (1)몹시 세찬 바람이 불면서 쏟아지는 큰비. (2)생활이나 사업 따위에서의 몹시 어려운 고통이나 난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단금 : (1)쇠라도 자를 만한 우정이라는 뜻으로, 교분이 아주 두터운 친구를 이르는 말.
  • 징검새 : (1)‘징거미새우’의 방언
  • 옹동 : (1)‘옹동이’의 방언
  • 닐링 서포티드 엘보 아웃 싱글 암 덤벨 로 : (1)웨이트 트레이닝에서, 등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의 하나. 손은 쭉 펴고 같은 쪽 다리는 무릎을 꿇어 평면 벤치에 몸을 지탱한 후 다른 손으로 덤벨을 잡는다. 이 자세에서 덤벨을 잡은 손만 팔꿈치를 옆으로 벌려 덤벨을 가슴 옆으로 들어 올렸다 내리기를 반복한다.
  • 몽고 : (1)소의 한 품종. 몸은 작고 짙은 붉은 갈색이다. 몽골 지방에서 반(半)야생하는데 우유를 짜거나 기타의 목적으로 사육한다.
  • 교각살 : (1)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이나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 마른 새 : (1)햇볕이나 건조기에 말린 새우.
  • : (1)뉘우침과 허물을 아울러 이르는 말. (2)같은 모임이나 단체를 구성하는 사람. (3)교우, 수도회, 은사회 따위에서 회원 서로를 이르는 말. (4)한데 모여 만남. (5)오다가다 만나거나 마주침.
  • 최혜국 대 : (1)통상 조약이나 항해 조약을 체결한 나라가 상대국에 대하여 가장 유리한 혜택을 받는 나라와 동등한 대우를 하는 일.
  • 때께 : (1)‘거위’의 방언
  • 국지성 호 : (1)일정하게 한정된 지역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큰비.
  • 은폐 뇌 : (1)거대한 구름이나 두꺼운 연무층에 가리어진 뇌우.
  • 국민 배 : (1)나라를 대표할 만한 뛰어난 배우를 이르는 말.
  • 뚱뚱바 : (1)‘뚱뚱보’의 방언
  • 샤바 : (1)‘애꾸눈이’의 방언
  • 무산지 : (1)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버로 : (1)골프에서, 퍼트를 할 때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좌우로 공이 휘어지는 정도.
  • 싱검바 : (1)‘싱검둥이’를 달리 이르는 말.
  • 깡더 : (1)‘강더위’의 방언
  • 사마 : (1)‘사마귀’의 방언
  • 어딜 : (1)어질게.
  • : (1)상례에서, 장사를 지내고 신주(神主)를 집에 모셔올 때에 성문 밖에 나가서 맞이함. (2)화가 나면서도 한편으로는 걱정이 됨. (3)연일 계속하여 내리는 비. (4)안개처럼 부옇게 내리는 비. (5)연꽃의 뿌리줄기. 구멍이 많고, 주성분은 녹말이며, 저냐ㆍ죽ㆍ정과(正果)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얕은 연못이나 깊은 논에서 재배한다. (6)중국 원나라 인종(仁宗) 때의 연호(1314~1320).
  • 아래 : (1)아래와 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아래위’이다. (2)‘아래위’의 북한어.
  • 벡창 : (1)‘벽창호’의 방언
  • 짜른중 : (1)‘잠방이’의 방언
  • 무병소 반응 : (1)겉으로 보이는 병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체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은 소.
  • 저따 : (1)‘저따위’의 방언 (2)‘저따위’의 방언
  • 삼복더 : (1)‘삼복더위’의 방언
  • : (1)소나기처럼 시원스럽게 내리는 비. (2)소를 사고팔 때, 중간에서 흥정을 붙이는 일.
  • 게페 : (1)소련의 비밀경찰인 국가 정치 보안부. 1922년 체카를 개편한 것으로 반혁명 인사를 찾아내고 처벌하는 일을 하였다. 1934년에 내무 인민 위원회로 바뀌었다.
  • 크림새 : (1)밀가루 따위를 묻혀 튀긴 새우에 마요네즈, 설탕, 식초를 섞어서 만든 소스를 끼얹어 먹는 음식.
  • : (1)임금이 거처하는 집. (2)동양 음악에서, 오음 가운데 궁(宮)과 우(羽)의 소리.
  • 바름 : (1)바람이 불어오는 쪽. 제주 지역에서는 ‘름우’로도 적는다.
  • 고능력 : (1)고기나 젖의 양, 품질 등 생산성이 우수한 소.
  • 뮤지컬 보 : (1)아프리카에서 유래된 활 모양으로 만들어진 악기. 포크 송이나 컨트리 음악에 사용한다.
  • 딱총새 : (1)딱총새웃과의 갑각류. 몸은 5cm 정도이며 연한 황색이다. 집게발은 좌우 비대칭이며 연한 황색으로, 큰 집게발을 여닫아 ‘딱딱딱’ 소리를 낸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돌바 : (1)‘바위’의 방언
  • 콩대 : (1)이른 봄에 보리, 밀, 조 따위를 심은 밭이랑 사이사이에 드문드문 콩을 심는 일. 또는 그 콩.
  • 장자커 : (1)중국 허베이성(河北省) 서부에 있는 상업 도시. 완리창청(萬里長城)의 관문으로, 내몽골로 통하는 교통 요충지이다.
  • : (1)거름으로 쓰는 똥과 오줌 (2)죽은 벗. (3)근심을 잊음. (4)온갖 시름을 잊게 한다는 뜻으로, ‘술’을 이르는 말. (5)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10미터이며, 잎은 뿌리에서 나와 서로 엉키면서 자란다. 꽃은 8~9월에 잎 사이에서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연한 녹색의 둥근 모양으로 모여 달린다. 덩이줄기는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물속에서 자라며, 중국이 원산지이다.
  • 아라 : (1)클라우디오 아라우, 칠레 태생의 미국 피아니스트(1903~1991). 독일 음악의 전통을 갖춘 로맨틱한 연주가 특색이다. (2)해요할 자리에 쓰여, 설명ㆍ의문ㆍ명령ㆍ청유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어미 ‘-아’와 보조사 ‘요’가 결합한 말이다. ⇒규범 표기는 ‘-아요’이다.
  • : (1)‘종이’의 방언
  • 도림방 : (1)동양화에서, 중국 주나라 무왕이 천하를 다스리고 소를 도림에 놓았다는 고사를 다룬 화제(畫題).
  • 스커플 호 : (1)잡초를 제거하는 데 쓰는 괭이.
  • 뺌짱 : (1)‘질경이’의 방언
  • 북극여 : (1)갯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50~60cm이며, 여름에는 갈색, 겨울에는 흰색이고 귀나 다리는 짧다. 혹한에 잘 견디며 겨울을 대비하여 구릉지에 구멍을 만들어 먹이를 저장하기도 한다. 모피는 매우 귀하게 여겨진다. 유럽 북부, 아시아 북부, 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 : (1)연극이나 영화 따위에 등장하는 인물로 분장하여 연기를 하는 사람. (2)가면극, 인형극, 줄타기, 땅재주, 판소리 따위를 하던 직업적 예능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 (3)부부로서의 짝. (4)동물 따위의 암수가 짝을 이루거나, 짝이 이루어지게 하는 일. 또는 교미하는 행위.
  • 널바 : (1)‘너럭바위’의 방언
  • 문장사 : (1)중국 당나라 초기의 시인 이교, 최융(崔融), 소미도(蘇味道), 두심언(杜審言)을 함께 이르는 말. 네 사람 다 궁정 시인으로 이름을 날렸다. 이 중 두심언의 시가 가장 문학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 캐스트 섀도 : (1)피사체에 조명을 비출 때 생기는 그림자. ⇒규범 표기는 ‘캐스트 섀도’이다.
  • 해로 : (1)쟁기로 땅을 간 뒤에, 흙덩이를 잘게 쳐서 깨는 서양 농기구. ⇒규범 표기는 ‘해로’이다.
  • 레나 : (1)니콜라우스 레나우, 헝가리 태생의 오스트리아 시인(1802~1850). 우수와 정열이 조화를 이루는 특색 있는 서정시를 발표하였다. 복잡한 성격의 소유자로 불안과 초조에 시달리다 정신 착란으로 사망하였다.
  • 정극 배 : (1)드라마나 영화와 같은, 정통 있는 장르에서 연기를 하는 사람.
  • 몰드보드 플라 : (1)트랙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농기계의 하나. 보습, 지측판, 발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대칭 플라 : (1)중앙에 견인점을 두고 앞뒤에 반대 방향의 이체를 설치하여 왕복할 때마다 필요하지 않은 쟁기를 들어 올리며 경운하는 전후 대칭형의 플라우.
  • 불피풍 : (1)비바람을 무릅쓰고 한결같이 일을 함.
  • : (1)새로 사귄 벗.
  • 간접 처 : (1)사회 복지 활동 전문가가 대상자를 둘러싸고 있는 인적, 물적, 제도적 환경에 개입하여 문제 해결을 도모하거나 적응을 돕는 활동과 원조.
  • 인자불 : (1)어진 사람은 마음이 항상 평화스러워 근심을 가지지 아니함.
  • 으라 : (1)‘-아라’의 방언
  • : (1)비가 더 내리도록 만듦.
  • : (1)‘인방’의 방언
  • 이용 : (1)화가(1902~1952). 자는 창윤(蒼潤). 호는 춘전(春田)ㆍ묵로(墨鷺). 산수(山水), 화조(花鳥), 인물, 묵란(墨蘭) 등을 잘 그렸다. 작품에 <추경산수도(秋景山水圖)>, <석란도(石蘭圖)> 따위가 있다.
  • 매염봉 : (1)소금을 팔다가 비를 만났다는 뜻으로, 하려는 일에 뜻하지 아니한 장애가 생기게 됨을 이르는 말.
  • 흰서 : (1)‘흰코뿔소’의 북한어.
1 3 4 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우로 시작하는 단어 (3,874개) : 우, 우가, 우가리트, 우가리트어, 우가원소, 우가지다, 우가키 가즈시게, 우각, 우각괘서, 우각괘서하다, 우각구, 우각륵, 우각바리, 우각부, 우각부 보강, 우각사, 우각새, 우각 연소, 우각유, 우각 절개, 우각 천자, 우각형 배, 우각형 파수, 우각형 파수부호, 우각호, 우각, 우간, 우간관 후지, 우간다, 우간다 공화국 ...
우로 시작하는 단어는 3,874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우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27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