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 57개

두 글자:1개 세 글자:13개 네 글자:6개 다섯 글자:5개 여섯 글자 이상:32개 🌾모든 글자: 57개

  • 전 고령 출토 일괄 유물 : (1)경상북도 고령 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가야 시대의 일괄 유물. 크게 무기류(武器類)와 마구류(馬具類)로 나뉜다. 정확한 유물의 출토지가 알려지지 않아 구체적인 연구 자료로는 부족한 점이 있지만, 당시 가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전 고령 일괄 유물’이다.
  • 준평원 유물 : (1)과거의 준평원면이 침식하여 그 일부가 산꼭대기에 작은 넓이의 평면으로 남은 것.
  • 유물 : (1)국가나 공공 단체가 소유하는 물건. (2)두 사람 이상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물건.
  • 세포 함유물 : (1)여러 가지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후물질.
  • 유물 : (1)특별히 가지고 있는 사물.
  • 순천 송광사 목조 관음보살 좌상 및 복장 유물 : (1)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불상. 현종 3년(1662)에 조각승인 혜희(慧熙) 등이 조성한 불상으로, 독특한 착의 방식과 다소 역동적인 신체 표현이 특징이다. 17세기 불상 양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복장 유물, 직물사 연구에도 도움이 된다. 보물 제1660호.
  • 유물 : (1)기름에 결은 물건. (2)쓸모가 없어 버려 둔 물건. (3)물질적인 것을 실재하는 것 또는 중심적인 것이라고 보며, 마음은 물질의 작용에 지나지 아니한다고 생각하는 입장. (4)선대의 인류가 후대에 남긴 물건. (5)고인(故人)이 생전에 사용하다 남긴 물건. (6)예전에 통용되던 제도나 이념 따위가 이미 그 효력을 잃어 쓸모가 없어졌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화순 대곡리 출토 청동 유물 : (1)전라남도 화순에서 나온 청동기 유물. 출토 품목은 잔무늬 거울 두 점, 동검 세 점, 청동 투겁 도끼 한 점 따위이며,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이다.
  • 유체 포유물 : (1)광물이 결정 작용을 할 때 광물 알갱이 속에 갇힌 유체.
  • 복장 유물 : (1)불상을 만들 때, 가슴 안쪽에 넣는 유물. 금ㆍ은ㆍ칠보(七寶)와 같은 보화(寶貨)나 서책(書冊) 따위가 있다.
  • 안동 보광사 목조 관음보살 좌상 및 복장 유물 : (1)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보광사에 소장된 고려 시대의 불상과 복장 유물. 목조 관음보살 좌상과 그것의 복장 유물 10종 194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조 관음보살 좌상은 13세기 전반기 작품으로 추정되며, 복장 유물 가운데 전적은 서지학과 밀교 연구에 도움을 준다. 또한 여기서 발견된 저고리는 당시 복식사 연구에도 이용된다. 보물 제1571호.
  • 정기룡 유물 : (1)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상주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중기의 무신 정기룡의 유물. 교서 두 축, 유서 한 매, 교지 한 매 따위의 고문서 세 점과 옥대(玉帶) 한 개, 신패 한 폭 따위의 유물 두 점이 일괄 지정되었다. 보물 제669호.
  • 유물 : (1)개인 또는 사법인이 가진 물건.
  • 유성룡 종가 유물 : (1)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영모각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유물 일괄. 조선 중기의 문신인 유성룡의 종가에 전해 오는 것으로, 유성룡이 직접 사용하던 물건과 어머니에 대한 곤문기(昆文記), 조정에서 유성룡에게 내린 문서 따위이다. 보물 제460호.
  • 인공 유물 : (1)과거의 문화에 나타나 있는 인간의 기술을 반영하여 인위적으로 만든 일상생활의 유품.
  • 유물 : (1)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데 도움을 주는 소설이나 만화, 영화, 드라마 따위의 작품. 주로 소소하고 평범하면서도 즐겁고 훈훈한 이야기를 다룬다.
  • 유물 : (1)점유하고 있는 물건.
  • 유성룡 종손가 유물 : (1)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영모각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유물 일괄. 조선 중기의 문신인 유성룡의 종가에 전해 오는 것으로, 유성룡이 직접 사용하던 물건과 어머니에 대한 곤문기(昆文記), 조정에서 유성룡에게 내린 문서 따위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유성룡 종가 유물’이다.
  • 광주 자운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및 복장 유물 : (1)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 자운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불상과 복장 유물. 불상 1구, 전적류 10건, 직물류 57점, 금속 및 기타 유물 14점이 있다. 목조 아미타불 좌상은 복장품에서 1388년에 중수했다는 내용이 발견되어 그 이전에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적절한 신체 비례와 뛰어난 조형성을 갖춘 불상으로 평가된다. 보물 제1507호.
  • 공존 유물 : (1)하나의 유적의 동일한 층위(層位)나 장소에서 발견된 유물로서 서로 관계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
  • 서울 수국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및 복장 유물 : (1)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 수국사에 소장된 불상과 복장 유물. 아미타여래 좌상과 그 복장 유물 36종 84점으로 되어 있으며, 그중 아미타여래 좌상은 13세기에서 14세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복장 유물로 발원문과 각종 전적, 직물류 따위가 발견되어 당시 불교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보물 제1580호.
  • 곽망우당 유물 : (1)망우당 곽재우 장군의 일괄(一括) 유물.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곽재우 장군 기념 사업회에서 소장하고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곽재우 유물 일괄’이다.
  • 유물 : (1)정부나 관청 소유의 물건.
  • 서산 문수사 금동 여래 좌상 복장 유물 : (1)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수덕사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복장 유물. 금동 여래 좌상에서 나온 복장 유물로, 불상은 1993년에 도난당하였다. 전적류, 각종 직물류, 팔엽통 따위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서지학, 불교학뿐만 아니라 직물사 연구에 도움이 된다. 보물 제1572호.
  • 명안 공주 관련 유물 : (1)강원도 강릉시 오죽헌 시립 박물관에 있는, 조선 시대의 명안 공주와 관련된 유물. 명안 공주가 거처하던 궁과 전적류, 고문서류, 유물 따위로 그 종류가 다양해 당시 공주 궁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으며, 서예 연구와 궁중 생활사 및 사회ㆍ경제사 연구에 자료를 제공한다. 보물 제1220호.
  • 이충무공 유물 : (1)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 관리소에 소장된, 충무공 이순신의 유물들. 임진왜란 중에 이순신이 사용하던 것으로, 장검 두 점과 옥로 한 점, 허리띠 한 점과 술잔 한 쌍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이순신 유물 일괄’이다.
  • 상원사 목조 문수 동자 좌상 복장 유물 : (1)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월정사 성보 박물관에 소장된 목조 문수 동자상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 발원문과 조선 전기의 복식ㆍ전적류 등 총 23점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평창 상원사 목조 문수 동자 좌상 복장 유물’이다.
  • 유물 : (1)혼자 독차지하여 가지는 물건.
  • 남원 선국사 건칠 아미타여래 좌상 및 복장 유물 : (1)전라북도 남원시 선국사와 김제시 금산사 성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시대의 불상 및 복장 유물. 선국사에 있는 건칠 아미타불 좌상은 14세기 초ㆍ중반에 유행한 건칠 기법으로 만들어졌으며, 체구가 크고 신체의 비례가 적절하다. 성보 박물관에 있는 복장 유물은 14~15세기에 작성된 것으로, 불교 사상과 서지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제1517호.
  •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 유물 : (1)인천광역시 부평구에 거주하는 이성구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 시대의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 유물. 위성공신교서는 이성윤(李誠胤)이 임진왜란 때에 광해군을 호위한 공으로 내려진 것이다. 광해군 때의 공신교서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다. 보물 제1508호.
  • 김정희 종가 유물 : (1)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였던 김정희가 남긴 유물. 김정희의 종가에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인장ㆍ염주ㆍ벼루ㆍ붓을 비롯하여 편지ㆍ달력ㆍ필사본ㆍ대련 따위가 있다. 철종 8년(1857)에 이한철이 그린 김정희 영정도 함께 지정되어 국립 중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보물 제547호.
  • 유물 : (1)물 위나 물속, 또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물질.
  • 신수 유물 : (1)새로 거두어 들인 유물.
  • 공주 갑사 석가여래 삼세불도 및 복장 유물 : (1)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에 있는 불화(佛畫)와 복장 유물. 대형 화폭에 짜임새 있게 그려진 석가여래 삼세불도는 18세기의 승려 화가 의겸(儀謙)이 제작한 세 폭의 삼불도이다. 복장 유물은 삼불도와 함께 18세기 초의 것으로, 불화 복장 의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보물 제1651호.
  • 정기룡 장군 유물 : (1)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상주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중기의 무신 정기룡의 유물. 교서 두 축, 유서 한 매, 교지 한 매 따위의 고문서 세 점과 옥대(玉帶) 한 개, 신패 한 폭 따위의 유물 두 점이 일괄 지정되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정기룡 유물’이다.
  • 수종사 부도 내 유물 : (1)경기도 남양주시 수종사의 석조 부도에서 발견된 사리 장치. 청자 유개호(靑磁有蓋壺) 안에 금제 구층탑(金製九層塔)과 은제 도금 사리기(銀製鍍金舍利器)가 들어 있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 장엄구’이다.
  • 혼합액 부유물 : (1)포기조 안에서 생긴 활성 오니와 침전지로부터의 반송 오니의 혼합 오니 처리 공정에서 포기조 안의 부유 물질 농도.
  • 유물 : (1)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직접 설명하지 아니하고 다른 비슷한 현상이나 사물에 빗대어서 설명할 때 쓰이는 물건 또는 물질.
  • 유물 : (1)어떤 일이 일어난 뒤에 흔적으로 남아 있는 물질. ⇒규범 표기는 ‘잔류물’이다.
  • 무생 부유물 : (1)강이나 바다 따위의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무기물.
  • 유물 : (1)자기 것으로 가지고 있는 물건. (2)소유권의 목적물. 또는 소유권이 있는 물건.
  • 유물 : (1)기독교에서, 예수나 성인(聖人)의 행적이나 기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유물.
  • 봉건유물 : (1)봉건 사회가 남긴 유물. (2)봉건 사상의 잔재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을 욕하여 이르는 말.
  • 유물 : (1)선대의 인류가 후대에 남긴 오래된 물건.
  • 감은사지 서 삼층 석탑 내 유물 : (1)1960년에 경주 감은사지 서쪽 삼층 석탑을 수리하기 위하여 해체하였을 때에 발굴된 사리 장엄구. 청동제 사각감의 네 옆면에는 각각 사천왕상이 한 구씩 새겨져 있으나 부식이 심하다. 사리병은 고리가 달린 그릇 모양의 외피 속에 넣고, 그 위에는 수정으로 만든 보주(寶珠)를 올려놓았다. 보물 정식 명칭은 ‘감은사지 서 삼층 석탑 사리 장엄구’이다.
  • 전 고령 일괄 유물 : (1)경상북도 고령 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가야 시대의 일괄 유물. 크게 무기류(武器類)와 마구류(馬具類)로 나뉜다. 정확한 유물의 출토지가 알려지지 않아 구체적인 연구 자료로는 부족한 점이 있지만, 당시 가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제570호.
  • 평창 상원사 목조 문수 동자 좌상 복장 유물 : (1)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월정사 성보 박물관에 소장된 목조 문수 동자상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 발원문과 조선 전기의 복식ㆍ전적류 등 총 23점이다. 보물 제793호.
  • 고희 초상 및 문중 유물 : (1)전라북도 부안군 효충사 유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제주 고씨 부안 문중의 유물. 20종 215점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인 고희(高曦)의 영정과 유품을 비롯하여 제주 고씨 부안 문중에서 작성된 각종 고문서가 포함되어 있다. 보물 제739호.
  • 신안 해저 유물 : (1)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도덕도 앞바다에서 발견된 고려 시대의 해저 유물. 1976년에 조사가 시작되었으며, 난파된 배에서 청자, 백자, 흑유, 화폐, 백탁유, 금속 제품, 석제품, 목제품, 칠기, 토기, 잡유 등 다양한 유물이 나왔다.
  • 예산 김정희 종가 유물 : (1)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였던 김정희가 남긴 유물. 김정희의 종가에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인장ㆍ염주ㆍ벼루ㆍ붓을 비롯하여 편지ㆍ달력ㆍ필사본ㆍ대련 따위가 있다. 철종 8년(1857)에 이한철이 그린 김정희 영정도 함께 지정되어 국립 중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김정희 종가 유물’이다.
  • 반출 유물 : (1)하나의 유적의 동일한 층위(層位)나 장소에서 발견된 유물로서 서로 관계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
  • 문경 대승사 금동 아미타여래 좌상 및 복장 유물 : (1)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에 소장된, 고려 시대의 불상과 복장 유물. 아미타여래 좌상은 14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조형적 측면에서 완성도가 높다. 고려 중기에서 후기로 불상 양식의 변모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를 제공한다. 보물 제1634호.
  • 흑석사 목조 아미타불 좌상 병 복장 유물 : (1)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흑석사 대웅전에 있는 목조 아미타 불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유물. 목조 불상은 조선 세조 4년(1458)에 법천사 삼존불 가운데 본존불로 조성된 것이며, 불상 조성 기록이 있는 ≪불상조성권고문(佛像造成勸善文)≫, 불경 내용을 적은 ≪불조삼경합부(佛祖三經合部)≫, 불교 부적, 직물류, 칠보류 따위의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영주 흑석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및 복장 유물’이다.
  • 예산 수덕사 목조 석가여래 삼불 좌상 및 복장 유물 : (1)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상과 불교 유물. 인조 17년(1639)에 만든 것으로 목조 삼세불 좌상 및 복장 유물과 연화 대좌, 수미단 따위가 있다. 보물 제1381호.
  •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 복장 유물 : (1)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소장된 고려 시대의 복장 유물.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의 해체 보수 작업 도중 발견되었으며, 고려 시대 교장(敎藏)의 성격을 밝히는 자료로 높이 평가받는다. 보물 제1468호.
  • 공주 동학사 목조 석가여래 삼불 좌상 및 복장 유물 : (1)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목조 불상과 복장 유물. 복장 유물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선조 39년(1606)에 석준(釋俊), 각민(覺敏) 등이 참여하여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 보물 제1719호.
  • 해남 대흥사 서산 대사 유물 : (1)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에 소장된 조선 시대 서산 대사의 유물. 승군 대장 도총섭에 서산 대사를 임명한 교지와 서산 대사의 충절을 기리는 내용을 정조가 친히 적은 서산 대사 화상당명 등 2점을 이른다. 보물 제1357호.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856개) : 아마, 아막, 아만, 아말, 아망, 아매, 아먼, 아멘, 아멩, 아명, 아모, 아목, 아몬, 아몽, 아무, 아문, 아물, 아미, 아민, 아밍, 악마, 악막, 악매, 악면, 악명, 악모, 악목, 악몽, 악무, 악문, 악물, 악미, 안마, 안막, 안맥, 안맹, 안멘, 안면, 안명, 안모, 안목, 안무, 안문, 안물, 안민, 안밀, 알마, 알매, 알면, 알목, 알몸, 알못, 알묘, 알무, 알문, 앏면, 앏묗, 암마, 암막, 암만, 암말, 암망, 암매, 암맥, 암맹, 암먼, 암면, 암명, 암모, 암무, 암묵, 암문, 암물, 암민, 압마, 압맥, 압모, 압물, 압미, 압밀, 앙망, 앙면, 앙모, 앙묘, 앙문, 앙물, 앞막, 앞말, 앞면, 앞몸, 앞무, 앞문, 앞물, 애마, 애막, 애망, 애매, 애먼, 애멸, 애명 ...

실전 끝말 잇기

유물로 시작하는 단어 (31개) : 유물, 유물 갖춤새, 유물관, 유물군, 유물 도록, 유물동태, 유물론, 유물론과 경험 비판론, 유물론자, 유물론적, 유물론적 관점, 유물론적 국가관, 유물론적 변증법, 유물론적 사고, 유물론적 역사관, 유물모듬새, 유물 변증법, 유물 사관, 유물 사상, 유물 사진전, 유물 산포지, 유물 숭배, 유물적, 유물전, 유물 전시관, 유물 조합, 유물주의, 유물주의자, 유물 지형, 유물층 ...
유물로 시작하는 단어는 3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유물로 끝나는 모든 글자 단어는 57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