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94개

한 글자:1개 두 글자:83개 세 글자:95개 네 글자:56개 다섯 글자:26개 여섯 글자 이상:33개 🏆모든 글자: 294개

  • : (1)목과 가로막 사이의 부분. 심장, 허파 등이 있다.
  • : (1)‘마분지’의 방언
  • 시징 : (1)조선 시대의 학자(1644~1713). 자는 경숙(敬叔)ㆍ지숙(智叔). 호는 경한재(景寒齋). 송시열의 문인(門人)으로 송시열의 천거로 참봉이 되었으나 기사환국 이후 벼슬을 그만두고 제자를 양성하는 데에 힘썼다.
  • 지 해수욕장 : (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해수욕장. 썰물 때면 해수욕장에서 용천수가 나온다.
  • 지복 : (1)명아주 잎과 콩잎을 먹는 복이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반찬을 즐기며 욕심 없이 검소하고 마음 편히 사는 복을 이르는 말.
  • 거짓 윤 : (1)고정 픽셀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인공적인 효과. 화상에서 점진적 색이나 그림자 변화를 보여야 하는 곳에서 흠집이 있고 뚜렷한 구역이 생성되거나, 윤곽이 없어야 되는 곳에서 윤곽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신호를 양자화할 때 발생하게 된다.
  • 주에 : (1)‘느닷없이’의 방언
  • : (1)중국 북송(北宋)의 화가(?~?). 자는 순부(淳夫). 계절에 따른 경관(景觀)의 변화, 빛과 구름의 상태 따위의 묘사에 뛰어났다. 작품에 <계산추제도권(溪山秋霽圖卷)>, 저서에 화론(畫論) ≪임천고치≫ 따위가 있다.
  • : (1)관을 넣어 두는 널방을 나무로 만든 무덤. 평양 부근의 낙랑 고분, 경주 부근의 신라 고분이 이에 속한다.
  • : (1)안쪽 테두리.
  • 성냥 : (1)성냥개비를 넣는 갑. 측면에 유리 가루, 규사, 규조토 따위가 발리어 있어서 성냥개비로 그으면 불이 일어난다. ⇒규범 표기는 ‘성냥갑’이다.
  • 낙원 : (1)독립운동가(1859~1939). 김구의 어머니로, 1922년에 임시 정부가 있는 상하이로 아들을 따라가 뒷바라지하였다.
  • 실 돌무지무덤 : (1)주검을 넣는 곳이 널방으로 되어 있는 고구려의 돌무지무덤.
  • : (1)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cm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7~8월에 담홍색 잔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산과 들의 습지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부 이남,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등지에 분포한다.
  • 처웅 괘서 사건 : (1)1733년에 이인좌의 난에 대한 처리 결과를 두고 남원에서 발생한 괘서 사건. 이 사건과 관련되어 조사받던 곽처웅의 집에서<풍신제문(風神祭文)>과 정부를 비방하는 글이 발견되었다.
  • : (1)중국 서진(西晉) 말에서 동진(東晉) 초의 학자ㆍ시인(276~324). 자는 경순(景純). 박학하고 시문과 점술에 뛰어나 원제에게 상서랑(尙書郞)으로 임명되었다. 322년에 중신인 왕돈(王敦)이 반란을 일으켜 관군이 패하자 살해되었다. ≪목천자전≫, ≪초사≫, ≪산해경≫ 따위의 주석이 유명하다.
  • 분산 : (1)광섬유에서 파장에 대한 굴절률 분포의 변화에 기여하는 분산.
  • 음고 윤 : (1)시간에 따라 인지되는 소리의 음고를 나타내는 곡선이나 함수.
  • : (1)벌통에서 떠낸 꿀을 모아 담는 큰 통. 보통 굵고 긴 통나무를 가로누이고 속을 파서 만든다.
  • 분양전 : (1)조선 후기의 국문 소설. 중국 당나라를 배경으로 하여 실존 인물인 분양왕(汾陽王) 곽자의의 행적을 그렸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 (1)지면을 깊게 파고 자갈 따위의 석재(石材)로 덧널을 만든 무덤. 삼국 시대에 사용했으며 널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 광선 : (1)역광의 결과로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생기는 광채.
  • 안면 윤 수술 : (1)얼굴의 윤곽을 매끄럽고 고르게 다듬는 수술.
  • : (1)바닷가에서 미역을 따는 곳.
  • 원통형 흉 : (1)가슴의 앞뒤 지름이 커져서 가로 지름과 비슷하게 되어 술통 모양을 이룬 가슴. 폐 공기증 때 나타난다.
  • 중에 : (1)‘느닷없이’의 방언
  • 지수 : (1)가슴에서 ‘횡경’에 대한 전후경의 비. 이는 가슴의 앞 지름과 뒤 지름에 100을 곱한 후 가슴의 가로 지름으로 나눈 것이다.
  • 지봉 : (1)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에 있는 산. 함경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668미터. (2)함경남도 갑산군에 있는 산. 높이는 1,583미터.
  • 지발 : (1)‘갈큇발’의 북한어.
  • 거병 : (1)중국 전한(前漢)의 명장(名將)(B.C.140?~B.C.117). 무제 때에 숙부인 위청(衛靑)과 함께 흉노 토벌에 큰 공을 세웠다.
  • : (1)어떤 구역의 밖. (2)중국 전국 시대 연나라의 정치가(?~?). 현인(賢人)을 맞으려면 먼저 가까이 있는 하찮은 사람부터 대우를 잘하라는 ‘선종외시’의 고사로 유명하다.
  • : (1)‘윤곽선’의 북한어.
  • 해룡전 : (1)조선 시대의 국문 소설. 중국 원나라를 배경으로, 주인공 곽해룡이 도술로 서번(西蕃)의 침략을 물리치고 승상이 되어 선정을 베푼다는 내용의 군담 소설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 (1)‘여곽’의 북한어.
  • 가공 : (1)불규칙한 표면의 기계 가공.
  • : (1)뚜렷이 드러나는 윤곽의 아름다움.
  • : (1)중국 후한(後漢) 때의 사람(?~?). 집이 가난하여 노모(老母)가 굶주리는 것을 보고, 이를 면하게 하기 위하여 자식을 묻고자 땅을 파다가 황금 솥을 얻었다고 한다.
  • 인지 모형 윤 : (1)어휘적 개념이 접근 지점을 통하여 인지 모형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의미적 잠재력을 제공하는 일련의 인지 모형. 개념적 구조는 어휘적 개념 통합의 과정과 인지 모형 윤곽의 협력에 의해 의미적 잠재력으로부터 선택되며, 하나의 개념의 발현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어휘적 개념인 ‘프랑스’는 잠재적으로 많은 지식 구조를 내포하는데, 직접적인 인지 모형은 지리적 대륙, 민족 국가, 휴가 행선지 따위가 있으며, 민족 국가의 인지 모형을 통해 이차적 인지 모형인 국민 스포츠, 정치 체계, 요리 따위가 제시된다. 다시 정치 체계의 간접적인 인지 모형으로 헌정 제도, 선거민, 국가 원수를 들 수 있다.
  • 분산 매개 변수 : (1)파장과 함께 굴절률 명암의 변화로 인하여 윤곽 분산의 부분을 특징짓는 양.
  • : (1)더위로 인하여 갑자기 게우고 설사를 하는 증상.
  • 산군 : (1)광복 이후 북한이 신설한 군의 하나. 평안북도에 속해 있으며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정주군의 곽산면ㆍ임포면ㆍ안흥면ㆍ관주면과 옥천면의 일부, 남서면의 일부를 합하여 신설하였다.
  • : (1)벽돌로 쌓아 만든 옛 무덤의 현실(玄室) 벽.
  • 문유산 : (1)동양화에서, 속세를 떠나 산수를 사랑하고 오랫동안 산중에서 고독하게 생활한 중국 진(晉)나라의 곽문(郭文)을 다룬 화제(畫題).
  • 란에 죽은 말 상판대기 같다 : (1)얼굴빛이 푸르뎅뎅하고도 검붉다는 말.
  • 심흉 지수 : (1)가슴 크기에 대한 심장 크기의 비. 이것은 단순 가슴 방사선 사진에서 가슴 음영의 최대 가로 직경에 대한 심장 음영의 최대 가로 직경의 비율로 나타낸다.
  • : (1)‘윤곽’의 북한어.
  • 부여 : (1)인지 언어학의 용어로, 인지적 관심의 대상이 되는 전경과 주목을 받지 못하는 배경이 있고 배경에 있던 어떤 요소가 주목을 받아 전경화되어 가는 과정. 예를 들어 ‘월요일’에 대해 인지할 때 우리는 ‘주’와 ‘주중’을 바탕으로 그 안의 하위 분야에 있던 ‘월요일’을 윤곽화한다.
  • 횡구식석 : (1)‘굴식 석실’의 북한어.
  • 자동입 : (1)주로 개비나 알로 만들어진 것을 자동적으로 갑에 넣는 기계.
  • 제어 : (1)엔시 공작 기계에서 둘 이상의 축 작동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제어하여 피가공물에 대한 공구의 경로를 제어하는 방식.
  • : (1)어떤 구역의 안.
  • 소옥전 : (1)중국 당나라 때에 장방(蔣防)이 지은 전기 소설. 혼약을 어기고 세력가의 딸과 결혼한 이익과 곽소옥 사이의 불행한 사랑 이야기를 내용으로 한다.
  • 머리 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출상 전날에 관 앞에서 한다.
  • 휴지 : (1)네모진 종이 상자에 담겨 있는 화장지. 한 장씩 뽑아 쓰도록 되어 있다. ⇒규범 표기는 ‘갑 휴지’이다.
  • : (1)고려 후기의 문신(1232∼1286). 자는 선갑(先甲), 호는 연담(蓮潭). 원종 때 일본에 왜구의 침범을 중지시킬 것과 잡혀간 고려인의 송환을 요구했고, 충렬왕 때 우부승지, 좌승지, 국자감 대사성, 문한 학사를 거쳤다.
  • 흙무덤 : (1)‘돌덧널무덤’의 북한어.
  • : (1)한 무덤 안의 여러 곽 가운데 중심이 되는 인물의 주검을 넣은 곽.
  • 골련 : (1)‘골판지’의 방언
  • 부산 외 순환 고속 도로 : (1)부산광역시 기장군에서 금정구, 경상남도 양산시, 김해시 따위를 지나 다시 부산광역시 기장군으로 돌아오는 순환 고속 도로. 2010년에 착공하였으며, 2018년에 개통하였다. 길이는 48.8km.
  • : (1)‘갈퀴’의 북한어. (2)‘괭이’의 방언
  • 산촌수 : (1)산중에 있는 마을과 물가에 있는 성(城)이나 마을이라는 뜻으로, 시골의 여러 마을을 이르는 말.
  • 이저 : (1)미역귀로 담근 김치.
  • 유도로 윤 : (1)유도로의 윤곽을 파란색 등으로 나타낸 것.
  • 주우 : (1)‘느닷없이’의 방언
  • 연필 : (1)‘필통’의 북한어.
  • 언인 : (1)중국 명나라 때의 무장(?~?). 용맹하고 지략이 있었다. 후에 이문충(李文忠)을 따라 절서(浙西) 지역을 평정하고 항주(杭州)를 함락하는 공을 세웠다.
  • : (1)중국 은나라 이윤(伊尹)과 한(漢)나라의 곽광(霍光)을 함께 이르는 말. (2)‘귓바퀴’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 (1)미역의 대가리.
  • 하구 : (1)가슴우리 아래쪽에 있는 불규칙한 구멍. 열두째 등뼈, 갈비뼈와 갈비 연골의 아래 모서리 및 복장뼈의 아래쪽 끝이 만나 이루는데, 가로막에 의해 닫혀 있다.
  • 순환 고속 도로 : (1)도심의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 도로.
  • 이마 윤 성형술 : (1)이마의 윤곽을 보기 좋게 만들기 위하여 이마를 돋우거나 줄이는 수술.
  • : (1)콩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 끝에 세 개의 작은 잎이 달린다. 8~9월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타원형의 협과(莢果)로 꼬투리가 편평하다. 콩나물용으로 재배하고 경상, 전라에 분포한다.
  • : (1)명아주 잎과 콩잎이라는 뜻으로, 아주 변변치 못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도시락’의 북한어.
  • : (1)반찬을 담는 작은 그릇.
  • 식자 : (1)콩잎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백성’을 이르는 말.
  • : (1)미역이 붙어서 자라는 바위.
  • : (1)조선 시대에, 관곽(棺槨)을 제조하는 일과 장례(葬禮)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종 6년(1406)에 설치하여 태종14년(1414)에 시혜소로 이름을 고쳤다.
  • 조명 : (1)인물이나 대상의 뒤에 위치한 조명으로, 역광의 하나. 이 조명을 사용하면 후면은 밝게 촬영되는 반면 카메라 쪽은 어둡게 나타난다.
  • : (1)조선 시대에, 관곽(棺槨)을 제조하는 일과 장례(葬禮)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종 6년(1406)에 설치하여 태종14년(1414)에 시혜소로 이름을 고쳤다.
  • 벽돌무덤 : (1)널길이 없이 벽돌로 덧널을 만든 무덤. 낙랑 고분에서 보이는 무덤 형식으로, 벽돌무덤에 비하여 규모가 작다.
  • : (1)어떤 대상의 안쪽 테두리를 이은 선.
  • : (1)으뜸 덧널에 딸려 있어 대개 껴묻을 거리를 넣어 두는 곳.
  • : (1)조선 시대에, 미역을 따는 사람에게서 받던 세금.
  • : (1)중국 후한(後漢) 말의 정치가(170~207). 자는 봉효(奉孝). 순욱(荀彧)의 추천으로 조조(曹操)의 참모가 되었으며, 뛰어난 계책을 내어 조조의 군대가 여포(呂布)를 생포하거나, 유비(劉備)의 군대를 격파하는 데 일조하였다. 풍토병으로 38세의 나이에 요절하였다.
  • 재겸 : (1)조선 중기의 의병장(1547~1615). 자는 익보(益輔). 호는 괴헌(槐軒).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에게 방략을 제시하였고 의병을 모집하여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 저서에 ≪훈자육대도(訓子六大圖)≫가 있다.
  • : (1)고려 말기의 무신(?~?). 우왕 2년(1376)에 체복사(體覆使)로 있을 때 연호군(煙戶軍)과 별군(別軍)의 폐지를 주장하였으며, 여러 차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였다.
  • 지사 : (1)나라를 위하여 왕을 내쫓거나 맞아들이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은나라의 명상(名相) 이윤이 태갑(太甲)을 동궁(桐宮)에서 내쫓아 악행을 고치게 하고, 전한(前漢)의 곽광이 창읍왕(昌邑王) 하(賀)를 폐하고 효선제(孝宣帝)를 옹립한 데에서 유래한다.
  • 도시 : (1)성곽으로 둘러싸인 도시. 예전에 외적을 막기 위하여 만들었는데, 오늘날에도 흔히 볼 수 있다. 베이징이 대표적인 예이다.
  • 징이 : (1)‘갈퀴’의 방언
  • 머리굿 : (1)‘씻김굿’의 방언
  • 손발톱 성 : (1)손톱과 발톱의 측면과 윗면을 감싸고 있는 피부.
  • : (1)요새 따위의 중앙에 튼튼한 벽으로 둘러싼 중요한 곳.
  • 폰 등감 윤 : (1)음압 레벨에 따라 변하는 청각 감도를 주파수별로 나타낸 곡선. 음압이 낮을수록 중음에 비해 저음과 고음 감도가 심하게 감소한다.
  • 갈림증 : (1)선천적으로 가슴벽과 흉골이 갈라진 기형.
  • : (1)해산물을 파는 가게.
  • 을 때리다 : (1)우회적으로 상대방에게 해를 끼치다.
  • 나무무덤 : (1)‘덧널무덤’의 북한어.
  • 분양팔자 : (1)모든 부귀와 공명을 한 몸에 지니는 좋은 팔자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의 분양왕(汾陽王) 곽자의의 팔자가 아주 좋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 (1)예전에, 무덤에 관과 부장품을 넣기 위하여 나무로 만든 시설.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곽으로 시작하는 단어 (101개) : 곽, 곽가, 곽각선생, 곽거, 곽거리, 곽거병, 곽공, 곽공충, 곽광, 곽기, 곽나니, 곽낙원, 곽내, 곽독, 곽란, 곽란에 약 지으러 보내면 좋겠다, 곽란에 죽은 말 상판대기 같다, 곽령, 곽말약, 곽망우당 유물, 곽머리굿, 곽머리 씻김굿, 곽무천, 곽문유산, 곽미거, 곽박, 곽밥, 곽분양전, 곽분양팔자, 곽분양행락도 ...
곽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0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곽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94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