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63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85개 세 글자:268개 네 글자:123개 다섯 글자:78개 여섯 글자 이상:84개 🍦모든 글자: 639개

  • 여탐굿 : (1)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먼저 조상에게 아뢰는 굿.
  • 소놀음굿 : (1)농사나 사업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비는 경사굿의 하나. 무당이 제석거리와 풍년을 비는 놀이를 시작하면, 마부가 나무 소를 몰고 들어와 무당과 대화하며 굿을 진행한다. 경기도 양주에서 행하여지고 있으나 황해, 평안, 함경에서도 행해졌다고 한다.
  • 굿 : (1)주로 농촌에서 하는 민속 행사의 하나. 음력 정월 초승에 풍물패가 풍물을 치면서 마을을 돈 다음 집집마다 들어가 악귀를 쫓고 복을 빈다.
  • 굿 : (1)죽은 사람의 넋이 저승에 잘 가기를 비는 굿.
  • 굿괭이 : (1)‘절굿공이’의 방언
  • 구눙굿 : (1)구눙을 위하는 굿. (2)별신굿에서, 무녀가 놋동이를 입에 물고 장군신을 모시는 굿.
  • 호호굿 : (1)전라우도 풍물놀이 판굿이나 농악 십이채에서 “호호” 하고 구호를 부르며 치는 가락. 또는 그 가락에 맞춰 하는 놀이.
  • 누운굿 : (1)광산이나 탄광에서, 수평으로 파 들어간 갱도.
  • 굿 : (1)‘송곳’의 방언
  • 굿 : (1)거저 보여 주는 굿.
  • 굿하다 파한 집 같다 : (1)한참 법석이던 일이 있은 뒤 갑자기 고요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해 먹은 집 같다’
  • 하회 별신굿 : (1)경상북도 안동시 하회 마을에 전승되어 오는 탈놀이. 음력 정초에 서낭제를 지내면서 행하던 것으로, 파계승과 양반을 풍자하고 서민의 궁핍상을 보여 주는 따위의 내용을 담은 8개의 마당으로 구성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하회 별신굿 탈놀이’이다.
  • 동고사굿 : (1)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지켜 주는 신인 동신(洞神)에게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 마을 사람들의 무병과 풍년을 빌며 정월 대보름날에 서낭당, 산신당, 당산(堂山) 따위에서 지낸다.
  • 날당산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농악대가 당산에서 굿을 마치고 나오면서 인사로 하는 굿. (2)농악 십이채 가운데 진을 파는 놀이. 또는 그 가락.
  • 조상굿 : (1)조상을 위하여 무당을 시켜 하는 굿. 다리굿에서는 죽은 가족을 다 모시고, 별신굿에서는 마을의 조상을 다 모신다.
  • 굿소리 : (1)‘모깃소리’의 방언
  • 도당굿 : (1)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 굿장단 : (1)‘굿거리장단’의 북한어.
  • 자리굿 : (1)‘자리걷이’의 북한어.
  • 건덜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보통의 굿 가락.
  • 남의 굿 보듯 : (1)자기 일이 아니라 하여 무관심한 태도로 방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굿 :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 자반굿 : (1)북재비들이 자반뒤지기를 하면서 치는 굿.
  • 배뱅잇굿 : (1)황해도를 중심으로 한 서도 창극의 하나. 한 배우가 여러 역할을 도맡아 창으로 엮어 진행한다. 부모가 처녀로 죽은 배뱅이의 혼령을 위로하는 넋풀이를 하는데 엉터리 박수무당이 교묘한 수단을 써서 거짓 넋풀이를 해 주고 많은 재물을 얻는다는 내용이다. ⇒규범 표기는 ‘배뱅이굿’이다.
  •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 (1)제주 해안 부락에 전하여 내려오는 영등굿놀이의 하나. 해녀들이 영등할머니에게 그해의 해산물이 풍요롭고 어업이 잘되기를 빈다.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71호.
  • 직수굿하다 : (1)저항하거나 거역하지 아니하고 하라는 대로 복종하는 데가 있다. (2)‘지긋하다’의 방언
  • 서낭굿 : (1)서낭신을 위하는 굿. 무당이 음식을 차려 놓고 노래와 춤으로 신을 즐겁게 하여 복을 빈다.
  • 굿블다 : (1)‘엎드리다’의 옛말.
  • 범안굿 : (1)동해안 별신굿에서 행하는 굿의 하나. 범한테 물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무당들이 범의 탈을 쓰고 나와 춤추고 논다.
  • 씻겜굿 : (1)‘씻김굿’의 방언
  • 굿중놀이 : (1)굿중패가 꽹과리를 치면서 요란스럽게 염불을 하는 일. (2)아이들이 시끄럽고 수선스럽게 몰려다니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지노귀굿 : (1)노인들이 살아생전에 행하는 지노귀굿.
  • 굿 플레잉 타임 : (1)크리스마스나 연말 따위처럼 많은 관객이 영화를 관람하는 시기. 높은 흥행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영 기간이다.
  • 굿굿 : (1)‘울긋불긋’의 방언
  • 단양굿 : (1)단오 전후에 강원도 강릉 지방에서 행하는 마을굿. 풍년을 빌고 재앙을 쫓기 위하여 서낭신에게 굿을 올리며 각종 민속놀이도 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강릉 단오제’이다.
  • 바꿈진굿 : (1)호남 풍물놀이 판굿의 하나. 좌우로 갈라섰던 두 줄의 자리를 한꺼번에 바꾸는 놀이이다.
  • 문잡는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행하는 놀이의 하나. 영기가 두 군데에 문처럼 서면 상쇠는 놀이꾼 전원을 한 줄로 세워 놓고 한 명씩 데리고 나와 영기를 돈 뒤에 다른 쪽 영기와 직선이 되게 두 줄로 갈라놓는 놀이이다.
  • 굿 : (1)‘도구’의 방언
  • 굿 : (1)세시 명절의 하나로 음력 9월 9일을 이르는 말. 이날 남자들은 시를 짓고 각 가정에서는 국화전을 만들어 먹고 놀았다.
  • 혼인 여탐굿 : (1)집안에 혼례가 있을 때 이를 조상신에게 아뢰어 축복하기 위한 굿.
  • 싯김굿 : (1)‘지노귀새남’의 방언
  • 벌여 놓은 굿 : (1)이미 시작한 일이라 중간에 그만둘 수 없는 처지의 일을 이르는 말.
  • 굿 : (1)두 동네 이상의 농악단이 함께 하는 굿.
  • 롱 키스 굿 나이트 : (1)외국 프로 레슬링에서 사용하는 기술 가운데 하나. 뒤로 돌면서 발차기를 하여 상대의 얼굴을 가격하는 기술이다.
  • 골막이굿 : (1)영남 일대에서 행하는 동신제(洞神祭).
  • 탈상굿 : (1)대상(大祥)을 치르고 나서 하는 굿.
  • 꽃노래굿 : (1)별신굿에서, 무당이 모두 꽃을 들고 춤을 추며 노래하는 거리.
  • 날받이씻금굿 : (1)‘날받이 씻김굿’의 방언
  • 초망자굿 : (1)오구굿에서, 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하여 그 넋을 청하여 부리는 거리.
  • 상당굿 : (1)은산 별신제에서, 마을 사람들이 상당에 제물을 올리는 의식.
  • 굿 : (1)단골무당이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와서 경을 외며 징을 치면서 집안이 잘되기를 비는 굿.
  • 청좌굿 : (1)동해안의 별신굿에서, 신을 청하여 앉히는 굿.
  • 굿 : (1)‘밑깔이짚’의 방언
  • 굿거리장단 : (1)풍물놀이에 쓰이는 느린 4박자의 장단. 일반적인 굿거리장단과 남도 굿거리장단이 있으며, 보통 행진곡과 춤의 반주에 쓴다.
  • 동부노굿 : (1)동부의 꽃.
  • 강신굿 : (1)몸에 내린 신을 맞아서 무당이 되려고 신에게 비는 굿.
  • 그레이 굿 : (1)직기나 편직기에서 방직이나 편직이 막 끝난 상태의 천. 정련ㆍ표백ㆍ염색 따위의 가공이 되어 있지 않다.
  • 실신굿 : (1)전라남도 해남에서, 정신병을 일으키는 귀신인 청계를 쫓아 병을 낫게 하려고 벌이는 굿.
  • 굿 : (1)씨를 두는 구덩이. (2)‘밑천’의 방언
  • 뜰덩굿 : (1)다리굿에 앞서 하는 안굿의 뒷전풀이.
  • 직수굿 : (1)‘직수굿하다’의 어근.
  • 매귀굿 : (1)주로 농촌에서 하는 민속 행사의 하나. 음력 정월 초승에 풍물패가 풍물을 치면서 마을을 돈 다음 집집마다 들어가 악귀를 쫓고 복을 빈다.
  • 품앗이굿 : (1)농악 십이채 가운데 하나. 상쇠가 치면 그대로 부쇠가 따라 치는 가락이다.
  • 설양굿 : (1)굿에 모여든 여러 잡신을 물러가게 하는 마지막 굿.
  • 바스켓 굿 : (1)농구에서, 슛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상대 선수의 반칙이 있었음에도 공을 넣었을 때, 득점이 인정되고 자유투 하나가 추가로 주어지는 일.
  • 신장굿 : (1)다리굿에 앞서 행하는 열두 거리 굿의 열한째 거리. 여러 종류의 장군 옷과 모자를 쓰고 잡귀를 쫓는다.
  • 굿하고 싶어도 맏며느리 춤추는 꼴 보기 싫다 : (1)무엇을 하려고 할 때에 미운 사람이 따라나서 기뻐하는 것이 보기가 싫어 하기를 꺼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굿 : (1)광부가 갱내에서 일할 때 입는 옷.
  • 시꼉굿 : (1)‘씻김굿’의 방언
  • 굿댕이 : (1)‘절굿공이’의 방언
  • 굿귕이 : (1)‘절굿공이’의 방언
  • 굿 : (1)‘머위’의 방언 (2)‘머윗대’의 방언
  • 굿거리가락 : (1)승무(僧舞)의 춤사위 가운데 하나. 자진 타령 가락에서 북을 친 다음, 춤판의 정면으로 나와 춤을 춘다. 어깨춤으로 시작하여 북을 칠 준비를 하고 장삼에서 손을 빼어 북채를 쥐고 북 앞에서 어르는 동작을 한다.
  • 굿 뱅크 : (1)하나의 은행 안에 있는 우량 채권을 가리키는 말.
  • 열두 거리 굿 : (1)열두 거리로 이루어진 중부 지방의 굿. 여러 신을 모셔다 두루 보호를 받자는 데서 나온 굿으로, 굿의 순서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대개 부정풀이로 시작하여 뒷전풀이로 끝난다.
  • 굿 거버넌스 : (1)능력 있는 정부의 효율적인 공공 정책 및 서비스 제공과 시민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결합된, 새로운 통치 및 국가 운영 체제.
  •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지[먹으면 된다] : (1)남의 일에 쓸데없는 간섭을 하지 말고 되어 가는 형편을 보고 있다가 이익이나 얻도록 하라는 말.
  • 다수굿하다 : (1)고개를 조금 숙이고 온순한 태도로 말이 없다. ⇒규범 표기는 ‘다소곳하다’이다.
  • 인사굿 : (1)당산굿 따위의 제의적 굿판에서 굿패가 당산 앞에 도착하고 물러남을 신에게 고하거나, 풍물놀이 따위의 연희적 굿판에서 굿패가 관객에게 시작과 끝을 알리기 위해 하는 굿.
  • 굿 : (1)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 배송굿 : (1)천연두를 앓은 뒤 13일 만에 호구별성을 떠나보내는 굿. 12일째 되는 날 저녁부터 시작한다.
  • 영정굿 : (1)평양 다리굿에서, 초상(初喪) 때 부정을 풀어내는 굿. 감응상 앞에서 소리조로 푸념을 한 뒤, 영정 바가지에 든 떡과 과일로 객귀ㆍ잡귀 따위의 영정을 풀어먹인다.
  • 굿 : (1)동해안 별신굿에서 행하는 굿의 하나. 범한테 물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는 굿으로, 무당들이 범의 탈을 쓰고 나와 춤추고 논다.
  • 파송굿 : (1)풍물놀이가 끝나고 마지막 인사로 하는 굿.
  • 세존굿 : (1)별신굿에서, 중타령 따위를 부르며 시주를 받는 절차를 진행하는 굿.
  • 굿(을) 꾸리다 : (1)탄광이나 광산의 굴이 무너지는 위험을 막기 위하여 양쪽 벽과 천장에 기둥을 세우다.
  • 씨께이굿 : (1)‘씻김굿’의 방언
  • 굿해 먹은 집 같다 : (1)한참 법석이던 일이 있은 뒤 갑자기 고요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하다 파한 집 같다’
  • 지수굿 : (1)고개 따위를 숙인 상태로.
  • 굿 : (1)대구를 넣고 끓인 국.
  • 굿 : (1)‘씨굿’의 방언
  • 솔보굿 : (1)비늘같이 생긴 소나무의 껍질.
  • 들당산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농악대가 마을에 들어서기 전에 준비로 벌이는 굿.
  • 굿 : (1)곤충강 매미목의 한 과. 몸의 길이는 3mm 정도이고 볏과 식물의 해충이다. 열대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180속 1,800여 종이 분포한다. 흑점멸구, 고려멸구, 흰등멸구, 풀멸구 따위가 있다.
  • 사물굿 : (1)사물놀이와 함께 하는 굿.
  • 철물이굿 : (1)황해도 지역에서 봄이나 가을에 집안의 축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행하는 굿. 집안에 재앙이나 우환이 없는 집에서 행해진다.
  • 굿 : (1)풍물놀이 또는 굿 놀이에서 중간 부분에 열리는 굿.
  • 허줏굿 : (1)무당이 되려고 할 때에 처음으로 신(神)을 맞아들이기 위하여 하는 굿.
  • 굿이어 : (1)찰스 굿이어, 미국의 발명가(1800~1860). 고무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 가황(加黃) 처리법을 발명하였다. 저서에 ≪고무와 그 변화형≫이 있다.
  • 청룡굿 : (1)장독에 축원을 드리는 굿.
1 2 3 5 6 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 (99개) : 굿, 굿갈리다, 굿감독, 굿거, 굿거리, 굿거리가락, 굿거리굿, 굿거리 시조, 굿거리장단, 굿거리춤, 굿 거버넌스, 굿것, 굿게,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굿극, 굿길, 굿 나이트, 굿 나잇, 굿놀음, 굿 놀이, 굿단두리, 굿단속, 굿단속하다, 굿당, 굿덕대,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굿돌,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들은 무당 재 들은 중 ...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굿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63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