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40개

한 글자:1개 두 글자:72개 세 글자:27개 네 글자:27개 다섯 글자:9개 여섯 글자 이상:4개 🦋모든 글자: 140개

  • 오나리불 : (1)‘오이풀’의 방언
  • : (1)귀신의 얼굴 모습을 표현한 그림이나 조각. 잡귀로부터 부처님과 법당을 지켜 준다고 한다.
  • : (1)중국 동북부, 헤이룽강(黑龍江) 유역의 도시. 교통망은 헤이룽강과 낙후된 도로로 이루어져 있지만, 넓은 지역의 상업 중심지이며 조그만 공장들도 많이 들어서 있다. ⇒규범 표기는 ‘아이후이’이다.
  • 제작 지 : (1)영화를 제작할 때, 현장에서 제작 업무와 그와 연관된 기획과 판단 따위를 총괄하는 일. 또는 그 담당자.
  • : (1)덕에서 나는 빛. (2)덕이 겉으로 드러남.
  • 오나릿불 : (1)‘오이풀’의 방언
  • : (1)저녁에 지는 햇빛. (2)나중에까지 남아 있는 빛.
  • 표현적어 : (1)표현적인 빛깔이나 기능을 가지는 어휘. 존경, 사랑, 속됨, 멸시 따위의 감정ㆍ정서적인 뜻이 개념에 덧붙어서 표현되는 어휘이다. ‘누리’, ‘주무시다’, ‘푸르딩딩하다’, ‘대가리’ 따위의 어휘와, ‘마음의 기둥’에서 ‘기둥’, ‘눈가에 맺힌 이슬’에서 ‘이슬’ 따위와 같이 단어 결합 속에서 표현되는 특성을 갖게 되는 어휘가 있다.
  • 행정 지 : (1)작전에는 직접 관계가 없는, 정비나 유지 및 행정 따위에 대한 지휘.
  • : (1)웃어른의 이름을 함부로 부름. (2)남의 비밀을 들추어냄.
  • : (1)말이나 행동을 숨기거나 꺼리지 아니함. (2)사람이 죽음. (3)‘뿌리’의 옛말.
  • : (1)저녁에 지는 햇빛.
  • : (1)중국 당나라 고종 때의 연호(650~655). 고종의 첫 번째 연호이다.
  • 긷불 : (1)‘기둥뿌리’의 옛말.
  • : (1)국왕, 조상, 성인이 쓰는 이름, 국호, 연호와 같은 글자를 사용하지 않음. 또는 그러한 관습. 존중받아야 할 대상의 이름을 범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때에 따라서는 글자뿐만 아니라 음이 비슷한 글자를 모두 피하거나 획의 일부를 생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 : (1)꺼리어 감추거나 숨김.
  • 슬상내 : (1)정대업지무에서, 허리를 구부리고 두 손을 모아 무릎 위에서 안으로 둘러 어깨 아래로 놓는 사위.
  • 혓불 : (1)‘혀뿌리’의 옛말.
  • : (1)중국 청나라의 문인화가(1632~1717). 자는 석곡(石谷). 호는 경연산인(耕煙散人)ㆍ청휘주인(淸暉主人). 남송과 북송의 화풍을 절충하여 우산파(虞山派)를 창시하였다.
  • 동기의 어 : (1)사람들이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행위를 해석하는 경우에 전개되는 단어들을 설명하기 위해 거스(Gerth, H.)와 밀스(Mills, C. W.)가 만든 개념. 이 어휘는 특정한 문화나 이데올로기, 사회적 맥락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 : (1)물건의 종류.
  • 포진 지 : (1)함정에서 비슷한 구경의 포가(砲架)나 포탑의 사용을 지휘하는 일. 포가나 포탑의 배치, 통신 계획, 표적의 지정 및 획득과 준수해야 할 표준 절차 따위를 포함한다. 지휘자는 포 요원의 감독, 측정 장치와 탄약 보급 활동 등의 지휘에 대해서도 책임이 있다.
  • 객원 지 : (1)정식 구성원이 아닌 손님이 합창이나 합주가 예술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앞에서 이끄는 행위.
  • : (1)‘기휘’의 옛말.
  • : (1)서운관이나 관상감에서 햇빛이 변하는 상태를 관측하던 열 가지 방법. 침(祲), 상(象), 휴(鑴), 감(監), 암(闇), 맹(瞢), 미(彌), 서(叙), 제(隮), 상(想)을 이른다.
  • 기본 어 : (1)한 언어의 사용 도수를 조사하였을 때 그 빈도가 가장 높은 어휘. 일상생활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므로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기 위하여 꼭 알아야 하는 어휘를 말한다. (2)한 언어에서,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꼭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최소한의 어휘.
  • : (1)머리초 끝에 띠 모양으로 돌린 여섯 가지 색의 휘.
  • 이종 : (1)조선 후기의 학자(1731~1797).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숙(德叔), 호는 수산(修山). 학문적으로는 주자학의 폐쇄성을 비판하면서, 주자학과 양명학을 균형 있게 인식할 것을 주장했다. 저서로는 ≪동사(東史)≫와 문집 ≪수산집(修山集)≫이 있다.
  • : (1)비늘 모양으로 된 단청 무늬의 휘.
  • 믈불 : (1)물의 근원.
  • 소송 지 : (1)소송 절차를 법규에 맞게 진행시켜 법률을 신속하고 충분하게 함으로써 소송 자료를 완전히 수집하여 빠른 시일 안에 공평하고 적정한 재판을 하기 위한 법원의 활동.
  • 픐불 : (1)‘풀뿌리’의 옛말.
  • : (1)탄소가 많은 강철을 7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천천히 식힐 때에, 붉은색이 줄다가 700℃ 정도에서 일시적으로 그 빛이 세어진 뒤 어두운 붉은색으로 변하는 현상.
  • 나물불 : (1)배추의 뿌리. 제주 지역에서는 ‘불휘’, ‘물불휘’로도 적는다.
  • 기초 어 : (1)한 언어에서,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꼭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최소한의 어휘.
  • 전투 지 : (1)단일화된 지휘관 또는 특정한 전투 지휘부가 할당된 전력에 대하여 실행하는, 위임할 수 없는 지휘 권한. 지휘 기구 또는 군사력의 조직화나 운용, 임무 할당, 목표 선정, 합동 훈련, 병참, 지휘 기구에 할당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한 군사 작전에서 모든 면에 권위 있는 지시를 하달하는 권한이다.
  • 위창 : (1)중국 청나라 말기 태평천국의 지도자(1823~1856). 태평천국이 건국된 후 북왕에 봉해졌으며, 이후 다른 왕들과의 내분으로 1856년에 처형되었다.
  • : (1)밝은 햇빛이라는 뜻으로, 덕(德)이 높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단청에서, 넉 줄로 넣은 휘. (2)자손이 자기 부모나 조상의 이름 부르기를 피하는 일. 또는 피하여 달리 부르는 이름. (3)저녁 무렵에 비스듬하게 비치는 햇빛. (4)‘어절’의 북한어. (5)어떤 종류의 말을 간단한 설명을 붙여 순서대로 모아 적어 놓은 글.
  • : (1)분발하여 떨침.
  • : (1)조선 시대에, 세자궁에 딸린 종사품 내명부의 품계. 나인에게 주었다.
  • : (1)곡식의 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의 하나. 스무 말들이와 열닷 말들이가 있다. (2)집의 단청(丹靑)을 그릴 때 비늘 모양, 그물 모양 또는 물결무늬로 좀 넓게 그려 넣는 색깔 띠. (3)센 바람이 거칠게 스쳐 지나가는 소리. (4)숨을 한꺼번에 세게 내쉬는 소리. (5)휘파람을 부는 소리. (6)대충 한 번 살피거나 둘러보는 모양. (7)‘휘하다’의 어근. (8)장수가 군대를 지휘하는 데 쓰던 군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대장기(大將旗), 교룡기(蛟龍旗) 따위가 있다. (9)아악을 연주할 때 시작과 끝을 알리는 기(旗). 누런 바탕에 용을 그려 이것을 들면 아악이 시작되고 누이면 아악이 그친다. (10)죽은 어른의 생전의 이름. (11)‘휘하다’의 어근. (12)거문고의 줄을 고르는 자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거문고의 앞쪽에 둥근 모양으로 박은 크고 작은 열세 개의 자개 조각. (13)‘마구’ 또는 ‘매우 심하게’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14)‘매우’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15)‘회’의 방언 (16)‘쉬’의 방언
  • : (1)솟아오르는 아침 햇빛.
  • 바자 : (1)단청에서, 바자무늬 모양으로 된 휘.
  • 이해 어 : (1)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듣고 이해할 수 있는 낱말 모두.
  • : (1)‘오이’의 방언
  • : (1)밝게 빛남. 또는 그런 물건.
  • : (1)환하고 아름답게 눈이 부심. 또는 그 빛. (2)눈부시게 훌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잠재적어 : (1)사회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여 어휘 구성 안에 들어가지 못한 어휘. 작가들이 일정한 표현 효과를 얻기 위하여 만들어 쓴 개인적인 어휘 따위가 이에 속한다.
  • 공중 지 : (1)비행 중인 항공기에 대한 전투 지휘.
  • : (1)법무(法舞)에서 하는 춤사위의 하나. 왼쪽에서 시작하면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시작하면 왼쪽으로 연속하여 두 손을 모아 하늘을 향해 내뻗는다.
  • 관현악단 지 : (1)영화에 삽입할 관현악곡의 연주를 담당하는 관현악단을 지휘하는 일.
  • 적극적어 : (1)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 많이 쓰는 어휘. ‘옷’, ‘밥’, ‘가다’ 따위의 일반 어휘는 물론 학술 용어, 직업적 어휘, 시적 어휘 따위도 이에 속한다.
  • 실진무 : (1)사실 그대로 고함.
  • : (1)중국 원나라의 화가(?~?). 자는 추월(秋月). 불교, 도교의 도상(圖像)과 귀신화에 능하였고, 힘찬 선과 어두운 색조가 특색이다. 작품에 <하마철괴도(蝦蟆鐵拐圖)> 따위가 있다.
  • : (1)자손이 자기 부모나 조상의 이름 부르기를 피하는 일. 또는 피하여 달리 부르는 이름.
  • 총발 : (1)재능이나 능력 따위를 모두 펼쳐 나타냄.
  • : (1)앞 시대 사람의 미덕. (2)자손이 조상의 행적이나 비문 따위를 지을 때에 조상의 이름이나 호는 반드시 다른 사람을 시켜서 대신 쓰게 하던 일.
  • : (1)아침의 햇빛.
  • 안신 : (1)조선 시대의 문신(1640∼?). 자는 백륜(伯倫). 호는 신재(眘齋). 왜학(倭學)을 전공하였으며 현종 3년(1662) 역과(譯科)에 합격하였다. 관직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으며 글씨를 잘 써 이름을 알렸다.
  • 백과사 : (1)학문, 예술, 문화, 사회, 경제 따위의 과학과 자연 및 인간의 활동에 관련된 모든 지식을 압축하여 부문별 또는 자모순으로 배열하고 풀이한 책.
  • : (1)가리어 숨김.
  • : (1)별의 반짝이는 빛. (2)죽은 성인의 이름.
  • : (1)‘머위’의 옛말.
  • : (1)단청에서, 머리초 다음에 띠 모양으로 휘돌린 오색 무늬.
  • 화력지 : (1)화력을 준비하고 지시하는 지휘관의 모든 역할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수학자(?~?). 263년에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수학서(數學書) ≪구장산술≫을 주석하였다.
  • : (1)직선으로 된 휘.
  • : (1)여러 가지 온갖 물건.
  • : (1)그 시대에 맞지 아니하는 말이나 행동.
  • 유봉 : (1)조선 후기의 문신(1659~1727). 자는 계창(季昌). 호는 만암(晩菴). 문과에 급제한 후 벼슬이 이조 판서에 이르렀다. 1710년에는 군포(軍布)의 폐지를 건의하였으며,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제 책봉에 반대하였다가 뒤에 반역죄로 몰려 죽었다.
  • 긴급 상황하 사격 지 : (1)사격 준비가 되어 있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사격 제원을 산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격을 해야만 하는 상태일 경우 제한된 수단과 방법을 통하여 즉각적으로 사격 임무를 수행하는 일.
  • 중성적어 : (1)모든 기능 문체와 전반적인 언어생활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어휘. 기본 어휘들이 이에 속한다. ‘아버지’, ‘어머니’와 같은 단어가 중성적 어휘라면 ‘아빠’, ‘엄마’는 문체론적 어휘이다.
  • 봉필생 : (1)누추한 집을 빛내 준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에 귀한 손이 찾아옴을 이르는 말.
  • 잔불 : (1)‘잔뿌리’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불휘’로도 적는다.
  • 작전 지 : (1)예하 부대에 대하여, 작전을 지휘하고 통제하는 일. 예하 부대의 구성, 과업의 부여, 목표의 지정, 임무 달성에 필요한 권한의 지시 따위가 있으며 행정, 군기, 내부 편성, 부대 훈련에 관한 사항은 예하 부대 지휘관이 요청할 때에만 포함한다.
  • 선우 : (1)언론인ㆍ소설가(1922~1986). ≪한국일보≫, ≪조선일보≫ 기자로 활동하였으며, 행동주의를 바탕으로 지식인의 고민을 표현한 작품을 썼다. 작품에 <불꽃>, <테러리스트>, <노다지> 따위가 있다.
  • : (1)조선 세종 때의 <보태평지악> 열한 곡 가운데 여덟째 곡.
  • : (1)단청에서, 녹색으로 그린 휘.
  • 신션 : (1)너도바람꽃의 하나.
  • 츩불 : (1)‘칡뿌리’의 옛말.
  • 재지 : (1)이미 통솔한 적이 있는 단체나 조직을 다시 통솔함.
  • : (1)돌아가신 어른의 처음 이름.
  • 김계 : (1)조선 중기의 문신(1526~1582). 자는 중회(重晦). 호는 황강(黃岡). 명종 때 김홍도(金弘度)의 일파라 하여 쫓겨났으나 복직하여 부승지, 전한(典翰), 직제학(直提學)을 지냈다.
  • : (1)저녁때의 햇빛. 또는 저녁때의 저무는 해.
  • 민영 : (1)조선 고종 때의 문신(1852~1935). 초명은 영준(泳駿). 자는 군팔(君八). 호는 하정(荷汀). 갑신정변을 진압하였고, 국권 강탈 후 일본 정부의 자작(子爵)이 되었으며, 천일 은행(天一銀行)과 휘문 학교를 설립하였다.
  • 집중지 : (1)지휘관이 자기에게 직속된 부대를 비롯하여 지원 부대까지 통합하여 지휘하는 일.
  • 가감은 : (1)주로 종친과의 혼인을 꺼려, 나이 따위를 실제보다 더하거나 줄이거나 하여 숨기는 일.
  • : (1)단청에서, 한 가지 색깔로 그린 휘.
  • 공거문 : (1)조선 정조 이후 여러 조신(朝臣)의 소장(疏章)을 수록한 책. 모두 116책 가운데 63책만 전한다.
  • : (1)어둠에 적응된 상태에서 밝은 광선이 들어왔을 때 생기는 눈의 불쾌감이나 시력 저하 상태.
  • : (1)달 속에 있는 두꺼비의 빛이란 뜻으로, ‘달빛’을 이르는 말.
  • 방기 : (1)해산한 집에서 부정을 막기 어려울 경우에, 그 산실(産室)만이라도 부정과 통하지 아니하게 하는 일.
  • 사격 지 : (1)화력의 전술적 운용, 표적의 선정, 사격의 집중 또는 분산, 각 임무에 대한 탄약의 할당에 관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예하 부대에 대한 전술적 지휘권을 행사하는 것. 사격 지휘소에서 표적 재원을 사격 명령으로 전환하는 데에 필요한 제반 기술과 방법도 포함된다.
  • : (1)‘설외’의 방언
  • 소극적어 : (1)언어생활에서 잘 쓰지 아니하는 어휘.
  • : (1)임금이 죽은 뒤에 지은 휘.
  • 진두지 : (1)전투나 사업 따위를 직접 앞장서서 지휘함.
  • : (1)대장군의 기(旗).
  • 비늘 : (1)비늘 모양으로 된 단청 무늬의 휘.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휘로 시작하는 단어 (583개) : 휘, 휘가, 휘가락, 휘가르다, 휘가사, 휘각, 휘각하다, 휘갈, 휘갈기다, 휘갈리다, 휘갈하다, 휘감기, 휘감기다, 휘감다, 휘감치기, 휘감치다, 휘갑, 휘갑뜨기, 휘갑뜨기하다, 휘갑쇠, 휘갑치기, 휘갑치다, 휘갑하다, 휘갬기다, 휘거, 휘건, 휘검, 휘검하다, 휘경원, 휘광 ...
휘로 시작하는 단어는 58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휘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4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