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37개

한 글자:1개 두 글자:62개 세 글자:50개 네 글자:18개 다섯 글자:4개 여섯 글자 이상:2개 🦖모든 글자: 137개

  • : (1)걱정 없이 마음을 편히 가짐.
  • 낭세 : (1)‘카스틸리오네’의 중국 이름.
  • 눌은숭 : (1)‘눌은밥’의 방언
  • 문구 : (1)‘문구멍’의 방언
  • 바눌귀 : (1)‘바늘구멍’의 방언
  • 개구 : (1)‘개구멍’의 방언
  • : (1)‘산등성이’의 방언
  • : (1)중국 명나라 태조(太祖)가 도읍으로 정하였던 부(府). 지금의 난징(南京)이다. (2)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함. 오복의 하나로 건강을 이른다. (3)‘처마’의 방언
  • : (1)중국 서남부에 있는 도시. 수상 교통과 도로가 발달하였고, 광시성(廣西城)의 행정ㆍ경제ㆍ교통ㆍ문화의 중심지를 이루고 있다.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의 구도(區都)이다. ⇒규범 표기는 ‘난닝’이다.
  • 허도 : (1)중국 송나라의 산수화가(?~?). 이성(李成)의 화풍을 이어받고, 화베이(華北)의 자연을 즐겨 그려 중당(中唐) 이래 일품화(逸品畫)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 : (1)곤죽이 된 진흙과 개흙이 물과 섞여 많이 괸 웅덩이.
  • : (1)‘항상’의 방언
  • 해구 : (1)‘햇구멍’의 방언
  • 기구 : (1)‘귓구멍’의 방언
  • : (1)경상남도 창녕군에 있는 읍. 쌀, 보리, 콩, 목화 따위의 농산물 집산지이다. 군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61.44㎢.
  • : (1)편지글에서 재주가 없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말하는 이가 대등한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자기를 문어적으로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 짓구 : (1)‘숫구멍’의 방언
  • 밑귀 : (1)‘밑구멍’의 방언
  • : (1)제물이나 잔칫상의 음식을 괼 때에 음식이 무너지지 아니하도록 접시의 가에 둘러싸는 두꺼운 종이. ⇒규범 표기는 ⇒규범 표기는 ‘앙련’이다.
  • : (1)‘구멍’의 방언
  • 놀구 : (1)‘놀구멍’의 방언
  • 짓쳇미 : (1)짜낸 후 한 번도 빨지 아니한 무명
  • : (1)뛰어나게 말을 잘하는 재주로 아첨하며 남을 어려운 처지에 빠지게 함. 또는 그렇게 하는 사람.
  • : (1)‘추녀’의 방언
  • 매사 : (1)‘매사냥’의 방언
  • 미구 : (1)‘밑구멍’의 방언
  • : (1)중국 서진 무제(武帝) 때의 연호(275~280). 무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2)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량 영제(靈帝) 때의 연호(399~401).
  • 혼구 : (1)‘혼쭐’의 방언
  • 지구 : (1)‘숫구멍’의 방언
  • : (1)‘숭늉’의 방언 (2)중국 북송(北宋) 휘종(徽宗) 때의 연호(1102~1106).
  • 개귀 : (1)‘개구멍’의 방언
  • 중쐬구 : (1)‘암쇠’의 방언
  • 셩 : (1)흙으로 토기 따위를 만드는 일.
  • 수챗귀 : (1)‘수챗구멍’의 방언
  • 밋구 : (1)‘밑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ㄴ커 : (1)앞말을 지정하여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보조사 ‘ㄴ’에 보조사 ‘커녕’이 결합한 말이다.
  • 배구 : (1)‘배꼽’의 방언
  • 소손 : (1)거란의 장군(?~?). 고려 성종 12년(993)에 8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에 침입하였으나, 서희와의 담판에서 굴복하여 강동 육주를 고려에 넘겨주고 물러났다.
  • : (1)중국 전한 원제 때의 연호(B.C.33). 원제의 네 번째 연호이다.
  • : (1)매우 아첨함.
  • : (1)중국 남북조 시대 북제(北齊) 무성제(武成帝) 때의 첫 번째 연호(561~562). (2)중국 남북조 시대 동진(東晉) 명제(明帝) 때의 연호(323~326). (3)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조(後趙) 무제(武帝) 때의 두 번째 연호(349).
  • 볼구 : (1)‘봇도랑’의 방언
  • 터레기구 : (1)‘털구멍’의 방언
  • 은커 : (1)앞말을 지정하여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보조사 ‘은’에 보조사 ‘커녕’이 결합한 말이다.
  • 수복강 : (1)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함.
  • 지챗미 : (1)짠 뒤에 한 번도 빨지 않은 무명
  • : (1)중국 서하 숭종 때의 연호(1115~1119).
  • 바눌구 : (1)‘바늘구멍’의 방언
  • 쥐구 : (1)‘쥐구멍’의 방언
  • 문귀 : (1)‘문구멍’의 방언
  • : (1)‘동냥’의 방언
  • 콧구 : (1)‘콧구멍’의 방언
  • 눈꾸 : (1)‘눈구멍’의 방언
  • : (1)대하는 태도가 친절함. (2)충고하거나 알리는 태도가 매우 간곡함. (3)군중(軍中)에서 쓰던 정(鉦) 비슷한 악기. 전시(戰時)에 쳐서 군사들이 경계를 게을리하지 않도록 하였다. (4)조금도 틀림없이 꼭. 또는 더 이를 데 없이 정말로. (5)귓구멍 속에 낀 때.
  • 뒷구 : (1)‘뒷구멍’의 방언
  • 개무구 : (1)‘개미구멍’의 방언
  • : (1)‘편녕하다’의 어근.
  • 목구 : (1)‘목구멍’의 방언
  • 눈구 : (1)‘눈구멍’의 방언
  • 지쳇미 : (1)‘깃’의 방언
  • 수통구 : (1)‘수멍’의 방언
  • 애신각라민 : (1)중국 청나라의 제8대 황제인 도광제의 본명.
  • 똥귀 : (1)‘똥구멍’의 방언
  • : (1)중국 동진 애제(哀帝) 때의 연호(363~365). 애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 (1)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물론 그보다 덜하거나 못한 것까지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2)‘말할 것도 없거니와 도리어’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 : (1)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규범 표기는 ‘진창’이다.
  • : (1)‘시늉’의 방언
  • 이숭 : (1)국어학자(1908~1994). 호는 심악(心岳). 진단학회 상임 이사, 국어학회장 등을 지냈다. 중세 국어의 모음 체계 연구에 힘썼다. 저서에 ≪국어학 개설≫, ≪중세 국어 문법≫, ≪신라 시대의 표기법 체계에 관한 시론≫ 따위가 있다.
  • : (1)보필하여 편하게 함.
  • : (1)좀스러운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똥구 : (1)‘똥구멍’의 방언
  • 수챗구 : (1)‘수챗구멍’의 방언
  • 담구 : (1)‘개구멍’의 방언
  • : (1)중국 산둥성(山東省) 서남부에 있는 도시. 대운하의 동쪽 기슭에 있는데 운하의 조운(漕運)과 철도가 연결되어 있어서 농산물 집산이 발달하였다. ⇒규범 표기는 ‘지닝’이다.
  • 터레기귀 : (1)‘털구멍’의 방언
  • 이휘 : (1)조선 후기의 학자(1788~1861). 자는 군목(君睦). 호는 고계(古溪). 이황의 10대손으로 가학(家學)을 계승, 성리학에 전심하였다. 저서에 ≪십도고증(十圖攷證)≫ 따위가 있다.
  • 고랫구 : (1)‘방고래’의 방언
  • 땀구 : (1)‘땀구멍’의 방언
  • : (1)별다른 큰 탈이 없이 대체로 편안함. 흔히 윗사람에게 자기의 안부를 전하는 편지에 쓴다.
  • : (1)‘결코’의 방언
  • 딧구 : (1)‘뒷구멍’의 방언
  • 공공 안 : (1)국가나 사회의 구성원에게 두루 관계되는 편안함.
  • 땀귀 : (1)‘땀구멍’의 방언
  • 슬픔이여 안 : (1)프랑스의 여류작가사강이 1954년에 발표한 소설. 사강의 처녀작이며 당시 그녀의 나이는 19살이었다. 자유분방한 삶을 즐기는 아버지와 딸의 삶에 이지적인 여성이 끼어들다가 죽음을 맞이하고 부녀는 그녀를 통하여 슬픔이라는 감정을 알게 된다는 내용이다.
  • 터라구구 : (1)‘털구멍’의 방언
  • 귓구 : (1)‘귓구멍’의 방언
  • 밥숭 : (1)‘숭늉’의 방언
  • : (1)중국 요나라 도종 때의 연호(1055~1064).
  • : (1)‘무명’의 방언
  • : (1)‘간녕하다’의 어근.
  • : (1)‘구멍’의 방언
  • : (1)‘흉녕하다’의 어근.
  • : (1)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 : (1)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성한(成漢) 후주(後主) 때의 연호(346~347). 성한의 마지막 연호이다.
  • 숨구 : (1)‘숨구멍’의 방언
  • 코구 : (1)‘콧구멍’의 방언
  • : (1)중국 후한 안제(安帝) 때의 연호(120~121). 안제의 세 번째 연호이다. (2)중국 서진 혜제 때의 연호(301~302). 혜제의 다섯 번째 연호이다. (3)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조 신흥왕(新興王) 때의 연호(350~351). 후조의 마지막 연호이다.
  • : (1)늙거나 정신이 흐려서 말이나 행동이 정상을 벗어남. 또는 그런 상태. ⇒규범 표기는 ‘망령’이다.
  • 터라구귀 : (1)‘털구멍’의 방언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8개) : 나, 낙, 낛, 난, 낟, 날, 낡, 남, 납, 낫, 낭, 낮, 낯, 낱, 낳, 내, 낵, 낸, 낼, 냄, 냅, 냇, 냉, 냏, 냐, 냔, 냘, 냥, 냬, 냰, 너, 넉, 넋, 넌, 널, 넘, 넙, 넛, 넝, 넠, 넢, 네, 넥, 넨, 넬, 넴, 넵, 넷, 넹, 넼, 넽, 넾, 넿, 녀, 녁, 년, 녈, 념, 녑, 녕, 녘, 녜, 녬, 녯, 노, 녹, 논, 놀, 놁, 놈, 놉, 놋, 농, 놓, 뇌, 뇍, 뇜, 뇨, 뇰, 누, 눈, 눌, 눔, 눕, 눗, 눚, 눛, 눞, 눠, 눰, 눼, 뉘, 뉨, 뉫, 뉯, 뉴, 늄, 늇, 느, 늑 ...

실전 끝말 잇기

녕으로 시작하는 단어 (28개) : 녕, 녕감, 녕귀, 녕기슭, 녕깃물, 녕뎡히, 녕독하다, 녕독히, 녕맹스럽다, 녕맹하다, 녕맹히, 녕믈, 녕법, 녕변뽕, 녕사언정, 녕세, 녕신, 녕악스럽다, 녕악하다, 녕악히, 녕일, 녕찰, 녕텍없다, 녕특하다, 녕페탕, 녕풍, 녕혹, 녕혹하다 ...
녕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녕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37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